WEBZINE VOL.132
외생균근
버섯이야기
끈적끈적 비단그물버섯속이야기
 
  비단그물버섯속(Suillus)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문(Basidiomycot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그물버섯목(Boletales) 비단그물과 (Suillaceae)에 속합니다. 속명인 Suillus는 라틴어로 “작은 돼지”라는 뜻입니다. 비단그물버섯속은 1821년 영국의 Gray가 지정한 이후 지금까지 전세계에 1속 331종이 발표 되었지만 현재는 1속 110종으로 재분류 되었습니다. (Index Fungorum_2021). 국내에는 1속 12종이 기록되어 있습니다.(국가표준버섯목록, www.nature.go.kr/kfni/Subindex.do). 이 속의 대부분이 식용가능하나 특정부위에 독성분을 함유한 종들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표1).
표 1. 비단그물버섯속(Suillus) 국내기록종 버섯 리스트(12종)
구분 학명 국명 식독여부 기주
1 Suillus americanus (Peck) Snell 끈적비단그물버섯 식용 잣나무
2 Suillus bovinus (L.) Roussel 황소비단그물버섯 식용 소나무
3 Suillus cavipes (Klotzsch) A. H. Sm. & Thiers 황소비단그물버섯 식용 낙엽송
4 Suillus granulatus (L.) Roussel 젖비단그물버섯 식용/독 소나무
5 Suillus grevillei (Klotzsch) Singer 큰비단그물버섯 식용/독 낙엽송
6 Suillus luteus (L.) Roussel 비단그물버섯 식용/독 소나무
7 Suillus placidus (Bonord.) Singer 평원비단그물버섯 식용 잣나무
8 Suillus spraguei (Berk. & M.A. Curtis) Kuntze 붉은비단그물버섯 식용/독 잣나무
9 Suillus subluteus (Peck) Snell 포도주비단그물버섯 식용 잣나무
10 Suillus tomentosus Singer 솔비단그물버섯 식용 소나무
11 Suillus viscidus (L.) Roussel 녹슬은비단그물버섯 식용 낙엽송
12 Suillus variegatus (Sw.) Richon & Roze 올리브갈색비단그물버섯 식용 소나무
  비단그물버섯속의 특징은 갓 윗부분이 끈적거리고(일부종들은 털이 밀생하지만 습하면 끈적임), 다육질이며, 갓 아래부분은 관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에는 갈색의 점들이 분포되어 있거나 턱받이가 존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그물버섯과(Boletaceae)와 구별됩니다. 이 속의 기준종은 비단그물버섯(Suillus luteus (L.) Roussel) 입니다(그림 1).

  비단그물버섯(S. luteus)은 식용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갓표피에는 복통과 설사를 유발하는 성분이 있습니다. 이 성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싱싱한 자실체를 얇게 썰어 햇볕에 건조시키거나 100도 이상 가열을 하여도 설사, 복통을 유발하는 성분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비단그물버섯뿐만 아니라 비단그물버섯속의 일부 종들도 갓표피가 끈적끈적한 점액질이고 증상 또한 복통과 설사를 유발하고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그러나 끈적거린 갓표피를 제거하고 요리하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이는 복어 요리할 때 신경독소가 함유되어 있는 부분(알, 내장 등등)을 제거하고 조리하는 것과 같습니다.

  버섯에는 상당한 항암, 항종양 및 항균 등 다양한 종류의 1, 2차 대사 산물이 있으며 비단그물버섯속 버섯 또한 생리활성 물질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물질은 Suillin으로 인간 암세포의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Suillin은 항균, 항산화, 항동맥경화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버섯에서 항암제를 찾는 과정에서 평원비단그물버섯(S. placidus)의 신선한 자실체에서 추출한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추출물은 인간 간암 HepG2 세포(human hepatoma HepG2 cells)에 상당한 항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단그물버섯은 위와 같은 의학성분뿐만 아니라 염료로도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비단그물버섯(S. luteus)은 천연 염료로 양모 염색시 중금속 오염을 야기하는 매염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염색 수율을 높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염료산업에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입니다.

  외생균근인 비단그물버섯속 종의 대부분은 북반구 온대지역의 소나무과에 속하는 종인 소나무, 잣나무, 일본잎갈나무(낙엽송) 등과 매우 강한 친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숙주 특이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단그물버섯속의 종들은 침엽수림에만 볼 수 있습니다. 산림은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등의 임상으로 구분하고 우리나라 산림은 국토의 약 64%를 차지합니다. 『대한민국 국가지도집(The National Atlas of Korea) 』 에서 최근에 발표한 5차임상도(임상이 어떻게 분포하는 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림지도)에 따르면 4차임상도에 비해 침엽수림은 42.2%에서 37.8%로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는 기후변화에 따른 침엽수림의 쇠퇴 때문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침엽수와 같이 공생하는 외생균근성 버섯의 종다양성 감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나무와 공생하는 버섯의 종다양성의 연구가 기후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림 1. 국립수목원 채집표본인 비단그물버섯속(Suillus) 버섯생태사진
a: 끈적비단그물버섯(KA19-1117) b: 황소비단그물버섯(KA20-0904) c: 젖비단그물버섯(KA18-1054)
d: 큰비단그물버섯(KA15-0776) e: 비단그물버섯(KA16-1244) f: 평원비단그물버섯(KA13-1539)
g: 붉은비단그물버섯(KA18-1021) h: 녹슬은비단그물버섯(KA15-0777)
  기후변화와 코로나19로 인하여 21세기에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가 더욱더 중요해지면서, 생물종다양성 보전에 한층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생물분류학은 이를 위한 기초작업이 될 것이며 외생균근성 버섯 연구는 생명의 근원인 땅과 숲을 되살리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이에 국립수목원에서는 글로벌 생물종다양성 연구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으며 우리나라의 버섯의 신종 및 미기록종 발굴도 힘쓰겠습니다.
<참고문헌>

1. Prager MH, Goos RD. 1984. A case of mushroom poisoning from Suillus luteus. Mycopathologia 85: 175–176.

2. Liu F, Luo K, Yu Z, Co N, Wu S, Wu P, Fung K, Kwok T. 2009. Suillin from the mushroom Suillus placidus as potent apoptosis
    inducer in human hepatoma HepG2 cells. Chem. Biol. Interact. 181: 168–174.

3. Pazarliogle NK, Akkaya A, et al. 2011. Dyeing of Wool Fibers with Natural Fungal Dye from Suillus luteus. Asian J. Chem.
    23: 2600-2604.

4. Min YJ, Park MS, et al. 2014. Molecular Taxonomical Re-classification of the Genus Suillus Micheli ex S. F. Gray in South Korea.
    Mycobiology, 42: 221-228

5. Nguyen NH, Vellinga EC, et al. 2016. Phylogenetic assessment of global Suillus ITS sequences supports morphologically defined
    species and reveals synonymous and undescribed taxa. Mycologia, 108: 1216–1228.

6. 국가표준버섯목록 (http://www.nature.go.kr/kfni/Subindex.do). 산림청 국립수목원

7. 김창선, 김남규, 조종원, 곽영남, 한상국, 오승환. 2018. 잠재고등균류 조사 가이드북(Guidelines for Investigation of Soil-fungal
    Communities in Forest).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전문연구원 곽영남, 조성은   임업연구사 김창선
copyright(c).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