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이야기<45> 연꽃

2023.03.27 16:08:20

연꽃의 꽃말은 순결, 군자, 신성

7월의 “蓮(연)못”

작열하는 태양 아래 초록의 연잎들 사이 선홍색과 순백의 연꽃이 무리지어 피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꽃에 취하고 향기에 취해 정신줄을 놓게 한다.

 

 

연꽃은 이집트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산지로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오게 된 것은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첫째로는 매우 오래전에 중국으로부터 불교를 들여올 때 연꽃도 같이 들여왔었다고 전해지는 설이 있으며 또 하나는 강희맹(姜希孟;1424~1483) 선생이 세조 9년에 지헌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올 때 남경에 있는 전당지에서 연 씨를 가져와 연 재배를 시작한 것이 계기가 되어 연이 전 나라에 퍼졌다고 전하는 설이 있다. 

 

그러나 연꽃을 한반도에서 재배하기 시작한 시기는 최소 삼국시대나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 백제나 신라의 기와 장식, 고구려의 고분벽화 등 여러 곳에서 연꽃의 문양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경상남도 함안군의 함안 성산산성 유적지 발굴 과정에서 수습된 700여 년 전 고려 시대의 연꽃 씨앗이 발아하여 피운 ‘아라 홍련’을 보면 우리나라 연 재배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꽃은 다른 종교에서도 신성시되고 있지만 불교에서는 부처님의 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불교에서 신성시하는 이유로는 연꽃이 진흙투성이의 더러운 물속에서도 줄기를 내리고 올라와 물 밖에서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 때문이다.

 

세속의 유혹에 물들지 않고 근원적인 자아를 탐구하는 데 목표를 두는 불교와 더러운 환경에서도 묵묵이 꽃을 피워내는 연꽃이 서로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뿌리줄기에서 나와 자라는 잎자루와 꽃자루는 가시돌기가 있으며 잎은 원형의 방패 모양으로 지름이 30~50cm 정도이다.

 

특히 잎은 물에 젖지 않는 등 매끈하게 보이는데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3~10㎛ 크기의 수많은 혹(bump, 융기)들로 덮여 있고 이 혹들은 나노 크기의 발수성Water-Repellent 코팅제로 코팅되어 있다.

 

이러한 울퉁불퉁한 독특한 구조 덕택에 연잎 위에 떨어진 물방울은 잎 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된다.

 

* 이 기사는 <팜앤마켓매거진 2023년 3월호>에 게재된 내용의 일부입니다.

 

 



정읍시농업기술센터 김정엽 (전)소장 farmmarket2@gmail.com
저작권자(C) 팜앤마켓.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팜앤마켓매거진 / 등록번호 : 서초 라 11657호 / 등록 2015년 10월 19일 / 발행·편집인 : 최서임 발행소: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14길 36 707호 한국농업트렌드연구소 인터넷신문 등록 서울, 아 04400 등록 2017년 3월 6일 대표전화 : 02-3280-1569 / 팩스 : 02-6008-3376 / 구독자센터 farm3280@naver.com 청소년 보호책임자 : 최서임 / 메일 : farmmarket2@gmail.com 팜앤마켓매거진(farm&market)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