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LE DECOR

안도 다다오가 지은 주택

단정한 노출 콘크리트 외관에 인장과도 같은 십자 창문이 달렸다. 안도 다다오가 완공한 이 주택에는 집 주인과 건축가의 혼이 담겼다.

프로필 by 양윤경 2020.12.29
지상 4층, 지하 1층이 모두 자연 채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건물의 외관. 특히 2층 거실에 낸 십자 창문은 안도 다다오의 시그너처라 할 만하다. 통로로 이어지는 유리 아트리움 공간 왼쪽에 주인이 거주하고 오른쪽은 게스트 룸으로 쓰인다.

지상 4층, 지하 1층이 모두 자연 채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건물의 외관. 특히 2층 거실에 낸 십자 창문은 안도 다다오의 시그너처라 할 만하다. 통로로 이어지는 유리 아트리움 공간 왼쪽에 주인이 거주하고 오른쪽은 게스트 룸으로 쓰인다.

십자 창틀 사이로 빛이 쏟아지는 2층 리빙 룸. 장 푸르베, 피에르 잔느레가 디자인한 빈티지 명작 가구들이 자리했다. 벽에는 하지메 사와와타리의 사진 작품 ‘나디아’를 걸었다.

십자 창틀 사이로 빛이 쏟아지는 2층 리빙 룸. 장 푸르베, 피에르 잔느레가 디자인한 빈티지 명작 가구들이 자리했다. 벽에는 하지메 사와와타리의 사진 작품 ‘나디아’를 걸었다.

다수의 글로벌 프로젝트로 분주한 상황에서 거장 안도 다다오가 왜 누군가의 집을 지었는지에 의문을 품는 것으로 취재는 시작됐다. 그런데 다다오에 앞서 그가 완공한 집의 주인을 만난 순간, 모든 미스터리가 풀렸다. 이 집의 주인은 사람이 아닌 예술 작품이었다. 안도 다다오가 예술을 대하는 시선을 확인할 수 있는 집으로 <엘르>가 초대를 받았다.  
이 주택을 소유한 익명의 주인과 안도 다다오는 수십 년 전에 처음으로 만났다. 당시 주인이 언젠가 주택을 설계해 달라고 열정적으로 이야기하는 모습에 감명받은 다다오는 그 자리에서 반드시 그 마음에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적지 않은 세월이 지나고 집주인은 드디어 때가 됐노라며 정식으로 주택 설계를 의뢰했다. 세계 각국에서 거대한 프로젝트를 맡고 있는 다다오는 약속을 지켰다. 주인은 평생 소원이 이뤄지는 주택을 위해 4년간 다다오와 수백 번이 넘는 미팅을 가졌다. “안도 씨와 정말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지만 의뢰할 주택 자체에 대한 말은 한마디도 한 적 없어요. 그런데 제가 받은 제안서에는 그간 나눴던 수많은 대화 내용이 들어 있었죠. 이 집은 제 사고방식과 삶의 방식을 이해해 주는 공간이자, 안도의 건축 철학이 서려 있는 공간이에요. 서로 호응하면서 모든 것이 조화된 하나의 세계죠.”
낮은 테이블은 장 프루베, 벤치는 샤를로트 페리앙, 가느다란 램프는 세르주 무이의 작품. 모두 오리지널 빈티지 제품들이다. 벽면 작품은 타츠오 미야지마의 작업이다.

낮은 테이블은 장 프루베, 벤치는 샤를로트 페리앙, 가느다란 램프는 세르주 무이의 작품. 모두 오리지널 빈티지 제품들이다. 벽면 작품은 타츠오 미야지마의 작업이다.

샤를로트 페리앙의 가구들로 꾸며진 게스트 리빙 룸.

샤를로트 페리앙의 가구들로 꾸며진 게스트 리빙 룸.

1층 현관 옆 계단에 걸린 흑백 사진은 윌리엄 클레인의 작품. 오른쪽에 엿보이는 의자는 피에르 잔느레의 ‘라이브러리 체어’.

1층 현관 옆 계단에 걸린 흑백 사진은 윌리엄 클레인의 작품. 오른쪽에 엿보이는 의자는 피에르 잔느레의 ‘라이브러리 체어’.

2층 리빙 룸의 전경. 창가에 놓인 의자는 장 푸르베의 ‘안토니 체어’. 벽면을 따라 놓인 두 개의 암체어는 피에르 잔느레의 작품.

2층 리빙 룸의 전경. 창가에 놓인 의자는 장 푸르베의 ‘안토니 체어’. 벽면을 따라 놓인 두 개의 암체어는 피에르 잔느레의 작품.

최상층에 자리한 테라스.

최상층에 자리한 테라스.

집주인이 다다오의 결과물을 보고 놀란 것 이상으로 다다오도 집주인에게 놀랐다. 1층 다목적실 안쪽에 놓인 장 프루베, 샤를로트 페리앙, 피에르 잔느레의 가구들, 그 뒤로 벽면을 장식하고 있는 현대미술가 다쓰오 미야지마의 작품들, 또 다른 방에 걸린 윌리엄 클라인, 사라 문의 사진 작업들까지 집주인의 방대한 컬렉션에 다다오는 경외감까지 느꼈다. “프루베의 작품을 이만큼 많이 그리고 이렇게 예민한 감각으로 수집한 사람이라면 심미안이 확실합니다. 프루베의 가구는 조각 작품 같아서 저는 가구를 작품으로 인식하고 공간을 구성했어요. 빛이 모든 각도에서 작품을 비추도록, 주거 공간 안에서 가구가 기능과 동시에 예술로 작동하도록요.”
3층 서재에 놓인 의자와 책상은 장 푸르베. 벽면 앞 체스트는 샤를로트 페리앙의 작품.

3층 서재에 놓인 의자와 책상은 장 푸르베. 벽면 앞 체스트는 샤를로트 페리앙의 작품.

안도 다다오는 빛의 마술사로 불리는 거장임에도 이 집에서만큼은 빛 한 줄기 한 줄기를 다룰 때마다 유례없이 신중했음을 고백했다. 크고 작은 창문에서 들어오는 빛은 콘크리트 벽면에 부딪혀 때로는 힘차게, 때로는 우아하게 작품을 비춘다. “어디까지나 주인공은 아트이고, 건축은 그 매력을 철저히 보좌하는 존재입니다. 빛에 강약을 줘서 작품을 더욱 매력적으로 비추게 했어요. 아트와 건축처럼 서로 조화를 만드는 관계도 이 세상에 별로 없을 겁니다. 두 가지를 아름답게 보여주면 인간은 진정 풍요로워질 수 있어요. 건축이란 클라이언트가 거의 전부란 말이 있죠. 건축가는 그저 만드는 과정을 좀 돕는 것뿐이라고요. 맞는 말이에요. 나오시마에 수많은 미술관을 지었지만, 불도저 같은 비전을 가졌던 나오시마 프로젝트의 후쿠다케 소이치로 회장이 없었더라면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이 집의 앞으로가 기대되는 이유도 바로 그가 주인이기 때문이지요.” 
현관으로 향하는 통로에서 손님을 맞이하는 토끼 모양의 조형물은 베로니크 구에리에리의 작품이다.

현관으로 향하는 통로에서 손님을 맞이하는 토끼 모양의 조형물은 베로니크 구에리에리의 작품이다.

Credit

  • 사진 YASUSHI NAGAI & getty imageskorea
  • 글 YOSHINAO YAMADA
  • 에디터 이경은
  • 번역 emi shiozawa
  • 디자인 전근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