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교사

여교사 ⓒ 김태용


2010년 밀입국 소년들의 이야기를 다룬 <얼어붙은 땅>으로 63회 칸 영화제 시네마파운데이션 부문에 초청받아, 최연소 칸 영화제 진출의 영예를 안고, 이어 2014년 <거인>으로 36회 청룡영화제, 35회 한국 영화평론가 협의회 신인 감독상을 받았던 김태용 감독이 2017년 새해 첫 영화로 <여교사>를 들고 왔다.

김하늘을 타이틀 롤로 내세운 <여교사>는 하지만 김태용 감독의 두 번째 장편 영화라는, 그리고 배우 김하늘의 모처럼 영화 출연이라는 수식어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10만 7685명(영진위 통합전산망 기준)의 미진한 흥행 성적과 작품성에 있어서도 물음표를 남기며 사라져가는 중이다.

욕망과 윤리의 경계선

<여교사>는 그 내용 자체는 다르지만 김태용 감독의 전작들과 동일한 주제를 탐구하는 작품이다. 생존을 위해 무언가를 포기하고 살아야 했던 사람들은 '밀입국 소년들'(<얼어붙은 땅>)에서 '이삭의 집 영재'(<거인>)으로, 그리고 이제 계약직 교사 효주로 이어진다. 자기 자신까지도 속일 것 같았던 이들이 끝내 제 발에 걸려 넘어지는 것조차도 동일하다.

이삭의 집에서 살아남기 위해 신부가 되겠다며 착한 아이인 양 했던 영재는 아버지가 데리고 온 동생으로 인해 자신이 썼던 생존의 가면을 벗어던지고 만다. 효주도 다르지 않다. 계약직 교사로 임신 포기 각서까지 썼지만, 자신의 자리라 생각했던 과학 정교사 자리를 치고 들어온 이사장 딸에 대한 감정을 결국은 숨겨내지 못한다.

무엇이 다를까? <거인>이 김태용 감독에게 올해의 신인 감독이라는 상찬을 안긴 것과 달리 같은 주제를 다룬 <여교사>에 대한 평이 엇갈린다는 점에서 말이다. 감독의 자전적 이야기와 픽션이라는 차이 때문일까. <여교사>를 보는 내내 어쩌면 애초의 시나리오는 화면상에 옮겨진 평범하고 둔탁해진 이야기보다 훨씬 더 섬세한 감정과 욕망의 부딪침이었을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든다. 물론 보는 이의 짐작일 뿐, 어쨌든 감독은 화면에 펼쳐놓은 작품으로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여교사

여교사 ⓒ 김태용


계약직 여교사로서의 효주(김하늘 분)가 겪어야 하는 갖가지 부당 대우를 나열하며 영화는 주인공의 곤란한 처지를 사회적으로 풀어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오랫동안 동거해 왔던 남자 친구와의 관계도 아슬아슬하다. 그렇게 사회적, 개인적 위기로 <여교사>는 주인공 효주를 벼랑 끝으로 밀고 간다.

위기의 상황에서 도화선으로 등장한 것은 이사장 딸 혜영(유인영 분), 그 도화선에 불을 붙인 건 다짜고짜 처음 찾아온 효주에게 술김에 입을 맞춘 재하(이원근 분)다. 그 이후의 상황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예측가능하다. 단지 그 폭발력과 방식의 차이일 뿐.

결말의 아쉬움

사회적 존재의 파열을 욕망을 통해 펼쳐내는 것은 <B사감과 러브레터> 이래 이젠 고전이 된 방식이다. 초반의 계약직 여교사의 부당한 존재를 잔뜩 나열하며 주인공의 사회적 존재를 부각하던 영화는 혜영과 재하의 등장 이후 그 문제의식을 갑자기 지극히 사적으로 끌어내린다. 분명 효주의 존재론적 문제는 사회적이지만, 혜영과 재하의 등장 이후 효주 자신의 문제의식과 그 분출은 혜영과 재하라는 삼각관계에 갇혀 지극히 사적이고, 그래서 감정적이고 충동적으로 이어진다.

물론 인간은 사회적 존재지만, 그 사회적 존재가 살아가는 공간은 지극히 사적이며, 거기서 분출되는 감정들은 개인적이다. <여교사>에서는 마치 사회적 존재가 개인적 폭발의 물적 토대라기보다는 도구처럼 여겨지는 부분이 있다. 임신 포기 각서에 말 한 마디 못하고 도장을 찍는 계약직 교사가 과연 이사장 딸에게 그리도 도발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을까? 이건 <거인>의 영재와 범태의 관계가 아니다. 비록 이사장 딸이 자신의 밥그릇을 빼앗았다 할지라도 과연 그렇게 용감할 수 있는 계약직 여교사가 현실에 가능할지 의문이다.

혜영의 응석 같은 친절에 대항한 효주의 냉담함은 효주의 절박함을 드러내기보다, 사회적 존재의 비현실성을 강화시킨다. 그것은 곧 <여교사>라는 영화를 따라가는데 내내 걸림돌이 된다. 처음엔 그것이 감독이 의도한 새로운 캐릭터인가 싶다가도 배우의 캐릭터에 대한 해석 부재로 보이기도 한다.

현실에서 생존을 위해 많은 것을 포기하고 살아가는 여자, 그리고 개인적으로도 희생이 강요된 여자, 그 여자가 삶의 위기에서 붙잡은 뜻밖의 열정, 하지만 그것조차도 부도수표라는 그 '클리셰'와 같은 이야기를 설득해 내기에 <여교사>는 내내 무덤덤했다. 절정 부분만 도발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내내 냉담했던 그녀라면 마지막까지 사랑에 목숨을 걸 것이 아니라, 철저히 혜영과 재하를 가지고 놀 만큼 일관되게 '냉혈한'이었음 어땠을까.

재질문이 필요한 때

 여교사

여교사 ⓒ 김태용


바로 그 지점이다. 왜, 저토록 사회적, 개인적으로 절망에 빠진 효주의 마지막 희망이 사랑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 만약에 이 영화의 주인공이 여선생인 효주가 아니라, 남자 선생이었다면 똑같이 사랑으로 스스로 자멸했을까. 왜 여교사는 사랑이라는 한 마디에 낚여서 스스로를 파멸에 빠지는 존재로 그려져야 할까.

영화는 효주의 사적 복수로 마감하지만, 그 자해에 가까운 복수극은 마치 온 기숙사생들이 다 듣는 가운데 애절하게 러브레터를 낭송하는 B 사감의 애절한 목소리와 다르지 않다. 물론 이것이 고립된 사회적 존재가 맞게 될 파국의 양상일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사랑에 자멸하는 여자 주인공의 결말은 충분히 설득되긴 힘들어 보인다.

사실 <여교사>의 문제만은 아니다. 지난해 여배우들이 전면에 나선 영화들은 대부분 부진했다. 이것을 두고 여성 영화의 부진이라 말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그보다는 여성 영화들 자체의 주제 의식이 부족한 건 아닌지. 최근까지 박스오피스 상위권은 사회 구조를 지적한 영화들이 차지한 가운데 여성 영화들은 반대로 사회문제의 개인화에 관심을 두고 있다. 필요한 지점이다. 하지만 동시에 이런 여성 영화들이 스스로 또 다른 편견에 갇혀 있는 건 아닌지도 살펴봐야 할 때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여교사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