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ntains, Villages & People of the Baekdu Daegan in North Korea.

Page 1



This book is dedicated to the mountains, villages, and people from Paektu to Halla-san. 백두에서 한라까지 늘어선 모든 산과 마을과 여기 사는 모든 사람에게 이 책을 바친다.


BAEKDU DAEGAN NORTH KOREA Mountains, Villages & People 북한의 백두대간 산과 마을과 사람들

No part of this book may be reproduced or utiliz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electronic or mechanical, including photocopying, recording or by any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out permission in writing from Roger Shepherd. Printed in the Republic of Korea by Samsung Moonhwa Printing Co., Ltd.


A special thanks to those that supported this book through crowd funding. 이 책의 출판을 위해 스토리펀딩으로 후원하신 모든 분께 특별히 감사드린다.

Expedition Contributors Woody Lee and the staff at Zerogram (2017) Neve Lee of Garmin Korea (2012) Korea Forest Service (2011 & 2012)


Author's note on place names and language The English spellings of place names in North Korea are as used there and are the preferred choice of the author. This differs from the official method used in South Korea. Although North and South Korea share a common tongue, language usage varies. In the translation of this book, the South Korean dialect is used, particularly in regard to the country name North Korea ( 북한 Buk-han). This is in no way meant as disrespect for the official name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t is with regret that the author uses the divisive language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nstead of each nation's official nam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Korea). This is only for ease of use in the English language. There is also a common issue with the conversion from English of the words Korea and Koreans when used to depict the whole Korean race and nation. The Korean language (Hangeul in the south and Joseongeul in the north) does not have a direct translation for the word Korea(n), as it is an English-only word derived from the mispronunciation of a 10th-century kingdom named Koryo. Both dialects do have their own definitions (common and uncommon) for the undivided Korean state, but to choose one in translation that suits both northerners and southerners is sensitive and difficult. Therefore, the southern dialect is used as politely as possible throughout this book's translation, not in disrespect of the northern dialect, but because the book is marketed for a South Korean reader. As part of the combined effort towards future reunification, I trust the Korean people will one day mutually decide on a modern name for their language, their people, the land they share, and that the English language will adopt this into their vocabulary.


작가의 말 - 지명과 사용 언어에 대하여

북한 지명의 영문 표기는 북한식 표기법을 따른다. 작가의 선택이다. 남한 에서 쓰이는 표준 표기법과는 다르다.

남.북한이 공통 언어를 쓰기는 하나 언어 사용법은 다양하다. 이 책에서

‘North Korea’는 남한식으로 ‘북한’으로 번역한 것에 주목하기 바란

다. 이것은 북의 공식 국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양측의 공식 국가명(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

국) 대신 북한, 남한이라는 분단의 언어를 사용하게 돼서 유감이다. 이는 다만 영문에서 독자 편의를 위한 것이라는 것을 밝혀둔다.

‘Korea’와 ‘Koreans’를 번역하는 것도 문제다. 이 단어가 남북 전체나 전 민족을 가리킬 때는 더욱더 그렇다. 남북의 언어 (남쪽의

한글, 북쪽의 조선글)에는 Korea(n)를 직역할 마땅한 말이 없다. 10

세기 왕국 고려를 잘못 발음한 데서 기인한 영어에서만 쓰이는 말이기

때문이다. 양측 모두 나름대로 분단되지 않은 나라 전체를 지칭하는 말(

보편적이거나 그렇지 않거나)이 있으나, 양측이 수긍할만한 하나의 명칭을 정하는 일은 민감하고도 어려운 일이다. 이런 이유로 이 책의 번역에는

가능한 한 조심스럽게 남한식 말을 사용한다. 북의 말을 존중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이 책이 남한 독자들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미래 통일을 향한

공동협력으로 언젠가는 이 땅의 사람들이 남북이 같이 쓰는 말, 국민, 땅의 이름을 새롭게 정하고, 영어가 이들 새 언어를 어휘에 편입하게 될 것으로 믿는다.


Mountain List Kangwon-do 강원도 • 2. 3. 4. 5. 6. 7. 8. 9. •

Kumgang-san 금강산 Mae-san 매산 1231m Chol-ryong 철령 Sepho plateau 세포고원 Masang-san 마상산 1124m Okjeong-bong 옥정봉 1201m Bongsu-ryong 봉수령 Daehwa-bong 대화봉 1370m Seongjae-san 성재산 1102m Turyu-san 두류산 1323m

Phyongannam-do 평안남도 10. Jogaedeok-san 조개덕산 1072m 12. Phyongsandeok-san 평산덕산 1156m 11. Namdae-bong 남대봉 1005m 13. Bukdae-bong 북대봉 1326m 14. Ganggae-san 강개산 1236m 15. Paek-san 백산 1449m 16. Minbong-san 민봉산 1135m 17. Cholong-san 철옹산 1093m 18. Munpil-bong 문필봉 672m Hamkyongnam-do 함경남도 19. Sasu-san 사수산 1746m 20. Paek-san 백산 1835m 21. Sodae-ryong 소대령산 1934m 22. Kodae-san 고대산 1766m 23. Pujon-ryong 부전령 24. Myeongdang-bong 명당봉1809m 25. Okryun-san 옥련산 2164m 25. Dol-gang 돌강 • Chail-bong 차일봉 2505m 26. Cheonsandae-bong 천산대봉 1976m 27. Huisa-bong 희사봉 2117m 28. Sam-bong 삼봉 1985m

Ryanggang-do 량강도

29. Dongjeomryong-san 동점령산 2113m 30. Tonggol-san 통골산 2101m • Turyu-san 두류산 2309m 31. Seol-ryong 설령 32. Taeheul-bong 태흘봉 1970m 33. Nampotae-san 남포태산 2433m 34. Bukpotae-san 북포태산 2288m 34. Dol-bong 돌봉 35. Ganbaek-san 간백산 2162m 35. Beondae-san 번대산 35. Saja-bong 사자봉 2149m 36. Soyeonji-bong 소연지봉 2114m 36. Daeyeonji-bong 대연지봉 2358m 36. Mudu-bong 무두봉 1980m 37. Taeroeun-san 대노은산 1489m • Paektu-san 백두산 • Chonji lake 천지호 • Kaema-plateau 개마고원 • Paektu plateau 백두고원 • Amrok river 암록강 • Hamkyongbuk-do 함경북도 • Chilbo-san 칠보산


P A M


A brief history of Korean Mountain. This photo art book is the third in a series since 2013, and the most significant in that it culminates four lengthy photographic expeditions to North Korea, the most recent being two expeditions in 2017, and an excursion in 2018. It also contains more pages (250p), and will for the first time include travel essays written from notes and observation. I hope it also reveals my journey through North Korea, and how mountains taught me to see Korea as a homogenous nation currently divided by old Cold War antics and political ideologies. Korea is a small land, a peninsula protruding from the vast Asian continent, bordered by three nations in China, Russia, and the islands of Japan. These powers have always cast a shadow on the Korean people, weighing on them politically, militarily, and culturally; the Korean people compare themselves to a shrimp swimming in a sea of whales. But the Korean people are unique from their neighbours. Their common language, which evolved from various tribal tongues over millennia, stands out the most. There is almost nowhere in Korea where, if you pan your eye, you will not see peaks, sharp peaks with angular edges. From day one the Koreans lived in a mountainscape, an oriental folded-screen that painted its way into their psyche. Like a fish only sees water, Koreans saw mountains. This mountain picture became part of who they are, and etched its way into their language, arts, literature, foods, culture, and history. Although modernity has brought new distractions such as skyscrapers that, in places, blot out the mountain views, Koreans still flee from these concrete pillars to the dramatic granite pinnacles and their lush green valleys. In the mythological beginning, Hwanin, the Lord of Heaven, sent his younger son Hwanung with three heavenly seals, or treasures, and 3000 assisting-spirits to a peak called Taebaek-san (Grand White Mountain) to create a new kingdom. No one is certain where this peak is. Some say it must be Korea’s highest and most revered peak, Paektu-san, which means ‘White Head Mountain’ because it appears permanently white from snow or volcanic pumice, or resembles the white-haired head of a wise old man. Most Koreans claim Paektu-san as their national birthplace. When Hwanung completed his new kingdom, a bear and tiger, observing this phenomenon, approached him, and asked to become human. 1

He ordered them to a cave, instructed them to eat mugwort and garlic for one hundred days, and upon exiting they would become human. The grumpy, lazy tiger gave up after fifty days and scarpered. The patient bear persevered and became a woman. Being a bear-woman (웅녀/熊女 Ungnyeo; in Korean culture, bears are matriarchal figures of womanhood), she had no husband but wanted a child. Hwanung obliged her, and they created a son, Dan-gun, who became the first ruler of this new Korean kingdom. King Dangun's kingdom was titled Gojoseon, and its founding date (third day of the 10th month, 2333 BCE) is still celebrated today in Korea as a “National Foundation Day.” He created a capital named Asadal, location unknown, but now claim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o have been just east of its capital city Pyongyang. King Dan-gun lived for many hundreds of years, and on his death, became immortalized as a mountain spirit (sanshin) on the peak of Kuwol-san in current day North Korea. A more realistic theory is that the first kingdom of Gojoseon was formed by the marriage of a prince and princess from opposing tribes. A tribe that used the tiger as its animistic symbol had their prince marry a princess of a tribe that used a bear. Their son Dan-gun then went on to rule the newly confederated tribes as the kingdom of Gojoseon. Another theory is that a stone-age tribe that used the tiger as its animistic symbol contended with another stone-age tribe that used the bear, both wishing to join the newer bronze-age tribe symbolized by Hwanung’s spiritual mountaintop kingdom. The bear-tribe won that contest, and a daughter of its chieftain married Hwanung as a peaceful political unification. Their son Dan-gun then founded a tribal confederation named Joseon, that we now call Gojoseon. Dan-gun, therefore, was a human being and not a mythological figure. Dan-gun and his wife were said to be taller than the average human being of that period, not giants, just more towering, about 5'9". They ruled a kingdom of people on the peninsula who spoke their own language and were unique amongst the neighbouring tribes of the Han Chinese, the Mongols, the Tungusics, and the islanders of Japan. When this theory became a myth, or the myth became a theory, is unsure. Some say it became a myth when the Japanese occupied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forced cultural subjugation onto the Koreans by forbidding the practice of the Korean language, ancient traditions, and oral history. The theory was revised in 1994 by North Korean Leader Kim IL Sung. He ordered an investigation into the whereabouts and history of King Dan-gun’s tomb. A mausoleum was constructed on the slopes of a small peak near Pyongyang, named Taebaek-san, the alleged location of the tomb of King Dan-gun, but there is no scientific evidence that this is so. On a visit to the mausoleum in May 2011, I was told that the remains of King Dan-gun along with other kings and queens of Korea were often kept secret and moved over the course of many centuries to protect them from marauding foreign forces. The location of King Dangun and his wife’s remains had been lost in time, but Kim IL Sung's investigation had questionably relocated the ancient burial site (although it may have been moved several times over hundreds of years) to the current day mausoleum. Sanshin (mountain-spirit) is a Korean belief that mountains contain a spirit that if astutely revered will provide its human co-inhabitants with safe passage and abundant crops. It is a custom that probably began when the Korean people were shamanic dwellers many thousands of years ago. There is still furious debate on the roots of the Korean people. The DNA pool ranges from Japanese, Northern Han Chinese, Mongolic groups, and more distantly the Tungusic steppe tribes of Siberia and the Turkic peoples. It’s not a field that I am an expert in, but as Korea is a mountainous peninsula, as much as 75%,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early Koreans held in awe their surrounding peaks. Mountain spirits could house themselves in the form of a tree, rock, cave, waterfall, or peak. The spot would hold great geomantic energies or indescribable pull allowing shamans or lay people to pay homage to the spirit. As the mountains of Korea were not always a safe place to travel, old pathways that crossed over saddles between ridges or valleys would house a small stone cairn, a spirit tree, or a wooden shack where travellers could stop to pay respect to the mountain spirit. They did this by offering condiments of rice or soju, along with a bow and prayer, before passing on their way. This act would protect them from bandits, and wild beasts like tigers, leopards, and wolves. Down in the village, veneration of the mountain spirit was to supplicate favourable conditions for the cultivation and harvesting of crops, and good health for the village members, a kind of eco-

friendly coexistence between man and nature. When Buddhism arrived on the Korean peninsula about the 4th century AD, many sites where monks wanted to erect their temples housed a primitive mountain spirit shrine or decorated altar. Korean Buddhism integrated these local deities with their practice. To this day, if you go to a Buddhist temple in Korea and find a small shrine located above and behind the main prayer hall, it will be a shrine to the Korean mountain spirit. He or sometimes she is the landlord of the site, and it is still a busy place, where practitioners, ordinarily middle-aged women, arrive to pay homage to the mountain spirit in return for whatever’s on their modern-day mind. It’s not until the Joseon kingdom period (1392-1910) that we start to see mountain spirits appear in human form by way of artistic icons. An old man with snowwhite hair and long wispy beard that he strokes with his fingers while sitting on the back of a glaring tiger that is his protector and messenger. Also in the art are a boy and girl servant delivering a platter of virility enhancing foods like peaches, and other critical Korean iconic motifs like pine trees, the sun and moon, and cranes, all in the backdrop of a tremendous outdoor scene of outstanding peaceful harmony. It is said that humans can become a mountain spirit if they serve a life of great virtue and compassion for mankind and country. In South Korea, although not standard practice, mountain spirits have been kept alive by Buddhism. In North Korea where mainstream religions and folklore rituals were cast out by the areligious and anti-superstitious views of communism, the term mountain spirit is still well-known among the North Koreans I worked with, in fact, often held with warm affection when mentioned. Buddhist temples do yet operate as religious institutions in North Korea. Although during the Korean War, many got bombed to ashes, temples did get rebuilt, particularly those of national importance. To this day they are maintained as historical attractions for North Koreans and tourists. However, mountain-spirit shrines still sit above the main prayer halls posing as the landlord of the site and spirit of that mountain. The ancient Korean tradition of mountain spirit homage must be one of the oldest existing spiritual practices surviving in the world today. 2


Man & Mountain. As I have explained, Korea’s plethora of mountains and ridges forms a deep groove in the Korean mindset, and may even intrude into their DNA. To be surrounded by peaks, valleys, and rivers makes the Koreans feel part of something much more significant than themselves, small organisms amongst a larger, more mysterious one. The ancient beliefs of mountain spirits and Taoism, a way with man and nature, or Seondo (the Korean version of Taoism), combined with later practices like Buddhism and Confucianism, are understandably apt for a mountainous landscape like Korea. When you stand on a ridge in Korea and look out over the horizon, all you can see, as the first foreigners to Korea wrote, is ‘a sea in a heavy gale.’ They are referring to wave after wave of blue ridges that cascade like chipped paint. The Koreans have many terms in their language that depict this landscape, one of my favourites being san neo meo san, 산너머산, meaning ‘over the mountain is a mountain.’ For the Korean people, this visual scenery is not only aesthetic but energetic. They believe that the mountains and the earth, combined with water and wind, contain life-giving energies (gi) that shift through set energy lines in the landscape. Identifying these lines and utilizing their energies by constructing tombs, homes, temples, villages, counties, and provinces sensibly on them brings fortune and prosperity to the human occupants. The Koreans call this Pungsu-jiri. We know it as Feng-shui, or scientifically as Geomancy. In the Korean sense ‘gi' is closely related to the vital energies of the earth and mountains so abundant in Korea.

3

In the 9th century, one of Korea's most famous and respected master monks Doseon Guksa advanced the theory that the Baekdu Daegan was the main conduit of all Korea's vital energies. As far as we know this is the oldest reference to the Baekdu Daegan. He said that the Baekdu Daegan transmits jigi, earthenergy, through its main spine, then out through its subsidiary ridges, into the waters and landscape of the entire peninsula. To damage this flow in any part is to damage the prosperity and well-being of the nation. Therefore, protecting the environment by way of mountain spirit worship, and constructing infrastructure sensibly on the land to harness and recycle the flow of life-giving energies from land to humankind and back again is virtuous. The provider of this gi is Paektu-san, Korea’s highest and most sacred mountain.

This description ties closely with the human body. Paektu-san is the white-haired man’s head and the origin of the life-giving energy that transmits through his spine, or the Baekdu Daegan. From the spine, these energies radiate to the interconnected ridges, into the waterways, and then to the people via crops, air, and water, like a human’s central nervous system. The waterways, in this case, represent the arterial blood network of the body. The Baekdu Daegan and its connected ridges are like the skeletal foundation of the human body. Korean Pungsu-jiri differs from other oriental forms of Feng-shui because the Koreans are dictated to by their geography, which forms not only their physical space but their mental and spiritual. They are a people occupied by mountains (san) and rivers (gang). The Japanese possibly recognized the bond between Koreans and their terrain. During the occupation of Korea from 1910 to 1945 (although established in Korea by 1895), the Japanese impaled spikes along the mountain ridges and peaks. The Koreans believed this was to unearth the pungsu-jiri and damage its flow. More likely the Japanese, who practised western cartographic mapping methods, were inserting the spikes to hold trig stations so they could survey the land. In a fourteen-month expedition (1902), the Japanese, on horseback, made a major land survey of the peninsula. The findings from that survey split the Baekdu Daegan into three pieces, destroying the theory of spinal continuation and delivery of divine energies. The Japanese incorporated their findings into their maps of Korea. Some Koreans hotly contested these findings, but regardless of whether the Japanese motive was to repress Korean belief, the Japanese mapping of the Korean peninsula was inaccurate! The truth is that all ridges in Korea connect back to the Baekdu Daegan, and the Baekdu Daegan flows from Paektu-san, which is the only land bridge that connects Korea to the broader Asian continent. Further, Korea's two longest rivers run east (Tumen) and west (Amrok) from Paektu-san and form the river frontier with China and Russia. Korea’s jutted geography permits intricate and beautiful maps. Some of the most fabulous designs are from the 18th and 19th centuries of the Joseon period. The first mention of the Baekdu Daegan on any map is on the San-gyeongpyo map printed in 1769, a chart of mountain range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hart


emphasizes that mountains cut water and water cannot cut mountains. The San-gyeongpyo systemizes the main ridges into one daegan, one jonggan, and thirteen veins (subsidiary ridges), forming one mountain range, starting from Paektu-san and ending at Jiri-san. In South Korea, these veins, named jeong-maek, flank Korea's biggest rivers, controlling their flow within Korea and into her seas. The jonggan, the vein located in the northeast of Korea, controls the flow of a river (Tumen River) bordering another nation, that being China. The San-gyeongpyo chart clearly shows the Baekdu Daegan as one continuous mountain spine forming the backbone of the peninsula. A second magnificent map of Korea was made in 1861 and is called the Daedongyo-jido (Territorial Map of the Great East). To make it, its creator Kim Jeong-ho, with the assistance of his daughter, handcarved a marvellous set of wooden printing blocks. The finished map neatly folded into an album. When you hang the sheets together, the masterpiece stands at 6.7m high and 3.8m wide. This beautiful map allows you to stare at the biomorphic dynamics that highlight the peninsula’s abundance of ridges and rivers. You quickly understand why the Joseon people of that period and before considered their land a living body. If you take a look at the hand-carved wooden print blocks (tablets), you see how their ridges and grooves strongly resemble the venous network of a human body. The Daedongyo-jido clearly shows the Baekdu Daegan as the unbroken spine of Korea. Kim Jeongho's background is not well recorded, and even his date of death hangs with a question mark. Going by the pen name Gosanja, he was said to be of middleclass status, and there is some mystery as to how he could have obtained access to classified maps that reveal military installations, which his maps exposed later on. Some say that the only way he could have made the Daedongyo-jido without access to details and legends from older classified maps (maps were not commonplace with the general populace in that period) was by surveying the entire peninsula on foot over the course of his life. If true, Kim Jeong-ho may well have been the first person to fully explore the Baekdu Daegan. Both maps remarkably indicate (long before scientific methods were adopted) that all mountains on the Korean peninsula are rooted in Paektu-san, the mountain that steers the nation.

How then could the detail-oriented Japanese make maps of Korea that were so incorrect? Did they do so on purpose? Was the Korean spiritual and nationalistic link with their mountains energies so embedded that it needed to be wiped out? When the Koreans achieved liberation, they entered a period of reinventing their self-identity. In only thirtyfive years, they had gone from a peasant monarchicalruled people to a semi-industrialized occupied one. During their occupation, various factions of the population had either resisted the Japanese, collaborated with them, or just plain survived. The resistance movements swung away from the old monarchal ideals. The last ruler of the Joseon kingdom had been unable to repel the Japanese. In fact, one of the main reasons the Japanese military had arrived on the peninsula was to assist King Gojong against rebelling peasant farmers who were protesting for greater equality from centuries of classist ru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re were two primary forms of resistance, a communist party and a western nationalistic drive. The communist resistance operated from the northern regions of the occupied peninsula, about the same time Mao Tse-tung was leading the revolution against imperial rule in China. It was also a region of Korea that the Japanese were using in their attempt to occupy China.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the underground resistance aligned more with the values of western powers like Great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some of their leaders were based overseas. Not long after Korea's August 15, 1945 liberation, foreign forces split the country into two nations. A Soviet-influenced government led by Kim IL-sung was established in the north, while in the south a westernflavoured government was led by Rhee Syngman. The Korean people never had a chance to vote for a chosen leader within an undivided Korea. Despite the end of Japanese occupation, they were not one nation, and the Baekdu Daegan was wrapped in barbed wire at its middle.

4


The Baekdu Daegan in the late 20th century.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Korean Civil War, both North and South Korea began periods of reconstruction. Their recovery was more or less even through the 1950s and 60s and into the 70s. In the 1980s South Koreans started to gain better economic freedom and with it more recreational time and interest in outdoor activities. There is no record of who was the first person to through-hike the Baekdu Daegan in South Korea, though there are many claims. It's probable that interest in exploring the Baekdu Daegan formed through an amalgamation of many efforts by many newly formed hiking clubs. But, there is a record of the Korean Alpine Federation conducting explorations of large sections of the Baekdu Daegan from 1968, completing it in 1972. But the language of Baekdu Daegan was apparently not used. Instead they named that expedition the national ridge walk of unification. About that time, a cartographer named, Lee Woohyung, who had been involved with the Korea Alpine Federations national ridge walk, found a 1913 print of the 18th century San-gyeongpyo. As I wrote earlier, in this famous maps legend, the term Baekdu Daegan,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s displayed. It is said, that this rediscovery by Lee Woo-hyung, led him to bestow Korea’s national ridge with its original title of Baekdu Daegan. There is a first-ever recording of a woman (Nam Nanhee) completing the 687km South Korean section in 1984, and for that reason, she is the first person to have through-hiked it successfully. Her feat, and the efforts of others afterwards, started an interest for outdoor enthusiasts seeking adventures and life inspiring journeys inside South Korea.

5

When I visited the Baekdu Daegan in 2007, I found that most people who lived away from the Baekdu Daegan, in the cities, particularly younger people, had still never even heard of it, and I’m pretty sure this wasn’t poor pronunciation on my behalf. Since 2010, where I have lived in South Korea, I have seen the Baekdu Daegan grow as a recognized geographical feature and nationalistic symbol of Korea’s ecology. Most of this popularity comes from Koreans hiking it (some of them well known) and writing books describing their pilgrimage as a life-changing event. In 2011, Park Won-soon walked the Baekdu Daegan before he was elected mayor of Seoul. He wrote that the trek was incredibly self-inspiring. It was for me

too, and I’m not Korean. Efforts by the Baekdu Daegan’s custodian, the Korea Forest Service, to knit the ridge together began only in 1996, with the publication of a paper on the literary collection of the Baekdu Daegan. In 2003 legislation began on the protection of parts of it and has been expanding since, although sections of the Baekdu Daegan remain precariously close to thoughtless development or destruction. Over time, the Korea Forest Service has had to overcome conflict between shareholders of the Baekdu Daegan, including landowners, farmers, and local counties, assisting them with education and preservation projects on the importance of the biosphere and watershed of the Baekdu Daegan. Their efforts include improving the lifestyles of those that live alongside the Baekdu Daegan, with increased income from enhanced farming techniques like organic farming and managed sustainability of the land, and growing tourism. By recognizing it as a ridge trail, the Korea Forest Service has supported local counties with trail and wildlife management projects in the parts where it passes through their counties. Trail maintenance to control erosion, signage, and the construction of surveillancemonitored eco corridors, or road tunnels where the ridge is cut by a vehicular road, now allows recorded movements of wildlife migrating safely along the crest of the Baekdu Daegan. The Korea Forest Service also has grand designs to nominate the Baekdu Daegan as a UNESCO biosphere reserve, but unfortunately their ambitions cover only the South Korean section. The Baekdu Daegan, although an essential geographical feature of the Korean peninsula, is not a national trail. It is still just a ridge that long distant trekkers ambitiously hike. The main reason, I assume, it is still not a national trail is because sections of it remain out of bounds to the general public. Eight national parks sit on the Baekdu Daegan. Currently, in four of those parks, some of the ridge trail is closed indefinitely for wildlife conservation, or the ridge is deemed too treacherous. This hasn't stopped many thousands of Korean hikers, and sometimes nonKorean hikers, from passing through these closed areas, so to complete their spiritual pilgrimage. It remains a topic of heated controversy today. Many hikers demand that these sections should be opened and managed on a restricted entry basis with permits. If this were allowed, the Baekdu Daegan might have a chance of being better managed as a national trail and


protected as a whole ecosystem, instead of a disjointed collection of local bodies. South Korea with its plethora of old and new trails deserves to have a world class national trail that it can promote to the global community and symbolize as a backbone of un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Baekdu Daegan then can continue to grow in popularity not only as a long-distance route, but as a respected biosphere, a conduit of Korea's lifegiving energies, and as a symbol of nationalism and reunification. In the 2018 Winter Olympics, hosted on its flanks, the Baekdu Daegan in South Korea was brought to the forefront. President Moon Jae-in in his opening speech of the games referred to the Baekdu Daegan as being the spine of Korea, joining the nation from Paektusan in the north, to Halla-san in the south. North Korea joined the Winter Olympics, and both nations marched into the stadium as one country under one flag. In North Korea, the Baekdu Daegan remains mostly pristine and untrekked, like the back of a long sleeping dragon, unexplored, yet to be agitated by humans. As much as I’d like to see North Korea open up and allow visitors to explore its vast untouched outdoors, there is a pureness about its uncontaminated beauty and a precious innocence of its secluded rural peoples that should be respected. The Baekdu Daegan in North Korea has never been through-hiked, at least there is no recording of that. Recreational hiking in North Korea remains an activity that very few elect to do or have time for. Of course, some travel to their famous mountains for recreational leisure, Kumgang-san and Myohyang-san, both reachable from Pyongyang. Paektu-san in the far north is much harder to access. However, all North Koreans strive to make the pilgrimage there at least once in their life, because the peak and its surrounding area is seen as the sacred mountain of revolution, referring to Kim IL Sung's anti-Japanese partisans that fought and lived in that area. Military cadets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boys and girls, make the long march from the small township of Samji-yon at the foot of Paektu-san, the red flag of communism held aloft at the front, to the peak. Afterwards they camp at the larch pine forested bivouacs of the anti-Japanese fighters, now kept as historic sites. There they pass the night around a campfire singing songs of patriotism to

the tones of a well-played accordion. The Baekdu Daegan in North Korea is called the Paektu Dae San Julgi. In August of the same year as South Korea did (1996), research on the Baekdu Daegan began in North Korea with the publication of a paper titled ‘Chosun is one territory connected by one mountain range spreading out from Mt Paektu’. It disproved in a patriotic way that all attempts by the Japanese to break up Korea’s interconnected mountain system was futile and wrong. The Baekdu Daegan (north to south) was recorded as being 1470km in length. Lengths vary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Its endpoint in the south was noted as the peak of Kujae-bong 768m, just south of Jiri-san near the mouth of the Seomjin-gang river. Some South Koreans prefer this theory too. Paektu Dae San Julgi literally means all mountains and ridges are rooted back to Paektu-san. The North Koreans see it as a holistic whole. Nonetheless, in North Korea, the Paektu Dae San Julgi is still little researched. It remains a wild landscape with a rich biosphere. The people who live alongside the Paektu Dae San Julgi in North Korea that I worked with have great respect for its presence and provisions. They know it’s there, it’s part of who they are, as it was for their forefathers. They have a deep knowledge of its abundance in herbs, spices, flowers, plants, trees, animals, and waterways. Although there is no recreational signposted trail on its crest or its flanks, the Baekdu Daegan and all mountains in North Korea are still used by the local people as a passage from one village to another. They cross the Baekdu Daegan, and sometimes for many kilometres walk along it, where it has been eroded into an old pathway. Quite fascinating. The Baekdu Daegan in North Korea is possibly one of the last unexplored regions of the world. Tigers and leopards, and other creatures have also used the Baekdu Daegan as a pathway on which to migrate, and may still exist. Indeed, if the Baekdu Daegan were to become a UNESCO biosphere, it's nomination from the south would be more valid if they included the North Korean section. Then the northerners and the southerners could work jointly on a project that would make the Baekdu Daegan not only a biosphere but also a cultural symbol of one nation, a national trail of reunification.

6


My introduction to the Baekdu Daegan. My first visit to the Baekdu Daegan came in 2006 entirely by chance. I had taught English in South Korea for one year in 2000, spending weekends in its many hills and temples, establishing that Korea was a mountainous nation with a very different culture from my native New Zealand. In 2006, I took owed leave from my employer, the New Zealand Police, and went to Korea to hike its national parks. At that time my friend Andrew, who had been working in Korea since 2000, showed me a small map with a red line squiggling down its centre. The Baekdu Daegan, said Andrew, was a ridge that Koreans hiked as a long distance trail. I immediately decided to hike the Baekdu Daegan. The internet was still morphing, and English information on the Baekdu Daegan was non-existent. But I found a large sheet map hanging on a bus terminal wall illustrating South Korea’s expressways, mountains, and ridge systems. On it was a thick green line depicting the Baekdu Daegan and most of the mountains it passed over. Let's say I acquired that map. Andrew transliterated the names of the mountain peaks of the Baekdu Daegan into English and away I went. I started on a hot day in early June 2006, climbing the steep trails of Jiri-san up to South Korea’s highest mainland peak Cheonwang-bong 1915m, also the start (or endpoint) point of the Baekdu Daegan. As I walked, I became drawn to the fact that each day I didn't know what lay ahead. That I was just following a list of mountains on a ridge in a foreign land, taken aback by Korea’s sparkling beauty. The mountain lines were endless and splayed everywhere, and here I was walking on the central ridge of the entire system. Even though I didn’t know at the time, I had a feeling it was all interconnected. It looked like any ridge you wanted would take you somewhere. Like a high altitude conveyor system. This ridge was an undulating mixture of low lying green shrubbery, thinly forested pathways, and tricky clusters of granite rock. Roads intersected it, allowing me to recover and find food from small villages and towns. Various artefacts adorned the peaks, signifying to me a unique history. In parts, ancient fortress walls that had kept warring kingdoms apart traversed the ridge. Temples jotted the ledges beneath. All the while I had a long range view of the whole of Korea. 7

As Korea is a small busy land, I met people. Inside national parks, I was invited to eat alongside them, sharing fresh vegetables, fruit, rice, and even barbecued pork. On roadsides, when I hitched down to get supplies, the drivers were friendly and invited me for lunch or a drink. Inside the villages, old folk would waddle up, check me out, and ask if I needed some food or water. On the trail, I met Koreans with big packs hiking the Baekdu Daegan, and when asked by them what I was doing, I said I was doing the same. They’d gasp and stop. They couldn’t believe a foreigner knew about the Baekdu Daegan. The conversations I had on top of this high ridge were excellent moments for me to find out more about the Baekdu Daegan. The Koreans told me that to walk the Baekdu Daegan made them feel more Korean. In my mind, the Baekdu Daegan began to take the shape of an ancient pathway (although it wasn't) and that I was the lone foreigner to have stumbled onto it (which I was). It was a remarkable discovery. I was almost halfway through the Baekdu Daegan when I started thinking that I should be documenting all of this. There was a growing sense of disappointment that I hadn’t. By then (early July) Korea was experiencing one its worst monsoons, and I was wet to the bone, trudging in mud. Glum, I decided to take a break from the ridge. That night, in the dry warmness of a small room, with a cold beer, I decided I would leave the Baekdu Daegan and instead walk it next year. And to repair my disappointment, I would make a first-ever English guidebook on this new finding. I had never made a book before. In late August 2007, I returned to Korea, and on the 2nd of September, this time with Andrew, I set off with a plan to walk this long ridge, enjoy it, and write a guidebook on it. We completed the trek, a planned seventy-day journey, and became the first recognised foreigners to walk the ridge from Jiri-san to Jinbu-ryeong, just past Seorak-san. We even got the rare opportunity to walk up a winding military road inside the restricted zone to the last official peak within South Korea, Hyangno-bong 1287m, only two kilometres south of the demilitarised zone. From there we got glimpses of North Korea. That was I think where the seed to go North germinated. Later, I actually sent an email to their official governmental website, and even got a reply, stating it was not possible at that time.


The walk had been fantastic. We got to see the seasonal changes from summer greens to autumn reds, oranges, yellows, and the crusty browns of early winter. The people we met were always hospitable, and the landscape was ever changing. It was an incredible way to discover this little-known nation.

regret was overcome with glee. Yes, it was ridiculous that after six weeks I could still see my start point, but it was also an exhilarating feeling of ‘so what!' Time and distance didn't matter, for I was in the Now! My glee turned to a small boy’s laughter, and my mind felt free.

We returned to our respective vocations and for the next two years went about making the first draft of the guidebook. Translations of information boards we had collected were coming through, and as I started to read them, the power of the Baekdu Daegan and its meanings, along with numerous folk tales we heard, began to feed my imagination. Meanwhile, a publisher in Seoul agreed to make the book. By April 2009, after our work on the book, I took more leave from my employer, this time unpaid, and returned to explore South Korea more on foot. I had the bug.

Just then someone tapped me gently on the shoulder. Embarrassed, I turned around and saw a woman holding out a small paper cup. I stopped giggling and took it. The first thing I remember was that it was ice cold. I looked down inside the cup at a white milky liquid with some gold coloured flecks floating in it. I smelt it. It was odourless. I put the coolness to my lips, and as soon as the drink hit the roof of my mouth, I felt a euphoria. It was riveting and delicious. I thanked her, and without a word, she walked into the forest, and was gone.

I planned to hike the subsidiary ridges (veins) that sprouted from the spine of the Baekdu Daegan. In South Korea, there were seven. In three months, I wanted to ambitiously complete about 2000km, four of them. That saunter changed my life course. Let me cut a long story (or journey) short. I was ten weeks into my walking and six weeks into my second vein, the oxbow-shaped Honam-jeongmaek in southwest Korea. I was, if I’m allowed to flatter myself, feeling quite brilliant. By then, the body was honed and handling the physicality eagerly. I was in peak condition. The concept of walking every day never knowing what you were going to see, where you were going to sleep, who you might meet, was nirvana-like. The mental luggage I was carrying from work, bills, mortgage, future planning, past issues, had all been blown away by the daily wind around me. I felt primal and free, like a beast.

The effects of the potion still twinkling in my head, I looked back over the cascading mountains and admired their infinite beauty. I had been wandering for over two months, a proud bum, a rambling wanderer, a free man, and I liked it. The mountain landscape that I was absorbing was, in a foreign sense, still very untraveled. I asked myself, could I continue to do this? I decided there and then that I would leave my highly earned and enjoyable position in the Diplomatic Protection Squad of the New Zealand Police and start a business in Korea.

It was a brilliantly clear day. The sky was so blue it was hard to believe there was a black universe behind it. One could see forever. I was standing on a ridge staring at a distinctive peak on the far horizon that stood above all the others. I wondered what peak it was. I got my map and compass out. I figured its distance, at least 50km. I shot a compass bearing, did some calculations, did them again, then muttered to myself, ‘surely not.’ I was looking at the cluster of Jirisan, probably Banya-bong (1732m) in the region of my start point from six weeks ago. My first reactions were anger and disappointment. How could I, after all this time, have travelled so little? But at the same time, my

I’m not religious or openly spiritual, but some Buddhist monks have told me that I’m fulfilling a karmic fate or in-yeon (인연) in Korea, and that my moment on that ridge where I made my life-changing decision was more than likely a spark of enlightenment achieved through long-distance hiking, a kind of intensive meditation. I had acted on it instantly, whereas others may have let it drift away. HIKEKOREA began a year later in December 2010.

8


The idea to go North. I had put the idea to a South Korean friend of mine, an ex-publisher, that I wanted to publish a photo art book on the mountains of South Korea. He quashed my notion, stating there were already many books on this subject, that none of them did well, and why would one from an unrecognised wannabe photographer be any better? I felt dented, like I had just backed my car into another. He then looked me in the eye, and with a wagging finger, told me that as a New Zealander I could go to North Korea. Photos of mountains there would have value. It was the first time I had really thought about going to North Korea, and I liked the idea. I began thinking about how to get to North Korea and what to do there. I studied maps, looking for mountains. At first, it was just their tourist peaks, the sacred ones of Paektu-san, Kumgang-san, Myohyangsan, and maybe even the remoter and lesser-known Kuwol and Chilbo-san. But I still felt empty handed. Then it dawned on me that I should try to capture images of the mountains of the Baekdu Daegan in North Korea! Surely that had never been done before! I had made a guidebook on the south. Why not complete it by going north? But would the North Koreans go along with my idea? I began looking for a contact in North Korea. I started with government contacts back in New Zealand, which led me to an NGO named the New Zealand Korea Friendship Society. I made a visit to New Zealand and met the two men that headed it, Reverend Donald Borrie and Peter Wilson. It was summer in Auckland and both of them, elderly gentlemen, were dressed in formal walk shorts. Don wore short socks in Roman sandals, and Pete had long walking socks on a pair of chicken legs tucked into a set of soft dress shoes. I'm pretty sure I saw a ballpoint pen in the top of one of his walking socks. They were a couple of old-school characters, and we got on well. They listened to my story and said they would help. I sent my first email to the North Korean arm of the Friendship Society and didn’t get a reply. I sent another and some weeks later got a reply.

9

In May 2011 I was on my way to Pyongyang to meet Hwang Sung Chol, the Secretary-General of the Korea New Zealand Friendship Society. By then I was reading travel literature on North Korea, none of it very inviting. It left me wondering what I was getting myself into. It all felt risky. The visit was an

introduction, a way for us to meet each other and see how I responded to their culture. One night in Myohyang-san Hwang and I (as he said later) found the truth in the bottom of a bottle of Johnny Walker, and we got to know each other better. The next day with splitting headaches we climbed Myohyang-san. It was to be the first of many slopes and not the last of many more hills. Back in Pyongyang, I put my case to the Friendship Society. I had maps of the Korean peninsula splayed out on the restaurant table, showing them the outline of the Baekdu Daegan and what mountains on it in the north I wanted to target. I told them the photo art book would be the first of its kind, North and South Korea combined as One, using their mountains as the spine that binds them. They observed, but made no promise. I returned to South Korea optimistic. I emailed the Friendship Society with my first list of mountains for a one-month expedition. To my surprise, they got approval and I was asked to prepare for my first expedition in October that same year (2011). Through email, we negotiated a price. As this was my idea, I agreed to pay for the operating costs of a one-month expedition: a rental vehicle and its running costs, a driver, two staff members, and all accommodations and meals for that period. The photo art book would be sold in the south; this is where I could try to recoup my costs. The book would not be available in the north. In a socialist society, it had no economic value, but the more serious problem was the Korean language. The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languages differ, and no book written in southern dialect with southern terminologies would be permitted in the north. The opposite applied in the south too. Cold war hangovers. As October neared and I prepared for the expedition, I experienced a mixture of excitement and doubt. Would the undocumented mountains I selected be picturesque? (There was no photographic imagery of these peaks to be found anywhere). Would the weather be kind for taking photos? Would the North Koreans follow their end of the deal and get me to the peaks, or would they come up with daily excuses not to? Was it just a big setup? And then later if it all worked out, would my work be well received in the south, or anywhere for that matter?


On top of all of that, there was the pressure of whether I was experienced or skilled enough to take acceptable photos. What I did know was that this was a once in a lifetime opportunity. Despite my doubts, I had to go and do the best I could with this wacky challenge. So I went.

a fortune anywhere else in northeast Asia. Bundles of a leafy mountain plant called Gom-chwi, a kind of ragwort leaf which the Koreans ferment and use as a food wrapping around spoon sized balls of rice. Fermented fronds of fern bracken the Koreans call Gosari and many other green things.

Equipment, food &

The Korean people north and south have for thousands of years foraged their verdant and fertile mountains for herbs and spices. In the north, this tradition of fresh unwrapped produce is still alive and well. In the south, it is a food art the rural folk still apply, especially in the valleys of the Baekdu Daegan. But in the consumerist cities, the food is now found wrapped in plastic on supermarket shelves.

sponsorship. In South Korea, where I live, I travel at will. Time allows me to explore the Baekdu Daegan extensively, including camping out on peaks. In North Korea, such luxuries and time are not available. It’s not possible to walk the length of the unexplored Baekdu Daegan in North Korea, so the only option is to explore as many peaks within the time frames I can manage and afford. To do this my North Korean colleagues and I use a vehicle. On all my expeditions it was the same vehicle, a 1970s HJZ Toyota Land Cruiser. With close to 400,000km on the clock, it proved to be a reliable horse, give or take the odd unavoidable puncture. We would load the back with non-perishable foods from Pyongyang. Sacks of rice, canned fish and meats, biscuits, peanuts, water flagons, acorn soju, and fermented vegetables that the men’s wives had prepared. We would replace these goods on the road, usually in a town centre. Out in the countryside, there was no chance of that, as there were no stores. But this wasn’t such a bad thing as it meant our fresh produce now came from the rural folk who farmed it. Slaughtered rabbit, sheep, dog, pig, or duck was not a daily meal, but when it was around we’d offer to buy it. Sometimes the locals would prepare it for us. Some of the meats tasted gamey and wild. From the clean mountain streams, our local hosts would sometimes provide us with small fishes, not caught by traditional methods but with a pair of conducting rods and a 6-volt-battery. After zapping the water, the digit-sized fishes would rise belly-up to the surface, enough to fill a baseball cap. Gutting them was done by squeezing with thumb and forefinger. We weren’t short on vegetables. The countryside provided us with an assortment of healthy foods. Delicious potatoes which we roasted or steamed under river sand on fires. Chewy maize cob, hand-sized sprouts of famous Songi mushrooms which are worth

I ate naturally in North Korea. Passing through the quiet countryside with its beanstalk hamlets and grassy banked streams, never seeing the bright coloured sign of a corner store, meant never consuming junk foods and drinks. That was a new feeling. We would top up the 20-litre water flagons with drinkable water from Baekdu Daegan mountain streams. Water sanitation in North Korea, especially in the countryside, is undeveloped, so we had to be careful where we bottled it. Even above the last village at the end of a valley at the foot of the mountains where we set up our tents, where the water gushed out cold and fast, we had to still be careful. Every day, a shepherd would send the village cows and goats past our tents to graze in the hills. Animal waste can end up in the stream. Over a flame fire, we boiled the water from these regions along with our meals. But during the long treks up to the ridge in the steep valleys where cattle couldn’t pass we would fill up our drinking water bottles from the purest streams you will ever see in Korea. The other liquid form we favoured was alcoholic. North Koreans have a broad array of flavours for their staple drink called soju, a white spirit made usually from rice. It tastes a bit like vodka and is ubiquitous all over the peninsula. Most of it is manufactured commercially in cities. Out in the countryside of North Korea, the local people still make it themselves, mainly from maize and acorn. The maize brew is wicked, a stinging 45 percent of firewater that you could start a lawnmower. It takes some acquiring, but it works well. The acorn brew is much sweeter and at about 20

10


percent, an excellent drink to spend an evening around a campfire with, which we did a lot. Sometimes we’d drop wild raspberries into the soju giving it a bittersweet taste. I sampled other soju flavours in my travels. In the northern region of Ryanggang–do I was surprised to taste an apricot one, which I determined had a chocolaty taste, which was odd but had its useful moments. Up there, their staple is potato soju. The high escarpment area is low on rice harvest, so potatoes are the main crop. The best are grown in the Daeheung–dan region, and the soju they make from them has a robust taste that’ll give you ruddy cheeks and a cheery voice. In the central provinces of North Korea, other flavours were discovered and sampled. Punchy twangs from Songi mushroom soju, gold coloured honey sojus, and earthy tasting ginseng sojus. The Koreans have a long tradition of distilling alcohol, and have been mastering the craft for thousands of years. In the South, where the rice harvests are warmer, the Koreans brew a drink made from fermented rice, yeast, and water, called makoli. It is a white effervescent drink, similar in my opinion to creaming soda, but I prefer to call it mountain milk. The cities mass bottle commercial brands, but like the local handmade soju’s in the colder North, each county region in the South has its own brand of makoli. The differences in taste are subtle, depending on the rice and water. The makoli’s are normally named after a local mountain, as that is where the water comes from to produce the rice. The tradition of local distilling was banis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lthough many recipes were saved, many vanished during the prohibition years.

11

In the towns, if there were a tourist hotel, we’d stay at that. In the mountains, we’d camp out, which we did a lot, always a highlight. We carried two types of tents, both of them generously sponsored to me. In the 2011 and 2012 expeditions, I used a Tepee brand tent supplied by Garmin Korea that could house ten people, although most of the time we were no more than five. Our driver always slept inside the Land Cruiser, his second wife we joked. Garmin Korea also supplied me with quality sleeping mats. Other equipment, like sleeping bags, boots, fly sheets, machetes, I would arrange myself. In the two 2017 expeditions, I was fortunate to get some sponsorship from a Korean outdoor gear supplier called ZEROGRAM. They gave

me two excellent and durable four-man Sahale tents, three-season sleeping bags, down jackets, headlamps, and kit bags. These sponsorships saved me a lot on spending. I was also fortunate to get help from organisations like the Korea Forest Service in the South that would buy my published photo art books. Crowdfunding projects in Korea have helped significantly with the operating costs of this work. I started them up after the completion of my self-funded expeditions. Later on, with book sales and exhibitions, I was content just to get back what I had put in. The real satisfaction comes from supporters that appreciate my work and identify a value in it. They make me believe that by knitting mountains of the Baekdu Daegan together, I’m also bringing the people together. In the end I couldn’t have done this work without the help and support of the Korean people.

The photography I’m not a trained photographer. When I decided to take photos of Korean mountains, I taught myself how to use an SLR camera, then relied on my appreciation of the mountains to compose and expose what I saw. Like all crafts, it developed over time and still is. The number one rule of mountain photography is you have to be in the mountains. Mountains won’t pose for you; you can’t ask them to move this way and that but have to navigate around these giant massifs and find the angle you like. You can’t turn on the light and make them glow; you’ve got to wait for the moment. In South Korea, I could take my time, spending days planning my route, and waiting for favourable weather conditions. The north was different. For North Korea, I plotted out a list of mountains to cover in a certain amount of time. My North Korean colleagues and I tasked ourselves with getting to a new mountain every second day. We went as far as possible in a vehicle, with the rest of the work on foot. Practically all the peaks in North Korea had yet to be photographed, so there was no way of knowing what my choices looked like. The pioneering was great but problematic as well. We’d walk up a bare trail the quickest way we could get to the peak. Often the trail disappeared into thicket forcing us to slash our way through. If I saw good photos, I’d take them, but not hang around. I knew there might be better locations ahead, especially on the peak, so we’d keep climbing and walking, pushing hard. At the summits,


while the men rested, I’d try to take the best possible photos, even if the view in front of me was mediocre. I couldn’t hang out on the peak for days waiting for the weather to improve or the light to arrive, or an angle to magically appear. Some peaks were densely forested, even above 2000m, frustrating, but part of the adventure. In these cases, I’d strap my camera tightly on my back, slip an extra lens in my pocket, and climb a tree as high as I could to get a peek out over the top. I felt like a kid again. But kids climb trees better than adults! I took some of the photos in this book like that. We’d then get back down the mountain, pack up, and move on to the next peak. Where mountains weren’t spectacular enough or weather hadn’t permitted it, those photos weren’t selected for the book. But wherever I thought a photo was reasonable, I’d choose it for the book, because these are historical documents that should be seen, the first photos ever taken of these faraway never reached peaks. People often ask me what camera I use. I’ve used three different camera models during my expeditions, all of them Sony DSLR’s. An A100 (their first DSLR), an A350, and an A77II. These are not top of the range cameras, but I chose to learn photography with Sony, so stuck with the brand. I can work their gear in the pitch black of the night if I have to. As back up, I carried an old Canon AE1, a Nikon Coolpix, and in 2017 an iPhone5 and a Polaroid Snap. The Polaroid was handy for taking photos of the men I worked with so that they had a memory. During my 2017 expeditions, I was getting what I thought was camera flare through my primary lens (16-80mm) that would develop on some of the photos, especially in low morning bright light. Lens cleaning or drying-out didn’t rectify it. I later found out it was mould. I decided to leave this defect in my images rather than patch it out, not having the requisite editing skills or patience. My photos are what they are, give or take a few shifts of the toolbar; they are unedited and not tampered with barring the removal of dust spots, bugs, and the smudgy blot of a long distant bird in the sky. For the offset printing of the book, output sharpening was applied. Now that you know how I captured the work, I do hope you enjoy it. 12


한반도 산의 역사 이 포토아트북은 2013년 이후 발간한 사진집 시리즈의 세 번째 책이다. 2017년에 다녀온 두 번의 원정과 2018 년 여행을 포함한 네 번에 걸친 기나긴 출사 원정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책이기도 하다. 쪽 수가 많아졌고(250쪽), 여행 중 틈틈이 써놓은 메모와 관찰을 바탕으로 쓴 여행기를 처음으로 수록했다. 이 책을 통해 북에서의 나의 여정과 아직도 냉전 시대의 해묵은 기행과 정치 이데올로기로 갈라진 남북을 나로 하여금 단일 민족 국가로 보게 만든 산의 가르침도 널리 알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국은 거대한 아시아 대륙에서 돌출한 반도에 자리한 작은 나라로, 중국, 러시아, 섬나라 일본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이들 열강은 언제나 정치적, 군사적 문화적인 압력으로 한민족에게 영향을 끼쳐왔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자조적으로 자신들을 고래 사이에 끼인 새우에 비유한다. 하지만 한민족은 이웃 나라 사람들과는 다르고 특이한 민족이다. 여러 부족 언어로부터 수천 년에 걸쳐 발전해온 민족의 공통 언어가 가장 두드러진다. 한반도에서 눈을 들어 좌우를 돌아보라. 가파르게 우뚝 솟은 봉우리가 보이지 않는 곳이 거의 없을 것이다. 한민족이 산으로 둘러싸인 땅에 살기 시작한 첫날부터 훗날 병풍에 그려지는 산수화가 그들의 영혼에 그려지기 시작했다. 물고기가 물을 보듯 한민족은 산을 본 것이다. 산의 이미지가 그들의 정체성을 형성했고, 언어, 미술, 문학, 음식, 문화와 역사에 각인되기 시작했다. 현대화로 고층 건물 같은 새로운 방해물이 생겨나 산의 조망이 막힌 곳도 있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이런 콘크리트 정글을 벗어나 화강암 첨봉과 숲이 우거진 푸른 계곡으로 향한다.

13

한민족 건국 신화에 따르면, 하늘의 신 환인이 아들 환웅에게 하늘의 보물 천부인 3개와 3천의 무리를 태백산으로 보내 새로운 왕국을 만들게 했다. 태백산이 정확히 어디였는지는 지금껏 확실하게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일부는 한반도의 최고봉이자 가장 추앙받는 백두산일 거라고 주장한다. 백두산은 눈 또는, 화산에서 분출된 부석으로 인해 항상 하얗게 보인다거나, 백발을 한 현자의 머리처럼 보인다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환웅이 나라를 만들고 다스리기 시작하는 것을 본 곰과 호랑이가 그에게 다가가 사람이 되고 싶다고 빌었다. 환웅이 그들에게 굴로 들어가 쑥과 마늘만 먹고 100 일을 지내고 나오면 사람이 될 것이라고 일렀다. 심술궂고 게으른 호랑이는 견디지 못하고 50일 만에 도망쳐버렸다. 참을성 많은 곰은 끝까지 수도한 끝에 여자가 되었다. 웅녀(熊女: 모계 혈통의 지신을 상징) 는 남편이 없었으나 아이를 낳고자 하였다. 이에 환웅이 도와 아들을 낳았고, 그가 바로 한민족 최초의 군주가 된 단군이었다. 단군이 세운 왕국의 이름은 고조선이었다.

고조선의 개국 일(기원전 2333년 10월 3일)은 지금도 한국에서 “개천절”로 기념하는 국경일이다. 단군은 아사달을 수도로 정했는데, 정확한 위치가 어디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 북한 정부가 평양 바로 동쪽에 있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단군왕검은 수백 년을 살았고, 그가 죽은 후에는 지금은 북한 땅이 된 구월산의 산신이 되어 지금껏 우리에게 살아있다. 보다 현실적으로 접근한 가설은 서로 대립하던 부족의 왕자와 공주가 혼인을 함으로써 고조선이 형성됐다는 것이다. 호랑이를 애니미즘의 토템으로 사용하던 부족이 그들의 왕자를 곰을 토템으로 하던 부족의 공주와 결혼시켰고, 그들의 아들 단군이 새로 동맹한 여러 부족을 고조선으로 묶어 다스리게 됐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가설은 이렇다. 호랑이를 애니미즘의 토템으로 쓰던 석기시대의 한 부족이 곰을 토템으로 쓰던 다른 부족과 다투며, 환웅의 영험한 산 위의 왕국으로 상징되는 청동기시대 부족에 먼저 합류하려고 했다. 곰의 부족이 경쟁에서 이겼고, 족장의 딸이 환웅과 결혼해 정치적 평화 통일을 이루게 됐다. 이어, 그들의 아들 단군이 조선이라는 이름의 부족 연합을 창건했고, 이를 우리는 오늘 고조선이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단군은 실존한 사람이었고 신화적 인물이 아니었다. 단군과 그 부인은 당시의 사람들의 평균 키보다 컸다고 한다. 거인은 아니었지만, 약 173cm 정도로 훨씬 컸다는 것이다. 그들은 한반도에서 자기 고유의 언어를 쓰고, 이웃한 중국의 한족이나, 몽골인, 퉁구스족, 일본의 섬사람들과는 다른 특유한 사람들로 왕국을 이루었다. 이 이론이 언제 신화가 되었는지, 혹은 신화가 이론이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일부에서는 20세기 초에 일본이 조선을 점령하고 조선어, 옛 전통, 구전 역사를 금지하며 문화의 종속을 조선인에게 강요하면서 신화로 둔갑해버렸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1994년 북한 지도자 김일성에 의해 수정됐다. 김일성은 단군릉의 위치와 그 역사를 조사하도록 명했다. 그 결과 단군왕검의 능이 있던 자리였다는 태백산이라고 불리는 평양 근교의 조그만 산기슭에 능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과학적 증거는 어디에도 없었다. 2011년 5월에 능을 방문했을 때, 단군왕검을 비롯한 옛 조선의 왕과 여왕의 유해는 예부터 비밀리에 다뤄졌고 밀려오는 외적의 침략을 피해 수백 년 동안 이리저리 옮겨져 왔다는 말을 들었다. 이처럼 단군왕검과 왕후의 유해는 세월에 묻혀 유실된 상태였으나, 김일성의 조사로 인해 그들의 옛 무덤 터(수백 년 동안 몇 번이고 옮겨졌을 터이지만)는 현재의 능 자리로 미심쩍은 이장을 하게 됐다.


산신은 산에는 영이 깃들어 있어 정성 들여 모시면 산에 더불어 사는 사람들에게 안전한 통행과 풍년을 가져다준다고 믿는 한반도의 신앙이다. 이는 수천 년 전 조선 땅에 무당이 옮겨와 살면서 생겨났을 수도 있는 하나의 관습이다. 한국인의 뿌리에 관해서는 아직도 논쟁이 격렬하다. DNA 표본은 일본인, 중국 북부 한족, 몽골인, 멀게는 시베리아 평원의 퉁구스족과 터키족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나의 전문 분야는 아니지만, 이 땅이 75% 이상 산으로 덮여 있는 반도라는 것을 생각하면, 고대 조선인들이 그들을 에워쌌던 산에 경외감을 느꼈으리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산신이 깃들어 있다는 곳은 나무, 바위, 동굴, 폭포, 봉우리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런 곳은 풍수의 기가 강하거나, 형용하기 어려운 마력으로 인해 무당이나 보통 사람들로 하여금 신령을 숭배하게 만드는 장소다. 옛 조선의 산은 여행에 언제나 안전한 곳은 아니었기에 산등성이나 계곡을 넘는 고갯마루가 있는 옛길에는 여행자들이 멈춰 산신령에 경배할 수 있는 작은 돌무더기나 신령수 또는 목조 움막이 있게 마련이었다. 길손들은 쌀이나 소주를 신령께 바치고 절을 하며 기도를 한 다음에 갈 길을 갔다. 이런 정성을 들이면 비적이나 호랑이, 표범, 늑대 같은 맹수로부터 보호받게 된다고 믿었다. 산 아래 마을의 산신령 숭배는 농사가 잘되어 풍년이 들고 마을 사람들의 무사 안녕을 기원하기 위함이었다. 인간과 자연의 일종의 친환경적 공존을 위한 의식이었다고나 할까. 기원후 4세기경 불교가 한반도에 들어왔을 때 승려들이 절을 짓고자 했던 터에는 원시 형태의 산신당이나 제단이 이미 세워져 있는 곳이 많았다. 한국 불교는 지역의 이런 신들을 불교 의식에 통합했다. 오늘날에도 한국의 절에 가면 대웅전 뒤쪽 위로 작은 전각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로 산신을 모시는 사당이다. 여기 모신 산신이나 여신은 절터의 주인인 셈이다. 보통은 중년의 여성 신도들이 많이 참배하며 현대를 살아가는 각자의 소원을 산신령께 비는 아주 바쁜 곳이다. 조선 왕조 시대(1392~1910)에 와서야 산신령이 초상화에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눈처럼 흰 백발을 한 노인이 그의 길고 보드라운 수염을 쓰다듬으며 눈에 불이 철철 흐르는 호랑이의 등에 타고 있는 모습이다. 호랑이는 그의 보호자이자 메신저이기도 하다. 그림에는 소년, 소녀 시종이 복숭아와 같은 양기를 돋우는 음식을 쟁반에 담아 바치는 모습이나 소나무, 해, 달, 학과 같은 한국의 전통적인 주제가 평화롭고 조화로운 절경을 배경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많은 선행을 하고 백성과 나라에 자비를 베푼 일생을 산 사람은 산신령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남한에서는 산신령은, 불교의 정통 믿음은 아니지만, 불교에 의해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공산주의의 비종교적, 반미신적 견해로 인해 주요 종교와 민속

의식이 추방된 북한에서도 산신령이라는 말은 잘 알려져 있다. 실제로 나의 원정에 동행했던 사람들에게 이 말을 하면 따뜻하고 애정어린 반응을 보였다. 북의 사찰도 아직은 종교기관 역할을 한다. 한국 전쟁으로 인해 북의 수많은 사찰이 폭격으로 없어졌지만 상당수의 사찰은 다시 지어졌다. 특히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찰은 모두 복원하여, 지금껏 북한 인민과 관광객을 위한 역사적 명승지로 관리하고 있다. 그렇기는 하지만 산신각은 여전히 대웅전 위쪽에 절터의 주인이자 산신령으로 자리하고 있다. 산신령을 숭배하는 한국의 오랜 전통은 오늘의 세계에 살아남은 가장 오래된 현존 종교의식의 하나임이 틀림없다.

사람과 산 전에 설명한 대로, 한반도의 수많은 산과 능선은 한민족의 사고방식에 깊은 자국을 남긴다. 산이 민족의 DNA에 들어가 있는지도 모르겠다. 산, 계곡, 강의 웅장함과 맞닿아 있는 삶은 한민족으로 하여금 스스로 훨씬 중요한 무언가의 일부, 어떤 거대하고 신비한 존재에 둘러싸인 작은 조직체라고 느끼게 한다. 산신령을 숭배하는 고대 신앙, 도교, 인간과 자연의 길을 말하는 선도(조선 도교)와 더불어 후에 전래한 불교와 유교의 수행이 조선같이 산이 많은 곳에 정착한 것은 무리가 아니다. 한반도의 능선에 올라 지평선을 바라보라. 조선에 처음 온 외국인이 기록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라고는 ‘강풍이 부는 바다’의 모습뿐일 것이다. 겹겹이 밀려오는 파도처럼 펼쳐진 푸른 능선을 가리키는 말이다. 한국어에는 이런 풍경을 묘사하는 말이 수없이 많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표현 중 하나는 ‘산 넘어 산’이란 말이다. 한민족에게 이러한 시각적 풍경은 미학이기도 하지만 활력이라는 면에서도 중요하다. 물과 바람과 더불어 조화를 이루는 산과 땅에는 생명을 주는 기가 있으며, 기는 산세를 따라 흐른다고 믿는다. 기가 흐르는 곳을 찾아 기를 잘 이용하여 묘지와 집과 사찰을 짓고, 마을과 군과 도를 세우면 이 땅에 사는 사람들에게 부와 번영을 가져온다고 한다. 한민족은 이를 풍수지리라고 이른다. 뉴질랜드에서는 펭슈이(Feng Shui), 과학적으로는 흙점 (Geomancy)으로 알려져 있다. 한반도에서 말하는 ‘기’는 땅과 반도를 덮고 있는 수많은 산이 뿜어내는 활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9세기 신라 시대 최고의 스님으로 추앙받는 도선국사는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모든 활력을 전하는 주요 통로라는 이론을 주창했다. 이것이 지금껏 알려진 가장 오래된 백두대간에 대한 언급이다. 그는 백두대간이 지기 (땅의 기운)를 주맥을 통해 여러 정맥으로 전하고 이어 반도 전역의 산하로 보낸다고 주장했다. 이런 지기의

14


흐름을 조금이라도 손상하는 일은 나라의 번영과 안녕을 파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산신 숭배를 통해 자연을 보호하는 것이나, 땅에서 인간으로 흐르는 생명을 주는 기운을 이용하고, 그 기운을 다시 땅으로 되돌리는 사회 기반 시설을 분별 있게 건설한다는 것은 고결한 일이라는 것이다. 이 이론에서 기의 원천은 한반도의 최고봉이자 성산 백두산이다.

정간, 열세 개의 정맥으로 체계화해 백두산에서 시작해 지리산에서 끝나는 하나의 산계로 정리했다. 남한에서는 정맥은 주요 하천을 둘러싸고 있어 내륙을 지나 바다로 나가는 강의 흐름을 조절한다. 한반도 북동쪽의 정간은 중국과 경계를 이루는 강(두만강)의 물줄기를 조절한다. 산경표는 백두대간이 하나로 이어진 산줄기로 반도의 등줄기임을 분명히 보여준다.

이와 같은 표현은 인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백두산은 흰머리를 한 남자의 머리요 생명을 주는 기운의 원천으로 그 기운은 그의 등뼈인 백두대간으로 흐른다. 등뼈로부터 기운은 이어진 능선으로, 물길로 흐르고, 농작물, 공기, 물을 통해 마침내는 사람에게 전달된다. 인간의 중추 신경계와 같다. 물길은 인체의 동맥에 해당한다. 백두대간과 여기서 뻗어나간 능선은 인체의 기본 골격과 흡사하다. 한반도의 풍수지리는 동양의 유사한 펭슈이와는 다르다. 물리적 공간은 물론 정신적, 영적 정체성을 이루는 이 땅의 지형이 한민족에게 끼친 영향 때문이다. 이들은 산하가 영혼에 깃든 민족인 것이다.

두 번째 나온 최상의 조선 지도는 1861년에 제작됐다. 바로 대동여지도다. 김정호는 딸과 함께 나무판을 하나하나 쪼아내 인쇄 목판을 만들었다. 완성된 지도는 사진첩처럼 깔끔하게 접히게 했다. 지도의 쪽을 한데 모아 벽에 걸면 높이 6.7m, 너비 3.8m의 걸작이 펼쳐진다. 이 훌륭한 지도를 한 번 바라보라. 한반도에 가득한 산과 강줄기의 생물학적 형상의 역동성을 한눈에 볼 수 있지 않은가. 조선 시대 사람들, 또 선대 사람들이 왜 이 땅이 살아있는 생명체라고 했는지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다. 손으로 하나하나 새긴 인쇄 목판을 들여다보라. 산등성이와 골짜기가 인체의 정맥망과 아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인은 조선인이 그들이 사는 땅에서 느끼는 유대감을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다. 1910년부터 1945년( 실제로는 1895년부터)까지의 조선 강점기 동안, 일본은 이 땅의 능선과 봉우리에 쇠말뚝을 박았다. 조선인은 이를 풍수지리의 기를 파헤쳐 그 흐름을 파괴하려는 처사라고 인식했다. 실제로는 서양식 지도 제작기법을 사용하던 일본인들이 측량용 삼각점 설치를 위해 말뚝을 박았을 가능성이 크다. 1902년 14개월간의 원정에서 일본인들은 말을 타고 전국을 다니며 대대적인 토지측량을 했다. 이 측량에서 일본은 백두대간은 세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진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하나로 이어진 등줄기에서 신성한 기가 흐른다는 기존의 설을 일축해 버린 것이다. 일본은 측량 결과를 그들이 제작한 조선 전도에 반영했다. 일부 조선인들은 일본의 측량 결과에 격렬하게 반박했다. 그러나 일본의 동기가 조선인의 믿음을 억압하려는 데 있었는지와 상관없이 일본이 제작한 조선 지도는 정확하지 않았다! 조선의 모든 산마루는 백두대간으로 연결되고,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발원하며, 백두대간은 한반도를 광활한 아시아 대륙으로 연결하는 유일한 육지 교량이라는 것이 명백한 사실이다. 더구나, 한반도에서 가장 긴 두 강도 백두산에서 발원해 두만강은 동쪽으로, 압록강은 서쪽으로 흘러 중국과 러시아 국경을 형성한다. 한반도는 그 돌출된 지형으로 인해 정교하고 아름다운 지도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디자인이 아주 멋진 지도 몇 점이 18세기와 19세기 조선 시대에 제작된다.

15

백두대간이 최초로 언급된 지도는 1769년에 간행된 산경표로 한반도의 산줄기를 도표로 기록한 것이다. 산경표는 산은 물을 가르고 물은 산을 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산경표는 주요 산줄기를 하나의 대간과 하나의

대동여지도는 백두대간이 끊어진 곳 없이 이어진 한반도의 등줄기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김정호의 전력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다. 그가 사망한 날짜에도 의문이 있다. 김정호의 호는 고산자로 중인 신분이었던 그가 어떻게 대동여지도에 나온 군대의 주둔 위치를 기록한 비밀 지도를 입수할 수 있었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 일부는 기존의 비밀 지도의 세부내용과 범례에 대한 참조 없이 대동여지도를 만들 수 있었던 유일한 방법은 (당시에는 일반인은 지도를 접할 수 없었다) 그의 일생에 걸쳐 한반도 전역을 걸어서 답사하는 것뿐이었을 것이라 주장한다. 사실이면 김정호는 백두대간 전역을 최초로 답사한 사람이었으리라. 과학적 기법이 적용되기 오래전임에도, 두 지도 모두 한반도의 모든 산은 나라의 앞길을 알린다는 백두산에 뿌리를 둔다는 것을 지적한 것은 놀라운 일이다. 그러면 어떻게 그토록 꼼꼼한 일본인이 조선 지도를 그렇게 부정확하게 만들었을까? 의도적이었을까? 조선인의 정신적 민족적 기상이 산의 정기와 너무 밀접하게 얽혀있어 이것을 없앨 필요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해방 후 조선은 자신의 정체성을 되찾아가는 시기를 맞게 된다. 불과 35년 만에 조선인은 왕조 치하의 농부에서 준 공업화된 식민지의 백성이 된다. 강점기 동안, 각계각층의 조선인들은 일본에 항거하거나, 일본에 협력하거나, 그냥 살아남았다. 항일 운동은 옛 왕정의 이상적 규범에서 파생한 것이었다. 조선 왕조의 마지막 임금은 일본을 물리치지 못했다. 사실 일본 군대가 한반도에 진출한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수백 년간의 계급 통치로부터 평등을 외치며 일어난 농민봉기를 맞은


고종을 돕기 위함이었다. 일제 강점기 동안 항일 운동은 공산주의와 서구적 민족주의 운동의 두 갈래로 나뉘었다. 공산주의 항일 운동은 점령된 한반도의 북부지방에서 일어났다. 모택동이 중국의 제국주의 통치에 항거한 혁명을 이끌던 때와 같은 시기였다. 반도의 북부는 일본이 중국을 점령하기 위해 이용하던 지역이기도 했다. 반도 남쪽의 지하 항일 운동은 대영제국, 미국, 프랑스 등 서구 열강의 가치에 기울어 있었고 일부 지도자는 해외를 거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직후, 외국 열강은 한반도를 두 진영으로 나눠버렸다. 김일성을 내세운 친 소련 정부가 북에 들어섰고, 남에는 이승만을 내세운 친 서방 정부가 들어섰다. 조선은 분단되지 않은 나라의 지도자를 선출할 기회를 전혀 얻지 못했다. 일본의 강점이 끝났지만, 나라는 이제 하나가 아니었고, 백두대간의 한 가운데에는 철조망이 쳐지고 말았다.

20세기 후반의 백두대간 한국전쟁이 끝난 후, 남북 모두 복구와 재건기에 돌입했 다. 1950년대부터 60년대를 거쳐 70년대까지는 양측 의 복구가 거의 같은 속도로 진행됐다. 1980년대가 되 자 남한의 경제 사정이 좋아지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여 가 시간이 많아져 야외 활동에 관한 관심도 높아졌다. 저마다 초등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기는 하지만, 백두 대간을 처음 연속종주 한 사람이 누구였는지는 기록이 없다. 수많은 산악회가 새로 생겨나고 이들의 노력이 쌓 이면서 백두대간 탐방의 관심이 높아졌다고 가정할 수 는 있겠다. 다만 대한산악연맹(대산련)에서 1968년부 터 1972년까지 백두대간 전 구간에 걸친 탐사를 주도했 던 기록은 남아있다. 그러나 이 행사의 이름은 ‘통일에 의 의지, 국토 종주 삼천리’로 백두대간이라는 용어는 쓰이지 않았다. 이 무렵 대산련의 국토 종주 행사에 관여했던 고지도 연 구가 이우형 씨가 1980년 초 인사동 헌책방에서 1913 년 조선광문회에서 활자본으로 발간한 18세기 산경표를 발견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산경표의 색인에는 백두대 간이라는 네 글자가 한문으로 적혀있다. 이우형 씨의 산 경표 재발견으로 한반도 주요 산줄기는 원래 이름 백두 대간을 되찾게 되었다고 한다. 1984년에 한 여자(남난희)가 687km의 남측 백두대간 을 완주했다는 첫 기록이 남아있다. 이 기록에 근거하면 그녀가 백두대간을 처음으로 연속종주 하는 데 성공한 사람이 된다. 그녀의 위업과 이후 여러 사람의 노력으로 인해, 남한에서는 탐험과 생에 활력을 주는 여정을 추구 하는 야외 활동가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2007년 내가 백두대간에 처음 갔을 때, 다른 지역 도시 인들, 특히 젊은이들 대부분은 여태껏 백두대간에 대해 들어 본 적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 나의 한국어 발음 이 형편없었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2010년 이후 한국에 살면서 백두대간이 고유의 지리적 체계로, 한국 생태계 의 민족적 상징으로 성장하게 된 것을 보게 됐다. 백두 대간의 인기가 오르게 된 것은 등반을 끝낸 한국인들(그 중 유명 인사도 있다)이 대간 순례가 그들의 생을 바꾼 사건이라는 취지로 여러 권의 책을 내면서다. 2011년 박원순은 백두대간을 등반하다 내려와 서울 시장에 선출 됐다. 그는 대간 길은 믿을 수 없을 만큼 자신에게 힘을 불어넣어 주는 곳이라고 썼다. 내 경우도 그랬다. 내가 한국인이 아닌데도 말이다. 주무 부서인 산림청에서 백두대간을 하나로 관리하려는 노력은 백두대간 문헌 집을 발간한 1996년에 와서야 시 작됐다. 2003년에는 백두대간 일부 구간의 보호를 위한 법률 제정을 시작했고, 이후 보호 구역은 확대되어 오고 있지만, 아직도 상당 구간이 무분별한 난개발과 파괴에 아슬아슬하게 노출되어 있다. 그동안 산림청은 백두대간 의 생물권과 분수령의 중요성에 관한 교육과 보호 프로 젝트를 통해 땅 주인, 농민, 지자체 등 백두대간의 관련 이해 당사자 간의 분쟁을 극복해야 했다. 이런 노력의 하나로 백두대간을 끼고 사는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려 는 사업도 이루어졌다. 유기농 기법, 토지의 지속성 관 리 같은 선진 영농 기법을 적용하고, 관광업에 눈을 돌 리도록 장려해 주민 소득 증진을 지원했다. 백두대간을 마루금 탐방로로 인정하고, 백두대간이 지나는 해당 지 자체로 하여금 탐방로를 관리하고 야생동물 관리 프로젝 트를 수행하도록 지원했다. 탐방로를 정비해 토사 유실 을 방지하고, 안내 표지를 설치하고, 생태 구역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산줄기가 자동차 도로에 절단된 곳 에는 터널을 설치하여 이제는 야생동물이 복원된 마루금 으로 안전하게 이동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기록하고 있 다. 산림청은 백두대간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하려는 원대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불행히 도 산림청의 목표는 남한구역에 한정되어 있다.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바탕을 이루는 국토의 등줄기임에 도 국립탐방로가 아니다. 아직은 장거리 트래커들이 의 욕적으로 오르는 일개 능선에 지나지 않는다. 아직 국립 탐방로가 되지 못한 주요 이유는 많은 구간이 아직도 일 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 을 해본다. 국립공원 8곳이 백두대간에 자리를 잡고 있 다. 현재 대간 능선 중 국립공원 네 곳을 지나는 여러 구 간이 야생동물 보존 또는 위험하다는 이유로 무기한 폐 쇄된 상태다. 하지만 이것도 영적 순례를 완벽하게 성취 하려는 수많은 한국인과 외국인 탐방객의 발길을 막지는 못했다. 탐방로 폐쇄는 지금도 열띤 논쟁거리로 남아있 다. 많은 등산인은 이들 구간을 개방하고 입산 허가제를 도입하여 탐방객 수를 통제하라고 요구한다. 전 구간 탐 방이 허용되면 백두대간을 하나의 국립탐방로로 관리하 고 전체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지자체

16


간의 산발적 관리보다 훨씬 효과적일 수 있다. 옛길과 새 길이 넘쳐나는 남한에 남북을 하나로 잇는 등줄기의 상징 으로 국제 사회에 홍보할 수 있는 세계적인 국립탐방로를 만들어야 마땅하다. 이렇게 되면 백두대간은 장거리 탐방 로로는 물론 훌륭한 생물권으로, 반도의 생기가 흐르는 통로로, 민족과 통일의 상징으로서 인기가 지속해서 높아 질 것이다. 대간 자락에서 열린 2018 동계올림픽에서 남한의 백두 대간이 전면에 등장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개막 연설에 서 백두대간을 북의 백두산과 남의 한라산을 잇는 한반도 의 등뼈라고 언급했다. 북한이 동계올림픽에 참가했고 남 북은 하나의 깃발 아래 하나의 나라로 개막식에 동시 입 장했다. 북한의 백두대간은 대부분 원시 상태를 유지한 채 미 탐 방으로 남아있다. 오랜 잠을 자는 용의 등처럼 전인미 답 상태다. 북한이 개방해 미답의 웅대한 자연을 탐방 할 수 있게 허용하기를 바라지만, 이곳의 때 묻지 않은 순 수한 아름다움과 외진 이곳에 사는 사람들의 귀중한 소 박함은 존중했으면 한다. 북한에서 백두대간을 연속종주 를 했다는 기록은 없다. 북한에서 취미로 등산을 하는 것 은 극소수의 뜻이 있거나 시간 여유가 있는 사람들의 전 유물에 불과하다. 물론 일부는 평양에서 쉽게 닿을 수 있 는 유명한 금강산이나 묘향산으로 나들이를 하기도 한다. 북쪽 멀리 있는 백두산은 접근이 훨씬 어렵다. 그러나 모 든 북한 사람들은 적어도 일생에 한 번은 백두산에 가보 기를 소망한다. 백두산과 주변 지역은 김일성이 항일 빨 치산 활동을 하며 살았던 곳으로 혁명의 성산으로 여기 기 때문이다. 전국에서 모인 군사 훈련생, 소년, 소녀들 이 붉은 공산당 깃발을 앞세우고 백두산 기슭의 소읍 삼 지연을 출발해 정상으로 행진한다. 정상에 오른 후에는 지금은 역사적 유적으로 보존하는 항일 전사들이 기거하 던 낙엽송 숲에서 야영한다. 그리고는 모닥불 주위에 둘 러앉아 애국 노래를 멋진 아코디언의 반주에 맞춰 합창하 며 밤을 보낸다. 북한에서는 백두대간을 백두대산줄기라고 부른다. 남한 이 백두대간 연구를 시작한 같은 해(1996년) 8월에 북 한도 백두대간 연구를 시작하며 ‘조선은 조종의 산 백두 대간에서 뻗어내린 하나의 지맥으로 이어져 있는 하나의 강토’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은 애국적인 논조로 일 본이 하나로 연결된 조선의 산지 체계를 토막 내려고 한 모든 시도를 부질없고 그릇된 것으로 반박했다. 남북을 합친 백두대간의 길이는 1470km에 달한다고 기록했다. 대간의 길이는 남북 모두 개인과 단체에 따라 차이가 있 다. 백두대간의 남쪽 끝은 지리산 남쪽 섬진강 하구의 구 재봉(768m)이라고 기록했다. 남한에서도 이 이론을 선 호하는 사람들이 있다.

17

백두대산줄기는 문자 그대로 모든 산과 산줄기는 백두산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뜻이다. 북한에서는 대간 전역을 전체론적인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다.

하지만 북의 백두대산줄기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못하다. 풍부한 생물권을 가진 야생의 땅으로 남아있다. 내가 만나본 북의 백두대산줄기에 사는 사람들은 산에 커다란 경외감을 가지고 있다. 산은 위풍당당하고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제공하기 때문일 것이다. 선조들이 그랬던 것처럼, 사람들은 산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으며 산은 자기들의 일부라는 것을 느끼고 있다. 산에 풍성하게 널린 약초, 향신료, 꽃, 식물, 나무, 동물, 물길을 속속들이 알고 있다. 산마루와 기슭에 등산객을 위한 길 표지는 없지만, 백두대간을 비롯한 북의 모든 산은 마을과 마을을 잇는 통로로 아직도 이용되고 있다. 침식되어 희미해진 백두대간의 옛길을 더듬어 먼 길을 가기도 한다. 아주 흥미로운 일이다. 북의 백두대간은 세계에 몇 군데 남지 않은 미 탐험 지역 지역으로 추정된다. 예전에는 호랑이, 표범을 비롯한 많은 동물이 백두대간을 이동 경로로 이용했고, 지금도 그럴지 모른다. 사실 백두대간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하려면 남한 정부에서 북쪽 구간을 포함하여 함께 신청하는 것이 더욱 설득력이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백두대간을 하나의 생물권은 물론, 하나가 된 나라의 문화적 상징으로, 통일을 향한 민족의 탐방로로 탈바꿈시키는 사업에 남북이 함께 참여할 수 있게 되지 않겠는가.

나와 백두대간 2006년 아주 우연한 기회로 백두대간에 처음 가보게 됐다. 2000년에 한국으로 와 1년간 영어를 가르쳤다. 산과 절에서 주말을 보내며 한국은 내 고향 뉴질랜드와는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진 산악 국가라는 것을 알게 됐다. 2006년에는 근무하던 뉴질랜드 경찰에 쌓여 있던 연차를 내고 한국으로 와 국립공원 여러 곳을 올랐다. 2000년부터 한국에서 근무하고 있던 친구 앤드루가 빨간 줄이 한가운데로 꼬불꼬불 쳐진 작은 지도 한 장을 내게 보여줬다. ‘백두대간일세. 한국 사람들이 장거리 등반을 하는 능선이지.’

백두대간을 등반해 보기로 바로 마음먹었다. 인터넷은 아직 모양을 갖춰가고 있었고 백두대간에 관한 영문 정보는 전혀 없을 때였다. 그러다가 어느 버스 터미널 벽에 걸려있는 커다란 지도에 고속도로, 산, 능선이 그려진 것을 보게 됐다. 지도에는 백두대간을 나타내는 녹색 선이 굵게 그려져 있었고 대간이 지나는 산 이름이 그 위에 표시되어 있었다. 내가 그 지도를 습득했다고만 해 두자. 앤드루가 지도에 산 이름을 영문으로 적어줬고 나는 이걸 들고 바로 출발했다. 2006년 6월 초의 어느 더운


날이었다. 남한 본토의 최고봉 천왕봉(1915m)을 향해 가파른 지리산 길을 올랐다. 천왕봉은 백두대간의 출발점 (또는 종점)이기도 하다. 대간을 따라 걸으면서 그날 어떤 풍경이 내 앞에 펼쳐질지 알 수 없다는 사실에 매료됐다. 외국 땅의 능선에 솟아 있는 산을 따라 마냥 걷고 있는 내 앞에 펼쳐진 한국의 찬란한 아름다움은 참으로 놀라웠다. 산줄기는 끝없이 사방으로 펼쳐져 있었고, 나는 이 거대한 산계의 중심 능선을 걷고 있었던 것이다. 당시에는 알지 못했으나 이 산줄기들은 모두 연결된 것이 아닐까 하는 느낌이 들었다. 어떤 능선으로 가든 어딘가에 닿을 것처럼 보였다. 높은 고도에 설치된 컨베이어 시스템처럼 말이다.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하는 능선에는 낮게 자라는 푸른 관목, 나무가 듬성듬성한 오솔길, 복잡하게 얽힌 화강암의 풍경이 펼쳐져 있었다. 도로가 대간을 가로지르고 있어서 내려와 지친 몸을 회복하고 작은 마을과 면에 들러 식품도 보충할 수 있었다. 다양한 유물이 여러 봉우리를 장식하고 있어 이곳의 특유한 역사를 가늠케 했다. 서로 대치하던 왕국을 갈라놓았던 옛 성벽도 능선을 가로질러 쌓여 있었다. 산등성이 아래에는 절들이 점점이 박혀 있었다. 대간을 걷던 내내 한국 전역의 원거리 풍경이 내 앞에 펼쳐졌다. 한국이 작고 복잡한 나라여서인지 사람도 많이 만나게 됐다. 국립공원에서 만난 사람들은 나를 불러 신선한 채소, 과일, 밥, 돼지고기구이 등을 나누어 먹었다. 도로로 나와 물건을 사러 가기 위해 차를 얻어 타면 운전하는 분들은 친절을 베풀어 내게 점심과 술을 사줬다. 마을로 가면 노인들이 뒤뚱거리며 다가와 나를 훑어보고는 식품이나 물이 필요한지 물어보곤 했다. 산에서는 커다란 배낭을 메고 백두대간을 종주하는 등산객을 많이 만났다. 여기서 뭐 하느냐는 질문에 당신들처럼 백두대간을 종주하는 중이라고 하면 모두 깜짝 놀라 멈춰 섰다. 외국인이 백두대간을 알고 있다니. 믿지 못하는 눈치였다. 백두대간 마루에서 이들과 나눈 대화는 나의 백두대간 지식을 넓힌 데는 더없이 좋은 기회였다. 그들은 백두대간을 걷다 보면 자기들이 한국인이라는 것을 더욱 느끼게 된다고 했다. 백두대간은 옛 통로였으며(사실이 아니었지만) 나는 대간에 우연히 발을 딛게 된 외로운 외국인(맞는 말이다)이라는 모습이 내게 자리 잡기 시작했다. 놀라운 발견이었다. 백두대간의 중간쯤에 와서야 이 모든 것을 기록으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진작 왜 그 생각을 못 했는지 점점 후회가 커졌다. 7월 초였는데 지독한 장마가 들어 뼛속까지 흠뻑 젖어 진흙탕 속을 헤매고 있었다. 사기가 잔뜩 떨어져 산에서 내려와 잠시 쉬기로 했다. 그날 밤 따뜻하고 보송보송한 작은 방에 앉아 시원한 맥주를 마시며 생각했다. 백두대간에서 그만 하산하고 대신 내년에 다시 도전하기로. 오늘의 실망을

보상하기 위해 최초의 백두대간 영문 가이드북을 만들기로 했다. 내가 책을 내 본 적이 없지만 말이다. 2007년 8월 말에 한국에 다시 왔다. 9월 2일, 이번에는 앤드루와 함께 출발했다. 기나긴 백두대간을 끝까지 걷고, 즐기고, 가이드북을 쓸 계획이었다. 우리는 계획한 70일간의 여정을 마쳤다. 지리산에서 설악산 북쪽의 진부령까지 백두대간을 완주한 최초의 외국인으로 인정받았다. 민통선을 넘어 구불구불한 군사도로를 걸어 향로봉(1287m)까지 올라간 드문 기회도 얻었다. 백두대간 남쪽 구역의 마지막 봉우리로 DMZ에서 남쪽으로 불과 2km 떨어진 곳이었다. 이곳에서 북한을 언뜻 볼 수 있었다. 북으로 가보자는 생각의 싹이 여기서 움튼 것이 아닌가 싶다. 나중에 북한 정부의 공식 홈페이지에 이메일을 보내 답장을 받기도 했다. 지금은 불가하다는 것이었다. 등반은 아주 근사했다. 계절이 변하며 여름철의 푸른색이 가을의 붉은색 주황색으로, 다시 초겨울의 서걱거리는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보게 됐다. 사람들은 언제나처럼 우리에게 따뜻하게 대해줬고, 주변 경치는 변화무쌍했다. 미지에 가까운 이 나라를 속속들이 알아보는데 이보다 좋은 방법이 있을까 싶었다. 우리는 다시 각자의 직장으로 돌아가서 가이드북 초안을 작성하며 2년을 보냈다. 수집한 안내판의 번역이 나오면서 그 내용을 읽기 시작했다. 백두대간의 힘과 그 의미가 우리가 들은 수많은 민화와 함께 나의 상상력을 자극하기 시작했다. 한편, 서울의 한 출판사가 우리가 만들 책을 출간하기로 합의해줬다. 출판이 완료된 2009 년 4월, 이번에는 무급 휴가를 내 한국에 다시 왔다. 걸어서 한국 탐험을 더 해보기 위해서였다. 나는 완전히 꽂혀버렸다. 백두대간의 줄기에서 뻗어 내린 정맥을 등반할 계획이었다. 남한에는 정맥이 7개가 있다. 3 개월 동안 약 2000km를 걸어 4개의 정맥을 끝낼 야심 찬 포부였다. 이 만행이 내 생의 진로를 바꾸어 놓았다. 긴 이야기(또는 여정)를 짧게 하자. 내가 걷기 시작한 지 10주째, 두 번째로 간 멍에 모양의 호남정맥을 걸은 지 6주째였다. 자화자찬을 좀 보태면 나는 기분이 아주 최고였다. 내 몸은 완전히 단련되어 있어 육체적 활동을 하는 것이 아주 즐거웠다. 최고의 몸 상태였다. 앞으로 무엇을 보게 될지, 어디서 자게 될지, 누구를 만날지 전혀 알지 못하고 매일 걷는다는 것은 해탈의 경지에 가까웠다. 직장, 공과금, 주택융자, 미래 계획, 옛일 등 내가 지고 다니던 마음의 짐은 모두 바람에 날아가 버렸다. 마치 야생동물이 된 듯 원초적이고 자유로워진 느낌이었다.

18


화창하게 맑은 날이었다. 하늘이 너무 푸른 나머지 저 너머로 어두운 우주가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았다. 끝도 없이 멀리 보이는 날이었다. 나는 산마루에 서서 아득한 지평선 위로 보이는 여러 산 가운데 우뚝 솟아 있는 특이한 한 봉우리를 응시하고 있었다. 저게 무슨 봉우리일까 궁금했다. 지도와 나침반을 꺼냈다. 거리가 최소한 50km는 되어 보였다. 나침반으로 방위각을 재고 계산을 했다. 방위각 측정과 계산을 다시 해봤다. ‘ 그럴 리가 없는데’ 혼자 중얼거렸다. 내가 6 주전에 출발했던 지리산의 반야봉(1732m)을 보고 있는 것 같았다. 처음에는 화가 치밀고 실망스러웠다. 아니 그렇게 오랫동안 걷고도 이것 밖에 못 온 건가? 그러나 이내 낙담은 기쁨으로 압도되고 말았다. 그래, 6주나 걸었는데 아직도 출발점을 보고 있다니 말도 안 돼. 그러나 동시에 ‘그래서 뭐가 어쨌다는 거야!’ 는 생각이 들며 내 마음은 환희로 가득 찼다. 시간과 거리가 무슨 문제야. 나는 현재를 만끽하고 있지 않은가! 나의 환희는 어린 소년의 웃음으로 변했고 내 마음은 자유로웠다. 바로 그때 누가 내 어깨를 톡톡 쳤다. 당황해서 돌아봤다. 어떤 여자가 작은 종이컵을 내밀고 있었다. 나는 킬킬거리던 웃음을 멈추고 컵을 받았다. 컵이 얼음처럼 찼다는 첫 기억이 난다. 컵 안에는 하얀 우유 같은 액체 위에 금색 점이 몇 개 둥둥 떠 있는 게 보였다. 냄새를 맡아 봤다. 무취였다. 찬 컵을 입에 댔다. 음료가 입천장에 닿자마자 극도의 희열을 느꼈다. 매혹적인 맛이었다. 그녀에게 감사 인사를 했더니,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그녀는 숲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묘약의 효과가 아직도 내 머리에서 번득이고 있었다. 폭포처럼 늘어서 있는 산을 돌아보며 그 영겁의 아름다움에 감탄했다. 나는 두 달 넘게 방랑하고 있었다. 자랑스러운 부랑자, 정처 없는 방랑자, 자유인, 근사하다. 내 마음을 뺏어간 산의 풍경은 외국인의 눈에는 아직도 많이는 탐험 되지 않은 곳으로 보였다. 자신에게 물었다. 내가 이걸 계속할 수 있을까? 즉석에서 결정했다. 높은 연봉에 근무하기 좋은 뉴질랜드 경찰 외교경호단이라는 직책을 그만두고 한국에서 사업을 시작하기로 한 것이다. 나는 종교를 믿지 않거니와 그렇게 영적인 사람도 아니다. 하지만 어느 스님이 내게 말씀해 주신 것처럼 내가 한국에 오게 된 것은 인연이 있었기 때문이며, 산마루에서 내 인생을 바꾼 결정을 한 그 순간은 일종의 집중 명상 수행법이라고 할 장거리 등산을 통해 이룬 깨달음의 순간이었을 지도 모른다. 나는 즉석에서 행동에 옮겼지만 그런 순간을 흘려 보내버린 이들도 있으리라. HIKEKOREA는 1년 뒤 2010년 12월에 개업했다.

19

북으로 가자는 아이디어 출판업을 했던 남한 친구에게 아이디어를 하나 내놓았다. 남한의 산을 주제로 포토아트북을 출간하면 어떨까 하는 것이었다. 그는 내 생각에 찬물을 끼얹었다. 같은 주제의 책이 시중에 이미 많이 나왔지만 하나같이 잘 팔리지도 않았는데, 하물며 무명 사진작가 지망생이 낸 책이 어떻게 잘 될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마치 주먹으로 한 대 얻어맞은 것처럼 멍한 기분이었다. 그는 내 눈을 똑바로 바라보더니 손가락을 양옆으로 흔들며 내게 말했다. 나는 뉴질랜드인이니까 북한에 갈 수 있을 거라는 거였다. 북의 산을 찍은 사진은 가치가 있을 거라고 했다. 이날, 처음으로 북한에 가는 것을 진지하게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 아이디어가 맘에 들었다. 북한에 가는 방법과 북한에서 할 일에 대해 궁리하기 시작했다. 지도를 펴놓고 산을 찾아봤다. 처음에는 그냥 관광객이 많이 가는 북한의 명산만 찾아봤다. 성산인 백두산, 금강산, 묘향산, 그리고 멀리 떨어져 있어 조금은 덜 알려진 구월산과 칠보산 정도였다. 그러나 뭔가 빠진 듯 허전하게 느꼈다. 그러던 중 퍼뜩 북의 백두대간에 있는 산의 이미지를 담아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북의 백두대간은 여태껏 사진으로 기록된 적이 없다는 것이 확실하지 않은가! 나는 남쪽 백두대간을 다룬 가이드북을 이미 출간했다. 북으로 가서 가이드북을 완성하지 말란 법이 없지 않은가? 그런데 북쪽 사람들이 내 생각에 동의할까? 말이 나온 김에 북한의 연락처를 물색하기 시작했다. 우선 고국 뉴질랜드 정부의 지인과 접촉을 시작해 뉴질랜드조선친선협회라는 이름의 비정부 기구를 알게 됐다. 뉴질랜드로 가서 이 단체를 이끄는 도널드 보리 목사님과 피터 윌슨 두 분을 만났다. 여름철의 오클랜드였는데 연로한 두 분 모두 산책용 정장 반바지를 입고 있었다. 돈은 로마 샌들에 목이 짧은 양말을 신었고, 피트는 산책용 긴 양말을 그의 앙상해진 종아리 위로 올리고 부드러운 가죽 구두를 단정하게 신고 있었다. 그의 한쪽 양말 꼭대기에 분명히 볼펜이 꽂혀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 두 분 모두 여느 할아버지들처럼 전통적 성향의 인물이었고, 나와 죽이 잘 맞았다. 두 분은 내 이야기를 듣고 도움을 약속했다. 친선협회의 북한 측 연락처로 나의 첫 번째 이메일을 보냈으나 회신을 받지 못했다. 이메일을 한 번 더 보냈더니 몇 주 후에 답장이 왔다. 2011년 5월 조선뉴질랜드친선협회 사무국장 황승철을 만나러 평양으로 향했다. 이때쯤 나는 북한 여행 자료를 찾아 읽고 있었으나, 구미가 당기는 자료는 전무했다. 내가 지금 너무 위험한 일을 시작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무모한 일 같다는 기분이었다.


이번 방문은 서로 만나보고 내가 그들의 문화에 어떻게 반응할지 알아보기 위한 일종의 상견례였다. 어느 날 밤 묘향산에서, 황과 나는(나중에 황이 한 말이다) 함께 비운 조니워커 병의 바닥에서 진리를 발견하며 서로를 더 잘 알게 되었다. 다음 날 우리는 뻐개질 듯한 머리를 하고 묘향산에 올랐다. 묘향은 우리가 이후 함께 오른 수많은 산 중 첫 번째 산이 되었다. 평양으로 돌아와서 친선협회에 나의 계획을 소개했다. 식당 테이블 위에 한반도 지도를 펼쳐놓고 백두대간의 윤곽을 보여주며 내가 북쪽에서 목표로 하는 산을 알려줬다. 내가 만들려고 하는 포토아트북은 남북을 잇는 등뼈 백두대간을 통해 남북이 하나임을 알리는 책으로, 이런 종류의 책으로는 처음일 것이라고 그들에게 말해줬다. 그들은 내말을 주의 깊게 들었으나, 약속은 하지 않았다. 나는 낙관하며 남쪽으로 돌아왔다. 한 달간의 원정에서 처음으로 오를 산의 목록을 친선협회에 이메일로 보냈다. 놀랍게도 친선협회에서는 허가를 받아냈고, 같은 해 (2011) 10월에 첫 번째 원정을 준비하라는 통보를 보내왔다. 이메일로 비용을 논의했다. 내가 주선한 일이었으므로 한 달 동안 원정에 드는 운영비용을 자비로 충당하기로 했다: 차량 대여비와 운행 경비, 운전사와 대원 두 명의 인건비, 원정 기간의 숙박비와 식비 등이었다. 포토아트북을 남한에서 판매하여 비용을 보전할 요량이었다. 아트북은 북한에서는 내지 않기로 했다. 사회주의 사회에서 이런 책은 경제적 가치가 없기도 하거니와 더욱 심각한 문제는 한국어였다. 남한과 북한의 언어가 달라진 것이 현실인데, 남쪽의 용어를 사용하여 남한식 방언으로 쓰인 책은 북한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반대의 경우가 남쪽에서도 적용된다. 냉전의 유물이다. 도리밖에 없었다. 이런 각오로 나는 북으로 갔다. 10월이 다가오고 원정 준비를 하면서 기대와 의문이 한데 뒤섞이는 기분이 들었다. 내가 골라놓은 기록에도 없는 여러 산이 그림같이 아름다울까? (내가 선택한 산의 사진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가 없었다). 사진 찍기 좋은 날씨를 만날 수 있을까? 북한 사람들이 약속을 지켜 나를 산으로 데려다줄까? 아니면 매일 무슨 구실을 들이대며 산에 가지 않으려고 하지는 않을까? 계획이 너무 거창한 건 아닐까? 모든 일이 순조롭게 잘 됐을 때, 내 작품이 남한, 아니면 어디서라도 인정받을 수 있을까? 무엇보다도 나의 경험과 기술로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을까 하는 압박이 나를 짓누르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일생의 한 번뿐인 기회라는 것은 분명했다. 여러 가지 걱정이 많았지만, 가서 이 터무니없는 듯한 도전에 맞부딪쳐 최선을 다하는 도리밖에 없었다. 이런 각오로 나는 북으로 갔다.

장비, 식품, 그리고 후원 나는 남한에 살면서 원할 때 언제든 여행을 한다. 시간을 충분히 내서 산 위에서 캠핑도 하고 백두대간을 광범위하게 탐사한다. 북한에서는 이런 호사와 시간 여유를 가질 수 없다. 북에서 미답의 백두대간을 따라 종주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나의 유일한 선택은 능력과 여유가 닿는 정해진 기간 안에 되도록 많은 산을 탐사하는 것이었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나는 북한의 동료들과 자동차를 이용하게 됐다. 지금까지의 모든 원정에서 우리는 같은 자동차를 이용했다. 1970년대 모델 HJZ 토요타 랜드크루저였는데 지금껏 40만km 가까이 뛰었으나 타이어 펑크 몇 번 난 것을 제외하면 아주 믿음직한 차였다. 우리는 평양에서 보존 가능 식품을 구해 차 뒤에 실었다. 쌀, 생선 통조림, 고기 통조림, 비스킷, 땅콩, 물통, 도토리 소주, 대원들의 아내가 싸준 절인 채소 같은 것들이었다. 여행 중에는 읍내 같은 곳에서 식량을 보충했다. 시골로 나가면 식품 보충은 할 수 없었다. 가게를 만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래도 금방 밭에서 뽑은 신선한 작물을 농부로부터 직접 구할 수 있었기 때문에 마냥 나쁜 것만은 아니었다. 도축한 토끼, 양, 개, 돼지, 오리고기 같은 것은 매일 먹는 음식은 아니었으나, 고기가 나와 있을 때는 사들이기도 했다. 마을 사람들이 요리를 해준 때도 있었다. 그렇게 먹은 고기 중에는 야생 동물 특유의 노린내가 나는 것도 있었다. 마을 사람들이 산에서 흐르는 맑은 시냇물에서 작은 물고기를 잡아 주기도 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잡지 않고 6V 배터리에 연결된 쇠막대기 두 개를 사용했다. 막대기를 물속에 질러 넣으면 손가락만 한 물고기가 배를 위로한 채 많이도 떠올랐다. 쓰고 간 모자에 가득 차고도 남을 정도였다. 배를 딸 때는 물고기의 배를 엄지와 인지로 꽉 눌러 내장을 빼고 씻어냈다. 채소는 부족하지 않았다. 농촌은 다양한 건강식을 선사했다. 굽거나 불을 피워 강모래에 묻어 쪄먹은 맛감자. 씹는 맛이 좋은 옥수수. 동북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금값에 팔리는 귀한 송이버섯. 북한산은 아주 커서 주먹만 하다. 곰취 나물. 삭힌 곰취 잎에 밥을 싸 먹으면 별미다. 고사리 무침도 빠질 수 없다. 이 외에도 푸른 채소가 풍성했다. 남북을 막론하고 사람들은 수천 년간 비옥한 푸른 산을 누비며 약초와 향신료를 채취해왔다. 북에는 여전히 이렇게 포장 안 된 신선한 채소를 먹는 전통이 살아 숨 쉬고 있다. 남에서는 시골 사람들, 특히 백두대간의 골짜기에 사는 사람들에겐 아직 이런 식탁 위의 예술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소비지상주의에 물든 도시에 오면 식품은 으레 플라스틱에 포장돼 슈퍼마켓 진열대에 오르기 마련이다. 20


북한에서는 자연식을 했다. 콩나무로 둘러싸인 외딴집과 풀 덮인 강둑이 있는 조용한 시골을 지나면서 구멍가게의 밝은 간판을 전혀 본 적이 없으니, 정크푸드를 먹거나 음료수를 마실 일도 없었다. 새로운 기분이었다. 식수로는 백두대간에서 흐르는 산골 물을 20ℓ 물병에 채워 사용했다. 북한의 상하수도 설비는 특히 시골로 가면 미개발 상태다. 그래서 물을 채울 때는 조심해야 했다. 심지어는 차디찬 계곡물이 세차게 흐르던 산 아래 마지막 마을 위에 텐트를 설치했을 때도 물을 조심해야 했다. 매일같이 몰이꾼 한 사람이 동네 소와 염소를 몰고 우리 텐트를 지나 산으로 풀을 뜯기러 올라가기도 했다. 동물의 배설물이 개울물로 들어갈 수 있다는 뜻이었다. 이런 곳에서 담은 물은 식사 준비를 할 때 활활 타는 불 위에 끓여서 사용했다. 그러나 가축이 갈 수 없는 가파른 계곡을 지나 높은 능선으로 장거리 등반을 할 때는 이곳 한반도 최고 청정 개울에서 그대로 물병을 채웠다 우리가 선호한 다른 액체는 주류였다. 북한에서 제일 흔한 술은 소주로 풍미가 아주 다양하다. 주로 도시에서 상업적으로 제조된다. 북한의 농촌 지방에서는 아직도 옥수수와 도토리를 써서 직접 담그기도 한다. 옥수수 소주는 위험천만한 45도의 독주로 잔디 깎는 기계를 돌릴 수 있을 정도다. 익숙해지고 나면 마실만 하다. 도토리 소주는 단맛이 많이 나고, 도수가 20도밖에 되지 않아 저녁때 모닥불을 피워 놓고 마시기에 더없이 좋다. 우리도 모닥불 앞에서 많이 마셨다. 도토리 소주에 산딸기를 넣어 마셔보기도 했는데 쌉쌀하고 달콤한 맛이 난다. 다른 맛을 낸 소주도 여행 중에 마셔봤다. 북부 량강도 지역에서 살구 소주를 맛보고 놀랐다. 내게는 초콜릿 맛이 나서 이상했지만 묘하게 좋을 때도 있었다. 이곳에서는 감자 소주가 대세다. 고산 경작지에서는 쌀은 많이 나지 않고, 감자가 주요 작물이기 때문이다. 최상품은 대흥단 지역에서 재배된다. 이곳 감자로 만든 소주는 맛이 강하고 마시면 금방 혈색이 좋아지고 목소리에 생기가 돈다. 북한 중부 지방에서도 다른 풍미의 소주를 여럿 발견하고 맛봤다. 톡 쏘는 맛이 나는 송이버섯 소주, 금빛의 꿀 소주, 흙내가 나는 인삼 소주까지. 한반도에는 술을 담그는 오랜 전통이 있으며, 수천 년에 걸쳐 양조법을 터득해 왔다. 온화한 날씨에 쌀을 수확하는 남에서는 발효한 쌀에 효모와 물을 섞어 막걸리를 담근다. 흰색의 발포성 음료로, 내가 보기에는 크림 소다와 비슷하지만 나는 산에서 나는 우유라고 부르는 게 더 좋다. 도시에서는 기업 상표가 붙은 막걸리를 양산하지만, 날씨가 추운 북에 지역마다 수제 소주가 있듯, 남에서도 군마다 독특한 막걸리를 만들어 낸다. 막걸리는 만든 쌀과 물에 따라 맛에 미묘한 차이가 난다. 막걸리 이름은 보통 그 지역의 산 이름을 따 오는 경우가 많다. 산에서 내려온 물로 쌀농사를 짓기 때문이다.

21

마을에서 술을 담그던 전통은 20세기 초반 일제 강점기에 없어져 버렸다. 술 제조법이 다수 보존되기도 했지만,

양조 금지법이 시행된 시기를 지나면서 수많은 비결이 사라져버렸다. 여행 중, 소도시에서는 호텔에 묵었다. 산에서는 야영을 많이 했다. 야영은 언제나 여행의 압권이었다. 그간의 원정에서 텐트는 두 종류를 사용했다. 모두 후원받은 것이었다. 2011년과 2012년 원정에는 가민 코리아가 제공한 테피 텐트를 사용했다. 10인용 텐트였는데 우리 팀은 대부분 5명을 넘지 않았다. 우리 운전사는 언제나 랜드크루저 안에서 잤다. 우리는 자동차가 그의 두 번째 마누라라고 놀려댔다. 가민 코리아에서 고급 매트리스도 제공해줬다. 침낭, 등산화, 방수포, 마체테 같은 장비는 내가 직접 마련했다. 2017년 원정에는 한국의 아웃도어 장비 업체 제로그램의 후원을 받는 행운을 누렸다. 튼튼하고 멋지게 만든 4인용 사할리 텐트 2동, 3 계절용 슬리핑백, 다운 자켓, 헤드램프, 카고백 각각 다수 등이었다. 이런 후원의 덕으로 비용을 많이 줄일 수 있었다. 포토아트북이 출판되면 여러 권 사주기로 한 산림청의 도움을 받은 것도 행운이었다. 국내에서 진행한 여러 번의 크라우드펀딩도 이 사업을 위한 비용 마련에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자비로 시작한 원정이 끝나면 펀딩을 시작해 모금했다. 이후, 책의 판매와 전시회 수익금 등으로 사업에 들어간 비용을 보전하는 것으로 만족했다. 진정한 만족은 내가 하는 일을 이해하고 진가를 인정하는 후원자에게서 나온다. 이분들의 후원 덕분에 나는 백두대간의 산을 서로 엮음으로써 사람도 하나 되게 한다는 것을 믿게 되었다. 결국, 한반도 사람들의 도움과 지지가 없었다면 나는 이 사업을 할 수 없었으리라는 것이다.

사진 나는 전문 사진작가가 아니다. 한국의 산을 찍기로 작정하면서 SLR 카메라 사용법을 독학으로 배웠다. 이후 내가 바라본 산의 느낌에 의존해 풍경의 구도와 노출을 맞춰 오고 있다. 모든 기술이 그렇듯 나의 사진 기술은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해 왔고 지금도 진행형이다. 산 사진의 첫 번째 법칙은 산에 가서 찍어야 한다는 것이다. 산은 사진작가에게 자세를 취해주지 않는 법이다; 산 보고 이쪽저쪽으로 움직이라고 할 수 없으니 거대한 산모퉁이를 이리저리 돌아 화각이 좋은 장소를 찾아내야 한다. 조명을 켜서 산을 빛나게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적당한 순간까지 기다려야 한다. 남한에서 사진을 찍을 때는 며칠에 걸쳐 출사 코스를 계획하고, 사진 찍기에 좋은 날씨를 기다리며,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북한은 사정이 달랐다. 북한 원정에서는 제한된 시간 내에 답사할 산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틀에 한 번꼴로 새로운 산에 오르기로 계획했다. 자동차로 갈 수 있는 곳까지 최대한 멀리


가서 나머지 길은 걸어서 올라가는 식이었다. 북한의 모든 봉우리는 여태껏 제대로 촬영되지 않은 것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에 좋은 사진을 담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선택이 무엇인지는 알 길이 없었다. 개척한다는 것은 대단한 일임과 동시에 많은 문제를 동반했다. 정상까지 최단 거리로 이어진 오솔길을 잡아 산을 올랐다. 오솔길은 금방 덤불 속으로 없어지고 우거진 덩굴을 자르고 헤치며 올라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산행 중에 좋은 그림을 만나면 사진을 찍어 두고 머무르지는 않았다. 앞으로 좀 더 가면, 특히 봉우리 같은 데서는 사진 찍기에 더욱 좋은 곳이 나오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강행군을 계속했다. 정상에 도착하면 같이 간 대원들이 휴식을 취하는 사이 최상의 사진을 담으려고 노력했다. 경치가 별로 볼 것이 없는 곳에서도 사진을 찍었다. 날씨가 좋아지고 좋은 빛이 나오기를 기다리거나 좋은 사각이 마법처럼 나타나기를 마냥 기다릴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했다. 이 책에 실은 모든 사진은 툴바에서 버튼을 몇 개 누른 것을 제외하면 카메라로 찍은 그대로이다; 먼지 자국, 벌레, 하늘에 멀리 희미하게 보이는 새 같은 것을 제거한 것 외에는 사진을 편집하거나 변형하지 않았다. 출판할 때 오프셋 프린팅 과정에서 출력물 선명화 작업은 수행했다는 것을 밝힌다. 사진을 카메라에 담은 과정은 여기까지다. 이제 작품을 즐기시기 바란다.

북한의 여러 봉우리는 해발 2,000m 이상인데도 무성한 숲으로 덮여있는 경우가 많아 사진 찍는 사람에겐 실망스러웠지만, 이것도 탐험의 일부였다. 이런 경우에는 카메라를 등에 단단히 묶고 여분의 렌즈를 호주머니에 넣은 다음, 경치를 넘겨볼 수 있는 높이까지 나무를 타고 올라갔다. 다시 아이가 된 느낌이었다. 하지만 나무는 아이들이 어른들 보다 더 잘 타는 것을! 이 책에 실은 사진 몇 장은 이렇게 해서 찍은 것이다. 그런 뒤 하산해서는 짐을 꾸려 다음 산으로 이동했다. 산세가 특출하지 않거나 궂은 날씨로 인해 마땅치 않았던 사진은 이 책에 싣지 않았다. 그러나 사진이 큰 무리 없이 나왔으면 선정해서 이 책에 넣었다.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머나먼 곳에서 처음으로 촬영된 사진으로서, 독자들이 봐야 할 역사적인 기록이라는 이유 때문이다. 내가 사용한 카메라에 대한 질문을 자주 받는다. 나는 원정 동안 소니 DSLR 카메라 세 대를 사용해왔다 - 소니 A100(소니의 첫 DSLR 카메라), A350, A77II가 내가 사용한 카메라 모델이다. 최고급 카메라는 아니지만, 사진을 처음 배울 때 소니를 택했기 때문에, 나는 아직도 소니를 사용하고 있다. 필요하면 캄캄한 밤중에도 작동할 수 있을 정도로 이제는 소니 카메라가 내 손에 익어 있다. 예비 장비로 낡은 캐논 AE1, 니콘 Coolpix를 한 대씩 휴대했고, 2017년에는 아이폰5와 폴라로이드 스냅을 한 대씩 추가했다. 폴라로이드는 나와 동행하는 대원들에게 기념사진을 찍어주는데 안성맞춤이었다. 2017년 원정 동안 내가 주로 쓰는 렌즈(16~80mm) 에 카메라 플레어가 생겼는지 아침나절 해가 낮을 때 찍은 사진에 빛이 들어온 것이 보이기 시작했다. 렌즈를 닦아내고 습기를 말렸는데도 문제가 없어지지 않았다. 나중에야 렌즈에 곰팡이가 낀 것으로 판명됐다. 충분한 사진 보정 기술이나 보정에 필요한 꼼꼼한 인내심이 없는 나는 사진에 나타난 이런 결점을 그대로 두기로

22


October 16, 2011: Kumgang-san, Kosong-gun, Kangwon-do As we drove east through Pyongyang, early morning light streaked through the front windscreen. On its upper right corner a round sticker bearing a crossed out AK47 told everyone that this was an unarmed vehicle. On the streets, busy ranks of olive dressed Koreans walked briskly to work. We were on our way to the famous Diamond mountains, or Kumgang-san.

동쪽으로 차를 몰아 평양을 빠져나가는데 이른 아침 햇살이 자동차 앞 유리를 빠르게 비추며 지나간다. 앞 유리 오른쪽 위에는 AK47 소총에 빗금을 그려 넣은 동그란 스티커가 붙어있다. 비무장 차량이라는 표시다. 길거리에는 올리브색 옷을 입은 사람들이 빠른 걸음으로 바쁘게 일터로 향하고 있었다. 우리는 그 유명한 금강산으로 향하고 있었다.


October 17, 2011: The next morning we rose early, the air cool and clear. Four of us began our climb to Manmul-sang, a creased fold of nasty granite pinnacles that serrates the horizon. There was not another human in sight. We were completely alone, a whole mountain to ourselves. I had hoped to capture the mid-October autumnal colors, but as we climbed higher on the empty trails, I realized that the frigid winds had blown most of the red maple leaves off the trees - only days ago.

2011년 10월 17일: 다음 날 아침 일찍 기상했다. 공기가 서늘하고 맑다. 우리 4명은 만물상 등반을 시작했다. 험준하게 얽힌 화강암 첨봉이 여러 겹 첩첩이 쌓여 지평선에 톱니처럼 불쑥 솟아있는 산이다. 사람이 한 명도 보이지 않는다. 산 전체가 우리 독차지다. 10 월 중순의 가을 단풍을 카메라에 담을 수 있기를 기대했으나, 텅 빈 등산로를 따라 높이 올라가자 불과 며칠 전에 불어온 매서운 찬바람 때문이었는지 단풍잎은 거의 떨어져 버리고 없었다.


October 18, 2011: At Guryong falls, I was pleased to meet a group of North Koreans. Everyone was in high spirits. Like their counterparts in the south the women were cheerfully dressed. I joined them in their team photos. The Korean mountains gave me a feeling that I wasn’t in a divided nation.

2011년 10월 18일: 구룡폭포에서 북한인 단체 관광객을 만나게 되어 다행이었다. 모두 기분이 좋아 보였다. 남한 여자들처럼 이곳 여자들도 밝고 요란한 색의 옷을 입고 있었다. 함께 어울려 단체 사진을 찍었다. 한반도의 산은 이 곳이 분단된 나라가 아니라는 기분이 들게 했다. 25


26


Protruding from a cliff face, the hermitage of Podok-am balanced on two long poles, but there was something else I needed to see. We pushed on. From a bend in the trail, an opening appeared on our left and as we entered a cleared grassy opening, a wall of saffron coloured rock appeared, and on it a fifteen meter relief carving of a seated Buddha. The tallest in northeast Asia, Myogil-sang is at least 1000 years old, dated from the Koryo period. We hung out for a while there, feeding off the peacefulness. 보덕암이 기다란 기둥 두 개에만 의지한 채 절벽에 아슬아슬하게 걸려있다. 그러나 나는 뭔가 다른 것을 찾고 있었다. 걸음을 재촉했다. 산길 한 굽이를 돌자 왼쪽으로 개활지가 나타났고, 여기서 풀밭을 따라 들어갔더니 짙은 황색의 바위벽이 나타났다. 여기에 15m 높이의 마애여래좌상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었다. 묘길상은 동북아 최대 마애불로 천 년 전 고려 시대에 만든 것이다. 잠시 머물며 이곳에 깃든 평화로움을 즐겼다.

27


28


October 23rd, 2011: Turyu -san 1323m, Cheonnae -gun, Kangwon -do

Turyu-san 1323m was the first proper mountain of the

The next morning, we rose at 4.30am. The countryside

Baekdu Daegan that I climbed in North Korea. It is located

was black like a cavern. I sat squashed in the back of the

between Pyongyang and the east coast city of Wonsan.

smoke-filled vehicle. In my palm, I rolled a small jar of

The first time I saw Turyu-san we were admiring it from

honey. One of the locals seated next to me, saw it, and

a high point near the Ullim waterfalls. It was covered in

seemed unsure.

steep shadows and breathed a hands off demeanor. It had what I called a dark energy. I told the guys that we were

Near light, we arrived at a small country house. A chained

going to climb that peak the next day. After a moment of

dog big enough for a saddle guarded its entrance. As we

silence, one of them, a local, remarked: “What about the

got out of the car to stretch, it raised its large head and

bears?”

groaned at us, weirdly like a bear. Mr Song Jeong-sok (송정속) walked out of his home and greeted us. He was

Judging by the nervous laughter this was a game changer.

to be our guide for Turyu-san. He was, I guessed, in his

I suggested that if we take a jar of honey, we’ll toss it to

late 40s. On his feet, he wore the famous Korean plimsolls,

any bear we see. They nodded, hands in pockets, not sure

and on his head a massive wide-brimmed forest service

if I was serious or not? “If the bear ignores the gift and

peaked cap, as big as a salad bowl, to match his grey

‘takes for us’ then it’s every man for himself,” I added.

tunic. He was slight but fit, and his big natural smile aired

They thought I was being shifty and a sense of distrust

excitement.

showed on them. “The slowest one will get eaten," I said. Everyone glanced at Hwang Chol-young, the roundest

Mr Song said it would only take an hour to climb Duryu-

member of the bunch, before staring back at me. I ended

san. I didn’t believe that at all.

their suspicion by breaking out with laughter. Relieved, they joined in, slapping their thighs.

We drove for another hour before we disembarked and the five of us began our walk. We passed a couple of wood planked farmhouses with stone tiled roofs before arriving at a valley head. From there we started climbing a steep gorge towards the ridge.

29


2011년 10월 23일: 두류산(1323m, 강원도 천내군). 두류산(1323m)은 북한 여정 중 첫번째로 오른 백두대간의

다음 날 아침 4시 30분에 일어났다. 바깥은 동굴 속처럼

큰 산이었다. 평양과 동해안의 원산시 사이에 있다. 울림 폭포

칠흑이었다. 나는 담배 연기로 가득한 자동차 뒷좌석에 끼어

근처 높은 지점에서 두류산을 처음 보고 감탄했다. 깊게 드리운

앉았다. 작은 꿀 한 병을 내 손바닥에 굴려 보였다. 내 옆의

그늘에 휩싸여 손대지 말라는 듯한 분위기를 내뿜고 있었다.

마을 사람은 나의 장난을 알아채지 못한 듯했다.

소위 암흑에너지를 가진 산이었다. 대원들에게 내일 저 산을 오를 거라고 일러두었다. 약간의 침묵이 흐른 후, 마을에서 온

날이 밝을 무렵 어떤 작은 시골집에 도착했다. 등에 안장을

한 사람이 한마디 했다. “곰을 만나면 어쩌려고요?”

올려도 될 정도로 커다란 개 한 마리가 줄에 묶인 채 집을 지키고 있었다. 차에서 내리는 우리를 보더니 머리를 들고는

걱정스러운 웃음으로 미루어볼 때 이 일로 상황이 완전히

곰처럼 으르렁거렸다. 송정속 씨가 집에서 나와 우리에게

뒤바뀌게 될 모양이었다. 꿀 한 병을 가져가면 어때요? 곰을

인사를 했다. 우리를 두류산에 데려갈 안내원이었다. 40

만나면 가져간 꿀을 곰에게 던져주면 될 텐데. 내가 말했다.

대 후반으로 보였다. 북한식 운동화를 신고 냉면 그릇처럼

대원들은 호주머니에 손을 넣은 채 고개를 끄덕이며 내 말이

엄청나게 큰 테가 달린 군대식 모자를 산림청 제복에 맞춰

진담인지 농담인지 못 미더워하는 눈치였다. “만약 곰이

쓰고 있었다. 호리호리하지만 탄탄한 체구를 가진 사람으로

선물을 무시하고 달려들면 그때는 각자 알아서 하세요.” 내가

스스럼없이 짓는 커다란 미소에 흥이 넘쳐 보였다.

덧붙였다. 대원들이 내가 못미더운 구석이 있다고 생각했는지 의심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가장 느린 사람이 잡아먹힐

송 씨는 두류산을 오르는 데 한 시간밖에 걸리지 않을 거라고

거요.” 내가 말했다. 모두 가장 둥실둥실하게 생긴 황철영을

했다. 나는 그 말을 전혀 믿지 않았다.

쳐다보더니 나를 노려봤다. 내가 큰 웃음을 터뜨리니 그제야 대원들이 의심을 거두고 무릎을 치며 크게 웃어댔다.

차로 한 시간을 더 달려서 다다른 곳에 내려 다섯 명이 걷기 시작했다. 나무판자로 지은 돌기와 집을 두어 채 지나자 계곡 입구가 나왔다. 여기서 능선을 향해 가파른 골짜기를 오르기 시작했다.


By the time we got to the ridge three hours had passed, knocking Mr Song’s estimate out of bounds. But relieved to be on the ridge, we all found this to be funny. I decided to change Mr Song’s name to Mr Han Shigan. Han is a common family name in Korea, but Han Shigan means one-hour, and the men found this to be hilarious, including Mr Song (Han Shigan). A good sport he was. The ridge was part of the Baekdu Daegan. Head high naked azalea shrubs consumed a thin game track that wrangled along the crest. A dark recess hung to the northern side. We followed the ridge for two more hours before arriving at a small patch of yellow grass on an open sunlit summit.

능선에 도착했을 때는 세 시간이나 훌쩍 지나버렸다. 송 씨의 예측이 말도 안 되게 빗나간 것이다. 그러나 능선에 도착한 것 자체에 안도한 우리는 웃을 수 있었다. 내가 송 씨의 이름을 한시간 씨로 바꿔 불렀더니 송 씨를 포함해 모두 배꼽을 잡는다. 그는 정말 좋은 사람이다. 능선은 백두대간의 일부였다. 머리까지 올라오는 앙상한 진달래 나무가 마루금을 따라 희미하게 난 산짐승 통로를 뒤덮고 있었다. 어두운 산 그늘이 북쪽으로 걸려있다. 두 시간 넘게 능선을 걷자 시야가 열리고 햇빛에 바래 노래진 풀밭에 덮인 좁다란 정상이 나타났다.

31


The horizon was endless. To the north, a blue sky laced with

지평선은 끝이 없어 보였다. 북쪽에는 흰 구름 리본이 수놓인

white ribbons felt close. To the south, mountain lines rippled like

푸른 하늘이 손에 잡힐 듯했다. 남쪽으로는 산마루의 곡선이

mini-tsunamis.

작은 쓰나미처럼 물결쳤다.

The wind dropped leaving only a crackle in the air.

바람이 잦아들어 후드득하는 소리만 들렸다.

We sat and went into our load. We ate rice, bulgogi, and kimchi,

모두 앉아서 지고 온 짐을 풀었다. 밥, 불고기, 김치를 시원한

which we washed down with still cool beer and acorn soju. No

맥주와 도토리 소주를 곁들여 먹었다. 불평이 있을 수 없다.

complaints there. Like their brothers in the south, the North

남쪽의 형제들처럼 북의 사람들도 산으로 많은 물건을 지고

Koreans weren’t shy when it came to hauling wares into the hills.

오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I got up and bust my way through some more shrubs to the other

일어서서 잡목을 헤치고 나와 봉우리 반대쪽으로 갔다. 사진을

side of the peak. Taking photos, I studied the landscape, eyeing

찍으며 지세를 유심히 살폈다. 백두대간의 남동쪽 경로를 볼

the course of the Baekdu Daegan southeast as best I could. Mr

수 있는 데까지 따라가 봤다. 한시간 씨가 나와 합류했다. 그를

Han Shigan came over and joined me. I looked at him and smiled.

보고 미소를 지었다. 그도 나를 쳐다보며 소리 없이 웃더니

He looked back at me, chuckled, then broke out a smile. Tobacco

이내 환한 미소를 지었다. 담뱃진으로 물든 그의 하얀 이가

stained the edges of his grainy teeth. I realized then that despite

드러나 보였다. 그런데 희미한 오솔길을 헤쳐가며 지금껏

the tough going, stooping along a thin game trail, I had not seen

힘들게 걸어왔지만, 그가 그 큰 모자를 벗는 걸 한 번도 본

him once remove his huge cap, and that he was also holding a two

적이 없었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이제 보니 그는 2m 길이의

meter stick. Shaved and rounded, it looked more like a billiard cue.

막대기도 하나 들고 다녔다. 나무껍질을 벗겨내고 동그랗게 만들어 당구 큐처럼 보였다.

I was still new in North Korea, but these guys didn't feel like enemies to me.

나는 북한이 처음이었지만 이 남자들은 내게 적으로 느껴지지 않았다.

32


33



October 21st, 2011: Sepho-gowon, Sepho-gun, Kangwon-do

2011년 10월 21일: 세포고원(강원도 세포군)

Sepho plateau fills a five-kilometre-wide landmass of the Baekdu Daegan

세포고원은 북한의 강원 중부지역을 지나는 백두대간에

in the central part of Kangwon province in North Korea. The plateau

형성된 5km 너비의 땅덩이다. 대간이 방향을 바꿔 30km

packs into the space between an elbow shaped section of the Baekdu

정도 남쪽으로 뻗어 나가다 북쪽으로 되돌아 올라가며

Daegan as it runs south for about thirty kilometres before proceeding

팔꿈치처럼 휘어진 공간에 생긴 분지다. 세포읍은 고원의

north again. The small windswept town of Sepho sits in the crux of the

남쪽 끝 팔꿈치 한가운데 바람에 노출된 곳에 자리 잡고

elbow at the southern end of the plateau. During their occupation, the

있다. 강점기 시절 일본인은 그들이 만든 지도에 이곳에서

Japanese incorrectly mapped this region of the Baekdu Daegan as being

물이 백두대간을 가로질러 흐르는 것으로 잘 못 표기했다.

cut by water. Two water sources form only kilometres from each other on

실제는 두 개의 수원이 불과 수 킬로미터의 거리를 두고

opposing sides of the Baekdu Daegan.

대간 반대편 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Sepho was once the main trunk line between Seoul and the port city of

세포는 한때 서울과 원산을 잇는 경원선 철도가 지나는

Wonsan. The rail track still operates there. During the warmer summer

곳이었다. 열차는 아직도 이곳을 지난다. 여름철에는

months, the plateau is said to be full of wildflowers. Because of its barren

고원에 야생화가 만발한다고 한다. 불모의 평원이라는 지형

flatness, parachutists besieged the area during the Korean War. Grassy

때문에 한국전쟁 때는 낙하산부대가 이곳을 점령했었다.

tombs of fallen comrades from the Chinese Volunteer People’s army dot

풀로 덮인 중국인민지원군 전사자 무덤이 도로변에 점점이

the roadsides.

널려 있다.


36


Wonsan city, Kangwon-do, North Korea

Wonsan is a port city on the east coast of North Korea, its apartment buildings a mixture of faded pastels with beds of colourful flowers lining the front of shuttered windows. In its port, clunky old boats with soot-stained funnels swing on moored ropes. Large trees and white bollards line the waterfront, and recreational fishers wait for taut lines. Bundles of hand-cut rice stack the fields. On the horizon dark clouds hang over the mountains. 원산은 북한 동해안의 항구 도시다. 아파트 건물은 색이 바래버려 다양한 파스텔 색조를 띄고 있고 알록달록한 꽃이 굳게 닫힌 창문 앞으로 줄지어 놓여 있다. 항구에는 검게 그을린 연통이 달리고 투박해 보이는 낡은 배들이 밧줄에 매인 채 흔들거린다. 부두에는 큰 나무와 흰 말뚝이 줄지어 있고 낚시꾼 여럿이 입질을 기다리고 있다. 들판에는 손으로 잘라 놓은 볏단이 쌓여 있고 지평선에는 검은 비구름이 산에 걸려있다.

37


38


39


Views from Namdae-bong 1005m, Sinyang -gun, Phyongannam -do 40


Dusty roads trickled alongside fresh, clear mountain streams weaving through small farming villages. By chance, we stumbled upon a large map board marking the entrance to a peak called Bukdae-bong 1326m. It’s so quiet in the North Korean countryside. I heard the ‘creak creak' of a bicycle chain and turned to see a young mother and her baby cycle past us. Behind me, I saw a farmer herding his goats over a sparkling stream lined with wilting willows. On our way down we met a young girl running up. Puffing, she stopped, her cheeks glowing crimson. She was very pretty and introduced herself as a guide. We walked with her a short distance to the next lower camp. There she said she wanted to sing us a song. It was an old song of revolution and patriotism. 먼지가 풀풀 날리는 도로가 맑은 물이 시원하게 흐르는 산개울을 따라 자그마한 농촌 마을을 돌아 나간다. 우연히 북대봉 (1326m) 입구에 서 있는 커다란 지도 안내판을 보게 됐다. 북한의 시골은 정말 조용하다. 삐걱삐걱하는 소리가 나서 돌아보니 젊은 엄마가 아기를 업은 채 자전거를 타고 지나갔다. 내 뒤에서는 농부 한 사람이 염소를 몰고 축 늘어진 버드나무가 줄지어 있는 맑은 시냇물을 건너가는 것이 보였다. 하산길에 헐레 벌떡 뛰어 올라오는 소녀 한 명을 만났다. 소녀가 숨을 헐떡이더니 멈춰 섰다. 두 뺨이 새빨갛게 빛나는 것이 아주 예뻤다. 우리 안내원이라고 자기소개를 했다. 아래쪽 숙영지까지 짧은 길을 함께 걸어 내려왔다. 도착하자 노래를 하나 불러주겠다고 했다. 혁명과 애국에 관한 옛날 노래였다. 41


October 25 & 26th, 2011: Namdae-bong 1005m & Bukdae -bong 1326m, Sinyang -gun, Phyongannam -do 42


We drove up the road to Bukdae-bong, arriving at a camp. A couple of soldiers came out and showed us a site containing relics from Korea’s struggle against the Japanese. During the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actions of partisan fighters hid in camps next to springs in the mountains. Most of the bases were in the remoter northern regions of the peninsula around Paektu-san. This site on the sides of Bukdae-bong was a southern arm of the resistance. Low roofs protected the remnants of tools, weapons, clothing, and other items that had been used by the men and women that once hid here. The Baekdu Daegan and its connecting ridges had been used by the partisans as ridge pathways to wrench independence back from the Japanese. Traveling Korea’s mountains is as much about the social experiences and friendships made, and the undulating beauty that comes with it. For me it has also been about learning of Korea’s past, recent and ancient.

43


A farmhouse near Namdae-bong in Yangdeok-gun, Phyongannam-do.

남대봉 근처의 농가(평안남도 양덕군)

북대봉으로 가는 산길을 차로 올라 숙영지에 도착했다. 병사 두 명이 나와서 항일투쟁 유물을 보존하고 있는 장소를 보여줬다. 일본 강점기 동안 빨치산들은 산속 샘 옆에 자리 잡은 여러 밀영에 은신했다. 대부분 거점은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반도 북부지역 오지에 있었으나 북대봉 밀영은 항일운동의 최남단 거점 중 한 곳이었다고 한다. 낮으막한 지붕을 씌우고 한때 이곳에 은신하던 남녀 빨치산들이 쓰던 도구, 무기, 피복을 비롯한 여러 유품을 보호하고 있었다. 빨치산은 백두대간, 그리고 연결된 능선을 통로로 삼아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투쟁했다. 한반도의 산을 찾아 여행하는 것은 아름다운 풍경을 즐기는 것은 물론 여행 중 사람을 만나고 사회적 경험을 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내게는 한국의 근세, 고대 역사를 두루 배운다는 또 하나의 의미가 있었다.

44


October 28th, 2011: Cholong-san 1093m, Maengsan-gun, Phyongannam-do

The mountain plateau village of Jungheung-ri nestles in a west-east elbow of the Baekdu Daegan in the county of Maengsan-gun, Phyongannam-do. The ridge veers sharply west for about ten kilometres before switching back in an easterly direction, forming a five-kilometre-wide plateau in between. It is also one of the regions the Japanese had wrongly claimed that water cuts the Baekdu Daegan. The unsealed road to Jungheung-ri is flanked with spent fields of sun-beaten maize, intermittently framed by thin wooden power poles. These poles don't share the same burden of their cable choked counterparts in the south; here they looked unstressed, only single strands of wire lightly dipping between them, pulsing the landscape with an easy charm. I began to get a sense for the plateau, and I felt slightly lofty. The still air was warm and void of aircraft, machinery, and vehicles. All that spun was the static buzz that fills the universe. As if to make the moment more angelic, a distant chorus of singing school children tickled the air. Looking in the direction of their sweet tones, I saw a green stack of pine that marked the village centre. Cholongsan rose in the background. The village warehouses were full of harvested maize. Yellow cobs dried out on the roofs of rickety homes. Wooden fences surrounded their homes and gardens to keep night marauding wild pigs out. A robust little mountain village.

45


2011년 10월 28일: 철옹산(1093m, 평안남도 맹산군) 고원 마을 중흥리는 평안남도 맹산군에서 백두대간이 동서로 팔꿈치 모양을 이루는 곳에 자리 잡고 있다. 능선이 서쪽으로 10km 정도 급하게 방향을 틀었다가 다시 동쪽으로 급회전하며 능선 사이에 5km 너비의 고원이 생겨났다. 이곳도 일본인이 물이 백두대간을 가로질러 흐른다고 사실과 다르게 주장한 또 하나의 지역이다. 중흥리로 가는 비포장도로 양쪽에는 추수가 끝나 햇볕에 바랜 옥수수밭이 늘어서 있고 가느다란 나무 전봇대가 듬성듬성 서 있다. 전봇대에는 케이블이 잔뜩 걸린 남쪽과 달리 외로운 전선이 한 가닥 가볍게 늘어져 있어 한가롭고 평안해 보이는 풍경을 연출했다. 내가 고원의 감을 느끼기 시작해서 그런지 약간 취한 느낌이 들었다. 바람 없는 공기는 따스했고 비행기나 기계나 자동차 따위의 소리도 들리지 않았다. 모든 소리가 멈춰 우주를 채우고 있는 적막으로 변한 것이다. 신비감을 더해 주려는 듯, 멀리서 초등학생들의 합창 소리가 대기를 타고 여릿여릿 들려 왔다. 달콤한 노랫소리가 들리는 쪽을 바라보았다. 동네 한가운데에 푸른 소나무가 늘어선 비보숲이 보이고 철옹산이 뒤를 막고 섰다. 마을 창고에는 수확한 옥수수가 가득했고 집집이 거두어 온 옥수수를 지붕에 널어 말리고 있었다. 집과 마당 주위에 나무판자로 울타리를 둘러 밤에 멧돼지가 들어오지 못하게 해 놓았다. 건실해 보이는 작은 마을이었다.

46


About an hour later I broke from the thick

I would join him before he pushed on and I’d

mess and met Mr Lee and Mr Seok on the ridge

pass it up again. In case there was an accident,

beneath a flimsy looking ten-meter-high cliff

Mr Seok took the end. Working as a team, we

face. There was no way around this, but up. The

regrouped at an inclining ledge, before scurrying

rock that formed the skin of the cliff face was

up a smaller five-meter face.

loose and crumbly, held together by clumps of grass and the roots of small shrubs, which I

At the top, I got grand views, but the light was

figured was what I would grab.

harsh. I wandered off for an angle. Behind me I could hear the men laughing and bantering,

47

My camera pack was too heavy on my back to

enjoying the end of the ascent. I smiled to myself;

climb this vertical face, so I took it off and passed

they were talking about how to catch a wild pig.

it up to the lighter Mr Lee.


한 시간쯤 뒤 짙은 넝쿨 지대를 돌파하여 엉성해

그다음 내가 따라 올라가 리 씨와 합류하면, 리

보이는 10m 절벽 아래턱에서 리 씨와 석 씨를

씨가 다시 올라가고 내가 배낭을 다시 밀어 올리는

만났다. 우회할 길은 어디에도 없어 똑바로 올라가는

식이었다. 사고가 날 경우를 대비해 석 씨는 후미를

수밖에 없었다. 암벽 표면을 덮고 있는 얇다란

맡았다. 한 팀으로 호흡을 맞추며 올라 경사진 바위

바위는 건들거리는 데다 푸석거렸고 군데군데 나

턱에서 잠시 쉰 다음 5m 정도의 낮은 벽을 다시

있는 무더기 풀과 작은 나무뿌리의 힘으로 겨우

올랐다.

제자리에 붙어 있었다. 이런 곳에 매달려 올라야 할 것으로 보였다.

정상의 전망은 훌륭했으나 빛이 너무 강했다. 사진 찍기 좋은 지점을 찾아 나섰다. 내 뒤로 일행 모두

카메라 배낭을 메고 직벽을 오르기에는 너무

등반이 끝난 것에 안도하며 웃고 농담을 하며 떠드는

무거웠다. 생각 끝에 배낭을 벗어 몸이 가벼운 리

소리가 들렸다. 나도 미소를 지었다. 모두 멧돼지

씨에게 밀어 올렸다.

잡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48


Views from the summit of Paek-san where we were told the locals bring their horses and sheep up to graze in the lush summer months.


October 26th, 2011: Paek-san 1449m, Sinyang-gun, Phyongannam-do 50


October 29th, 2011: Munpil-bong 672m, Maengsan-gun, Phyongannam-do

Any previous doubts I had about going to North Korea were now distant thoughts thrown to the mountain winds. It was as different as any foreign country is, but I liked it here. I liked the people. Overhead, the sun shone from a sky that billowed bundles of Autumn cloud. A mild wind whispered rain. The countryside parched gold, its hillsides bare. We stood on a dusty road that thread like a serpent through a thimble of forlorn mountains. It was beautiful in a lost and awkward way. I reflected on my journey. All these mountains had been plucked off the map back in Seoul. They were all remote. It was our last day in the field. We were tired but excited. We had gotten to know each other through adventure and the Baekdu Daegan. The mountains had no political domain, and up on the blustery peaks and in the steep valleys it hadn’t felt divided. 51


2011년 10월 29일: 문필봉(672m, 평안남도 맹산군)

북한에 오기 전 내가 품었던 온갖 걱정은 이제는 산바람에 날아 가버린 먼 기억일 뿐이었다. 어떤 외국 땅과도 다른 곳이었지만 나는 이곳이 좋았다. 여기 사람들이 좋았다. 가을 구름이 피어오르는 하늘은 머리 위로 햇살을 밝게 비추고 있었다. 불어오는 미풍은 비를 속삭였다. 들판은 황금색으로 말라버렸고 산기슭은 헐벗어 속살이 드러났다. 우리가 서 있는 먼짓길은 골무처럼 첩첩이 싸인 외로운 산속으로 뱀처럼 구불구불 뻗어있었다. 잊혀진 듯 묘하게 아름다운 풍경이었다. 나의 여정을 되돌아봤다. 이번 원정에서 오른 산은 모두 출발 전에 서울서 지도를 보고 고른 것이었다. 모두 오지에 박혀있는 산이었다. 산행 마지막 날이었다. 모두 피곤했지만 여전히 상기된 기분이었다. 우리는 탐험과 백두대간을 통해 서로를 알게 되었다. 산에는 정치적 진영이 있을 리 없었고 강풍이 부는 봉우리에서나 가파른 계곡에서도 한반도가 분단되어 있다는 느낌은 전혀 들지 않았다.

52


June 16, 2012: Heading to the northern parts The second part of my expeditions to the Baekdu Daegan began by driving north from Pyongyang to Paektu-san. Although the distance is less than 400km, it takes two days, the first night spent at the coastal town of Hamhung. The next day we headed inland at Pukchong, following the river north before beginning a twisting climb up the Baekdu Daegan on a stony road that surmounts the 1300m ridge at Huchi-ryong. Huchi-ryong is the gateway to the escarpment known to the Korean people as Kaema-gowon, a region they hold dear to heart. Famous for its rolling beauty and outer worldly nuances. Here the Korean peninsula joins the Asian continent. Vast rolling Larch pine forests replace the sharp, prominent peaks of the lower regions. Swift free running streams cut through broad grasslands. Peaks, mostly rounded, rise 2000m over rustic hamlets and potato farmlands.

Pukchong river, Pukchong-gun, Hamkyongnam-do

북청강(함경남도 북청군) 53


2012년 6월 16일: 북부 지방으로 향하다. 나의 2차 백두대간 원정은 평양에서 북으로 차를 몰아 백두산으로 출발하면서 시작됐다. 400km 가 채 안 되는 거리지만 이틀이나 걸린다. 첫날 밤은 해안 도시 함흥에서 지냈다. 다음 날 내륙의 북창으로 강을 따라 북쪽으로 가다가 꼬불꼬불한 길을 따라 백두대간으로 오르기 시작했다. 돌길을 따라가면 해발 1300m의 후치령에 닿는다. 후치령은 한민족이 소중히 여기는 개마고원의 관문이다. 개마고원은 구릉지의 아름다운 경관과 다른 세상에 온 듯한 느낌이 드는 곳으로 유명하다. 바로 이곳에서 한반도가 아시아 대륙과 연결된다. 저지대의 수많은 첨봉과 주요 봉우리가 낙엽송 숲의 거대한 파도로 바뀐다. 급류가 멋대로 넓은 초원을 가르고 흐른다. 대부분 둥글게 생긴 2000m 이상의 수많은 봉우리가 소박한 시골 마을과 감자밭 위로 솟아있다.

54


It was mid-June, and the weather was unpredictable. Bundles of black clouds hovered overhead, and sporadically dumped pool sized buckets of rain on us. Rays of hot sun glistened in the clean air and bounced on the wet landscape. We swayed through the escarpment watching farmers tilling the land, shepherds moving goats and sheep, women pedalling loads, and men passed out in the backs of their homeward bound ox carts.

55


6월 중순이었는데 날씨가 변덕스러웠다. 검은 비구름이 머리 위로 떠다니더니 이따금 양동이 물을 들이붓듯 엄청난 소나기가 쏟아졌다. 뜨거운 햇살이 맑은 공기 속으로 내리쬐어 비 맞은 경치가 번득였다. 고원지대를 여기저기 지나며 농부가 밭을 갈고 몰이꾼이 염소와 양을 몰고 여자들이 짐을 나르고 남자들이 소가 끄는 수레에 타고 귀가하는 모습을 지켜봤다.

56


June 17 & 18th, 2012

2012년 6월 17~18일

In Samji-yon we stayed at the Paegae-bong hotel. This

삼지연에서는 베개봉 호텔에 묵었다. 백두산 기슭의

small ski town at the foot of Paektu-san sits in the middle 삼지연은 작은 스키촌으로, 신비스러운 낙엽송 of a range of mysterious Larch pine forests that cover

삼림으로 뒤덮인 이 지역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다.

this vast region. The woods hid Korea's independence

숲은 일제 강점기 동안 수많은 조선 독립투사를

fighter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 was here

숨겨준 곳이다. 북의 사람들에게 성스러운 혁명의

to photograph Paektu-san, the mountain of sacred

산으로 추앙받는 백두산 사진을 촬영할 목적으로

revolution for the people of the north, but the weather

이곳에 왔으나 날씨 때문에 꼼짝할 수 없었다.

had put the visit on hold.

Slogan trees from the 1930’s anti-Japanese period were

구호나무는 1930년대 항일 투쟁 시대 한반도

used by communist driven freedom fighters in the

북부에서 활동하던 공산주의자 주축의 독립투사들이

northern regions of Korea to spread morale. Bark was

지역에 퍼져있던 동료의 사기 진작을 위해 사용한

peeled off, and patriotic slogans inked onto the bare

것이다. 나무껍질을 벗겨내고 드러난 줄기에 애국

trunks. In the 1960s some were rediscovered in the

구호를 먹으로 써놓았다. 1960년대에 백두산 지역

remote Paektu -san region. A chemical wash was used

오지에서 몇 그루가 발견됐다. 화학 세척제를 사용해

to expose the badly faded and sometimes vanished

심하게 바래고 없어진 글자를 식별해 내고 복원했다.

characters. They were then re-inked. A search for more

구호나무를 수색하다가 당시 빨치산들이 이용하던

also relocated the bivouacs (secret camps) used by the

숙영지(밀영)를 발견하기도 했다. 요즘 발견되는

partisans of that period. These days due to age, the trees

구호나무는 수명이 다해 죽은 채로 서 있는 경우가

are standing dead and therefore preserved in argon gas

많다. 이런 나무는 아르곤 가스를 채운 투명 격실을

filled transparent chambers. To prevent neglect, remoter

둘러 보존한다. 관리 부실을 막기 위해 멀리 있는

trees are uprooted and transported to join a clump of

나무는 옮겨와 다른 나무와 함께 보존한다.

others.



59


June 19th, 2011: Taeroeun-san 1489m, Taehungdan-gun, Ryangang-do

To get to Taeroeun mountain, drive east 50km from Samji-yon. A wall of Larch pine forest shadows both sides of the road. Its interior fixates into spiky darkness. Locals say tigers, leopards, and wolves still exist in these forests. Sometimes a fire break splits the forest. You can’t see its end. Where forests rarely are not, a crop field is. Rice is hard to grow here, so the people plant potatoes, in their hectares. We arrived at Sinsa-dong on the southern side of Taeroeun mountain on a warm, bright day. A small stream danced its way under a grassy brim. A young girl in a yellow dress came and stood next to me, watching me pack. An elder gently ushered her away, I think just because they thought she might be in my way. It would've been easier for me to believe that they didn't want her so close to a foreigner, but I never felt unwanted by the North Korean people. We started walking from a small village, the homes made from milled timber. Fertile plots of potatoes, lettuce, and barley grew around them, everything neatly organized. Some old ladies worked the land. Birds sang filling the air with song. The mountain forest was a mixture of white birch, chestnut, and acorn. Pink hues of Amur rose flecked the shrubbery. On the floor was a smorgasbord of ferns, mushrooms, grasses, herbs, and small white flowers. At the summit, we got immense views that stretched over a flat horizon. A haze shimmered over the plateau and in the far distant south a wicked assembly of black clouds boiled away. It felt like the roof of Korea. We could see sheets of torrential rain tormenting the land. It was like watching the advance of a giant tidal wave, and the guys were getting a little anxious. The wind picked up, and the first beads of rain fell. We started to move as

thunder and lightning rattled above us, and wind gusts sent trees swaying like pissed giants. The interior of the restaurant was quaint with simple yellow round wooden tables and white walls. At one table, two young men were getting cheerfully drunk and invited me to join them in a glass. It was potato soju, and after a long walk in the rain, it tasted outstanding. A short while later, a big plate of Bo-ssam (steamed pork) got plonked in the centre of our table. Small plates of hot Ramon and mul-kimchi joined it. The pork, I was told, was organic, slaughtered out back. Of course, it was! Where else could it come from way out here? It dissolved in our mouths. Bottles of potato soju were eagerly opened, and we started our feast. Our wet, cold, bodies warmed with the food, and our minds lifted with the soju. Our raucous session was interrupted by the chef, an elderly woman with a two-foot-high paper hat as big as her. She stood there, hands on hips. We wondered what we had done wrong. “Why are you guys seated in the cold corner of the room?” She cracked. She went to a sunlit wall and flattened her veiny hand on it. “It’s warmer over here!” Somewhat relieved it wasn’t serious, chuckling, Mr Kim told her we were already warm and cheery from her tasty cuisine and the potato soju. Smiling and nodding she walked back into the kitchen. Another bottle joined the table and the men's spirits lifted more. We recalled Mount Taeroeunsan: biting insects, giant triffids, thunder, rain, and getting lost in the dash. Mountains seem to bring out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60


2011년 6월 19일: 대로은산

삼지연에서 동쪽으로 50km를 달리면 대로은산에 닿는다.

제재소에서 나온 판자로 지은 집들이 들어선 작은 마을을

늘어선 낙엽송이 벽을 이루어 도로 양쪽에 그림자를 드리운다.

출발해 걷기 시작했다. 집 주위 텃밭에는 감자, 상추, 보리가

뾰족뾰족한 숲속이 오싹하게 컴컴하다. 마을 사람들은 호랑이,

자라고 있었고 모든 게 깔끔히 정돈되어 있었다. 할머니 몇이

표범, 늑대가 아직 숲에 산다고 한다. 간혹 방화선이 숲을

밭에서 일하고 있었다. 새 우는 소리가 대기를 가득 채웠다.

가르기도 한다. 숲이 끝없이 이어진다. 아주 드물게 보이는

숲에는 자작나무, 밤나무, 떡갈나무가 어울려 있었다. 해당화

숲의 여백에는 커다란 밭이 시선을 채운다. 벼농사가 어려운

(생열귀나무)의 분홍색 꽃이 잡목숲에 점점이 박혀 있었다.

까닭에 이곳 농부는 감자를 수만 평도 넘게 심는다.

바닥에는 고사리, 버섯, 풀, 약초, 작은 흰 꽃이 다양하게 깔려 있었다.

대로은산 남쪽 신사동에 도착했다. 포근하고 맑은 날이었다. 작은 개울이 가장자리에 우거진 풀 아래로 춤추듯 내려갔다.

정상에는 평평한 지평선 위로 엄청난 경치가 펼쳐졌다.

노랑 옷을 입은 어린 여자아이가 다가와 짐 챙기는 내 모습을

아지랑이가 고원 위로 어른거리고 남쪽 멀리에는 심술궂어

구경했다. 한 어른이 아이를 조용히 데려갔다. 아이가 내게

보이는 검은 비구름이 뒤엉키며 소용돌이쳤다. 한반도의

방해가 될까 봐 그런 것 같았다. 아이가 외국인에게 너무

지붕에 왔다는 기분이 들었다. 집중 호우가 땅을 내려치며

가까이 있는 것이 못마땅해서 그랬다고 언뜻 생각할 수도

다가오는 것이 보였다. 다가오는 지진 해일을 보는 듯했다.

있다. 그러나 여태껏 나는 북한 사람들이 나를 못마땅해한다는

대원들이 조금씩 불안해하기 시작했다.

느낌을 받은 적이 전혀 없었다.


바람이 세지더니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천둥 번개가

모자였다. 양손을 엉덩이에 올려 짚고 버티고 서있었다. 우리가

위에서 우당탕거리고 세찬 바람에 나무가 술에 취한 거인처럼

뭘 잘못했지? “당신들 왜 추운데 앉아 있지비?”그녀가 한마디

휘청거리고 있어 모두 하산하기 시작했다. 노란색으로 칠한

했다. 그리곤 해가 들어오는 벽으로 가더니 그녀의 핏줄 돋은

둥근 나무 식탁과 하얀 벽으로 꾸민 식당 내부는 예스러운 맛이

손을 갖다 댄다. “여기가 따뜻해!” 큰일이 아니어서 안심한

났다. 젊은이 두 사람이 한 자리에서 유쾌하게 술을 마시다가

김 씨가 웃으며 맛있는 음식과 소주 덕분에 이미 몸도 녹고

내게 합석하자며 술을 권했다. 감자 소주였다. 비를 맞으며 힘든

기분도 좋아졌다고 말해줬다. 할머니는 고개를 끄덕이고 웃으며

등산을 한 뒤여서 그런지 꿀맛이었다. 조금 후 커다란 보쌈

부엌으로 돌아갔다. 소주 한 병을 더 땄다. 대원들의 사기가

접시가 식탁 한가운데 놓였다. 뜨거운 라면과 물김치도 따라

더 올랐다. 무는 벌레, 거대한 식인 나무, 천둥, 비, 허둥대다

나왔다. 유기농법으로 키운 돼지를 뒷마당에서 잡은 것이라고

길 잃은 일 등 대로은산을 같이 회상했다. 산은 한반도 사람의

한다. 물론이겠지! 그렇지 않고서야 누가 돼지고기를 여기까지

본성을 드러내 보이는 듯했다.

갖다 주겠는가? 고기는 입에서 살살 녹았다. 서둘러 감자 소주 몇 병을 따고 잔치를 시작했다. 따뜻한 음식에 비에 푹 젖어 얼어버린 몸이 녹고, 거나하게 마신 소주에 기분이 살아났다. 왁자지껄한 잔치가 중단됐다. 주방 할머니가 기다란 요리사 모자를 쓴 채 나왔다. 두 자나 되는, 할머니 키만큼이나 긴

62


2012년 6월 20일: 백두산(2750m, 량강도 삼지연) 2011년 원정 때 운전사 한 씨가 내게 말했다. 백두산이 처음이라면

한 시간 후 외딴집에서 비치는 희미한 등불이 보였다. 병사 한 명이

일출을 꼭 봐야 하고 반드시 자기와 같이 가야 한단다. 악천후로 4

비바람에 몸을 웅크리고 나와 차를 정지시켰다. 운전석 창문이

일을 기다린 끝에, 한 씨가 다음날 새벽 1시에 출발해 정상까지 차로

열리자 극심한 악천후가 그대로 드러났다. 병사는 폭풍 부는 이

올라가기로 정해버렸다. 저녁 자리가 갑자기 조용해졌다. 밖에서

날씨에 산으로 가다니 미쳤냐고 소리쳤으나 더는 옥신각신하지

윙윙거리는 바람 소리와 퍼붓는 빗소리가 들렸다. 제정신으로 하는

않고 손을 흔들어 통과시켜줬다.

말이었을까? 백두산으로 올라가는 도로는 뒤로 돌았다가 앞으로 돌았다가 모두 새벽 1시에 일어났다. 차에 짐을 싣다가 밤하늘을 올려다봤다.

뱀처럼 구불거렸다. 전조등 불빛이 짙은 운무에 반사되어 앞을

별은 보이지 않았으나 바람은 잦아들었다. 거대한 칠흑 속을 누비고

보기가 힘들었다. 방룡 씨가 현지인만이 가질 수 있는 예리한

나가는 차의 전조등이 작은 들쥐처럼 어둠을 헤매고 있었다.

감각을 발휘해 차를 멈추게 했다. 정상 근처에 도착한 것이었다.

바람막이숲을 뒤로하고 노출된 사면으로 진입했다. 송곳 같은

이런 짙은 운무 속에서 자칫 계속 가다가 천지로 곤두박질쳤을

빗줄기가 차로 들이치고 바람이 문과 차창을 뒤흔들었다.

수도 있었다.

63


June 20th, 2012: Paektu-san 2750m, Samji-yon, Ryanggang-do 한 씨가 시동을 껐다. 극심한 폭풍우 속에서 차는 열병에 걸린 듯 덜덜

On the 2011 expedition, Mr Han, our driver, had told me that

떨었다. 차 밖으로 나왔으나 너무 위험해 멀리 갈 수도 없었다. 전혀

when I go to Paektu-san for the first time, it must be for the

앞을 볼 수 없었고 바람이 너무 강해 날아갈 지경이었다. 그날 아침

sunrise, and that he must be with me. So, after four days of

내내 모두 차 안에 앉아 동이 트고 날씨가 잠시나마 숨을 고르기를

bad weather, Mr Han decided that we would leave at 1 am the

기다렸다. 차 안은 담배 연기와 방귀 냄새로 가득 찼다. 처량해진

next morning and drive to the summit. The dinner table went

우리 신세에 모두 웃었다.

silent. Outside we could hear the sound of howling wind and pounding rain. Was this a sober idea?

5시 무렵 날이 밝아지기 시작하자 악천후가 얼마나 심한지 알 수 있었다. 두 시간을 더 버텼으나 날이 밝아지기만할 뿐 구름에 가려

We rose at 1 am. As we loaded the vehicle, I looked up at

일출은 볼 수 없어 하산하기 시작했다. 한 씨와 나는 백두산 일출을

the night sky. No stars, but the wind had dropped. Weaving

함께 보지는 못했으나 적어도 일출을 보러 함께 갔다는 것으로

through the vast black, our headlights scoured the night like

만족해야 했다.

a tiny rodent. The protective forest fell behind us, and we entered the exposed escarpment. Sharp pins of rain pierced the car and wind rattled its doors and windows. An hour later we saw the dim light of a lone house. A soldier, slouched from the wind and rain summoned us to stop. The driver’s window came down revealing the extremity of the weather. The soldier exclaimed we must be mad to go to the mountain in this storm, but rather than stand outside and argue with us, he waved us through. The road up Paektu-san coils backwards and forwards like a serpent. The vehicle’s beams bounced back from the thick cloud making visibility harsh. With the canniness only a local could possess, Mr Bang Ryong told us to stop. We had arrived at the summit area. In this thick cloud, we might've kept going and driven straight over the caldera's edge. Mr Han turned off the engine, and in the fierce gale, the car shook like it had a fever. I got out of the vehicle, but it was too dangerous to venture far. I couldn't even see where to go, and the wind was strong enough to lift me away. For the rest of the morning, we sat in the vehicle waiting for the light and maybe a break in the weather. The car filled with cigarette smoke and flatulence. We laughed at our pathetic state. The light grew at about 5 am, and we got to see how terrible the weather was. We stretched our stay for another couple of hours but all it did was get lighter, so we headed down. Mr Han and I may not have seen the sun rise over Paektu-san together, but we had been there for it.

64


65


66


67


68


June 26th, 2012: Turyu-san 2309m, Paegam-gun, Ryanggang-do

2012년 6월 26일: 두류산(2309m, 량강도 백암군)

A crippled and impassable tractor had forced us to camp on

고장 난 트랙터가 길을 막고 있어 차가 오도 가도

the side of the road. We had an eventful night around the fire

못 하게 되어 도로변에 야영을 하게 됐다. 모닥불에

roasting local potatoes and sipping acorn soju. The next day we

둘러앉아 밭에서 나온 감자를 구워 먹고 도토리 소주를

began our climb up Turyu-san, which at 2309m was to be the

마시며 왁자지껄한 하룻밤을 보냈다. 다음날 두류산을

highest mountain in all of Korea that I would climb.

오르기 시작했다. 2309m로 내가 두 발로 오른 가장 높은 한반도의 산이다.

It took us half the day to get to the base of Turyu-san, where we stopped in a peaceful glade for lunch. I told Hwang and Bang that

한나절이나 걸려 두류산 입구에 도착해 조용한 숲속

I would push forward with Mr Pak to get to the top, as I was keen

빈터에서 점심을 먹었다. 황과 방에게 내가 박 씨와

to get some photos. They could catch up with us later. Before I

정상으로 먼저 올라가겠다고 말했다. 사진 찍어 두고

got near the top, I ran out of water. We tried to spot the other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나중에 우리와 합류하면

two below who were carrying the rest of the water, but couldn't

see them. Not even a holler got their attention. It was a brutal

전에 물이 떨어져 버렸다. 물을 가져올 두 사람을

ascent. Mr Pak wasn’t carrying water at all, nor did he seem to

아래쪽으로 찾아봤으나 보이지 않았다. 소리쳐 불러도

require it. Despite the dehydration, when we got to the summit,

묵묵부답이었다. 잔인할 정도로 힘든 등반이었다.

the views were inspiring. We waited for an hour before the other

박 씨는 물을 가져오지도 않았을뿐더러 필요도 없어

two arrived.

보였다. 목이 탔지만, 정상에 도착한 우리는 펼쳐진

것이었다.

그런데

정상에

근처에

이르기도

멋진 경치에 힘을 얻고 있었다. 한 시간을 더 기다린

Desperate for water, I asked Bang for some. He looked at me

끝에야 나머지 두 사람이 도착했다.

silently and slipped the pack from his shoulder. I opened it and saw the water bottles, some full, some empty. I wondered for a

물이 급한 나머지 방에게 물을 달라고 했다. 그가 말없이

second why he was acting so surreptitiously. I grabbed a bottle,

나를 쳐다보더니 배낭을 어깨에서 슬쩍 내려놓았다.

ripped the top off, and shoved it into my mouth, taking a huge

배낭을 열고 물병을 찾아냈다. 물이 든 병도 있고 빈

gulp.

병도 있었다. 잠시 그가 왜 그렇게 뒤가 구리게 행동을 했는지 의아스러운 생각이 들었다. 급히 한 병을 꺼내

As the liquid hit my parched throat it caused me to bend over

뚜껑을 열고 크게 한 모금 들이켰다.

and throw up. I could hear the snigger of the men as I heaved at the ground through watering eyes. When I had stopped coughing

세상에, 도토리 소주가 입속으로 들어가자 바짝 말라

and spluttering, I stood up, and in a broken voice said, "It's soju!"

있던 내 목구멍이 타는 듯했다. 몸을 구부리고 토해냈다.

My understatement created hysteria.

눈물이 쏙 빠지도록 헐떡이며 바닥에 토하고 있는데 사내들이 키득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기침과 구토가 멎자 일어서서 쉰 목소리로 내뱉었다. “소주로구먼!” 아무 일도 아닌 듯 시침 뚝 떼고 말하자 모두 데굴데굴 굴렀다.

69


70


When everyone had quietened down, I asked if there was any

모두 잠잠해지자 남은 물이 조금도 없는지 물었다. 방과 황이

water. Bang and Hwang shook their heads. They had drunk it all

고개를 저었다. 험한 산길을 올라오며 다 마셔버렸단다.

on the way up this mean mountain. “Whose bright idea was it to

“물병의 절반을 소주로 채우자는 멋진 생각은 누가 한

half fill our water bag with soju?” I asked. Of course, no one said

거요?” 내가 물었다. 물론 아무도 대꾸할 리가 없었다.

anything. I had my suspicions, though, and he wasn’t up here.

의심 가는 사람이 있었지만, 그는 여기에 없었다.

We were now stuck on this big mountain without any water and

물도 없이 큰 산에 고립된 우리에겐 아직 내려갈 일이

had still to get down. I decided it was more funny than sad. We

큰일이었다.

had to suffer equally now.

받아들이기로 했다. 이제 죽어도 같이 죽어야지 뭐 별수

황당하기보다는

우스꽝스러운

상황으로

있어?

A short time later, while still on the peak, four teenagers appeared from out of the mist. They were crossing over the

얼마나 걸었을까 아직도 정상 부근이었는데 십 대 아이들 네

mountain to their grandparents’ village. They were shocked to

명이 옅은 운무에서 나타났다. 아이들은 산 건너편 할머니

see a foreigner but relaxed when they saw the North Koreans

할아버지가 사는 마을로 가는 길이었다. 산에서 외국인을

with me. I asked them if there was any water up here? To our

만난 아이들은 놀랐으나 내가 북한 사람들과 같이 있는

amazement, they said there was! They led us to a small spring

것을 보고는 안심했다. 아이들에게 이 근처에 물이 있는지

with a trickle of water coming from it. It tasted like lemonade,

물었다. 놀랍게도 물이 있다고 했다! 아이들이 물이 졸졸

so refreshing it was. We rehydrated and walked with them a

흐르는 작은 샘터로 우리를 안내했다. 레모네이드처럼

short way, where they broke off down another spur before we

청량한 맛이 나는 물이 그렇게 시원할 수 없었다. 물을

thanked them again.

잔뜩 마시고 잠시 아이들과 같이 내려오다 갈림길에서 작별인사를 했다.

71


72


Huddled in a circle around the fresh dung, I asked Pak Geum-chol how many bears he had seen on Turyu-san. He replied he had seen a lot of sign but rarely a bear. Before I could ask further, he took a breath and said he once had a close encounter with one. We all stood up and stared at Mr Pak. Some years ago, not far from here, Mr Pak explained to us how he was in the thick woods when one suddenly stood up straight in front of him. “It stood two meters high no more than six meters from me,” he said. We all glanced nervously over our shoulders. “It let out a loud, angry roar, and flashed its big white teeth and sharp claws at me." Mr Pak followed that up with a loud roar, which surprised us. He then imitated how the bear stood up on its hinds. Mr Pak raised his arms, curling his fingers and gnashing his teeth, which further surprised us. Suddenly he let out a louder roar, which caused one of the men to cup his fists to his chest and let out a tiny high pitched yelp. Hwang Chol-young frowned at Bang-ryong’s girlish reaction, before turning his attention back on Mr Pak. We were all gripped by the story. Next, Mr Pak showed us how he had crouched down and started retreating backwards from the towering bear. He stipulated through sign language, how as he did so, he never took his eye off the beast, pointing his finger forwards then backwards. Then Mr Pak froze in his tracks, raised his left leg at the hip and stood balanced on his right leg. For a split second up there on that remote mountain in North Korea, with his arms raised and on one leg, I thought he looked like the Karate Kid. Then he snapped back to attention, spun on his heels, and at a zillion miles an hour, ran as fast as he could on the spot. His legs and arms were spinning in a blur. Everyone broke down with laughter. But this was no laughing matter. Mr Pak wasn’t a fibber, and we were standing over a very fresh pile of bear shit.

73


갓 나온 배설물 주위에 둥그렇게 모여앉아 박금철에게

비명을 질렀다. 황철영이 방룡의 계집아이 같은 반응에

두류산에서 곰을 몇 마리나 본 적이 있는지 물었다.

눈살을 찌푸렸으나 이내 박 씨에게 다시 주의를 돌렸다.

그는 곰의 흔적은 수없이 봤지만 곰을 실제로 본 적은

모두 그의 이야기에 푹 빠져들었다.

아주 드물었다고 했다. 더 묻기도 전에 그가 숨을 크게 들이쉬더니 한번은 곰을 아주 가까이서 만난 적이

박 씨는 이어 몸을 낮게 웅크려 우뚝 서 있는

있다고 했다.

곰으로부터 뒷걸음으로 물러서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면서 지금처럼 자기는 짐승에서 눈을 절대로 떼지

모두 일어서서 박 씨를 쳐다봤다. 몇 년 전 여기서 멀지

않았다는 몸짓으로 손가락을 들어 앞으로 뒤로 가리켜

않은 깊은 숲속에 왔을 때였는데 갑자기 곰 한 마리가

보였다. 박 씨가 움직임을 완전히 멈추고 왼발을 엉덩이

박 씨 바로 앞에 서 있더라고 했다. “키가 2m가 넘는

높이까지 올려 오른발로만 균형을 잡고 섰다. 순간 나는

놈이 6m도 채 안 되는 거리에 서 있는 거예요.”

북의 이 머나먼 산속의 그가 ‘가라데 키드’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시 우리 주의를 끈 그가 발꿈치를

모두 걱정스러운 눈빛으로 어깨너머를 흘끗 살폈다.

축으로 빙글 돌더니 걸음아 날 살려 전광석화처럼 냅다 뛰는 것이었다. 얼마나 빠른지 그의 팔다리가 보이지도

“이놈이 성난 듯 큰 소리로 으르렁거리며 커다란 흰

않았다. 모두 주체하지 못할 정도로 웃어대자 긴장이

이빨과 날카로운 발톱을 내게 보이는 거였어요.” 박

조금 풀렸다. 그러나 이건 웃을 일이 아니었다. 박 씨는

씨가 큰 소리로 으르렁거리는 바람에 모두 놀라버렸다.

거짓말하는 사람이 아니었을뿐더러 우리는 방금 갓 나온

그리고는 곰이 뒷발로 서 있는 모습을 흉내 냈다. 두

곰의 배설물 주위에 서 있었던 것이다.

팔을 들어 올려 손가락을 구부리더니 우리를 향해 이를 갈기 시작해 또 놀랐다. 그가 더 큰소리로 으르렁대자 대원 한 사람이 주먹을 가슴에 대고 높은 소리로 작은 74


June 28th, 2012: Seol -ryeong 설령, Unhung -gun 운흥군, Ryanggang -do 량강도

75




Meadows of the Kaema plateau

78


2012년 6월 29일: 대전평리(량강도 운흥군)

79


29th June 2012: Daejeonpyeong -ri, Unhung -gun, Ryanggang -do

As I stood taking a piss, staring at the cow, I couldn’t help but think of what Mr Han had said some days ago. He claimed cows on the escarpment had shorter legs than cows elsewhere in Korea. Once again I wasn't sure if he was taking the mickey or not. He said it was to cope with the higher altitude and freezing winters. The heart had less distance to pump the blood. I couldn't believe that. But the more I looked at this cow, the shorter its legs looked, like an optical illusion. Maybe Mr Han was right! The cow turned to look at me, raised its snout, took a sniff, and started loping towards me. I fixated on its stumpy legs. As it drew near, I noticed it seemed excited about me. Its large tongue was licking its big lips, and I realised it could smell, probably, the salt in my urine. Nervously I tried to finish up, looking back over my shoulder for good ground as I moved away from the molesting beast. It was then that I saw a remarkable scene. On a fast running stream, two men came bobbing around a bend on a long raft of logs. I had never seen such a thing in my life and never expected it here in Korea. I shook and zipped up, glad to get away from the thirsty cow, and ran for the vehicle. I reached inside the open window and grabbed my camera. As I shuffled closer to the scene, knowing I didn't have much time, I quickly adjusted the camera settings, pointed, clicked, and panned the guys as they sped past me. They must have been doing about 35km/ph. If one of them fell under the loose bouncing logs, I doubt he'd be able to get up again. With the water running shallow and swift, he'd be trapped, literally,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However, these chaps looked relaxed. 오줌을 누며 서서 소를 바라보고 있는데 며칠 전 한 씨가 내게 한 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개마고원 소들은 다른 지역의 소에 비교해 다리가 짧다는 것이다. 글쎄 그가 나를 놀리려고 그랬는지는 알 수 없다. 고산지대와 추운 겨울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지. 심장이 피를 멀리 보내지 않아도 되거든. 나는 그 말을 믿을 수 없었다. 그런데 소를 가만히 보면 볼수록 다리가 짧게 보였다. 착시 현상이었을까? 한 씨가 옳았을 수도 있겠다! 소가 몸을 돌려 킁킁 냄새를 맡더니 내 쪽으로 성큼성큼 걸어오기 시작했다. 나는 소의 짧은 다리에만 눈길을 주고 있었다. 가까이 오는 놈을 보니 날 보고 흥분한 것 같았다. 기다란 혀로 주둥이를 핥고 있는 모습이 내 오줌에 섞인 소금 냄새를 맡았을지도 모르겠다. 소변을 다 보지 못한 채 조심조심 뒤쪽의 평지로 곁눈질하며 뒷걸음질을 쳤다. 이 와중에 돌발상황이 벌어졌다. 물살이 빠른 강 상류 쪽에서 사내 둘이 길게 엮은 뗏목에 흔들거리며 굽이를 돌아 내려오고 있었다. 태어나 처음 보는 풍경이었다. 더구나 북한에서 이걸 보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 대충 지퍼를 올리는 둥 마는 둥 갈증 난 소를 뒤로하고 차로 달려갔다. 열린 창문으로 카메라를 집어 들었다. 강가로 다시 달려와 급류를 내려가는 사내들을 향해 급히 셔터를 누르기 시작했다. 시간이 없어 카메라 설정도 대충 할 수밖에 없었다. 시속 35km는 되어 보였다. 엉성하게 얽어 울렁거리는 뗏목 사이로 떨어지면 다시는 올라오지 못할 것 같았다. 얕은 급류에서 그야말로 진퇴양난에 빠질 게 틀림없다. 그러나 이 사내들은 느긋해 보였다.

80


July 1st, 2102; Kaema-gowon (plateau), Ryanggang-do 2012년 7월 1일: 개마고원(량강도)

81


It was a blazing day on the Kaema plateau. We rolled into the town of Kim Hyeong Gwon (Pungsan), the old battleground of Kim IL Sung's uncle, and probably home to some dead Japs. We parked under the shade of a big tree and shut down the diesel beast. Summer crackled the air. A young girl in yellow gumboots and a frilly hat, straight from her mom’s wardrobe, walked down the chalky lane, sun on her back, beating the heat with a matching lemon popsicle. Scrawny mutts rummaged in the dirt. Outside their homes, old ladies sat selling cigarettes and the likes. They garbled in highland dialect. One of my men strolled over and returned with a couple of green bottles of Daedong-gang maek-ju. We cracked them open and poured the warm amber down our dusty throats. Squatting on the glaring gravel, feeling the heat burn me clean, I lit up a Paektu-san, and after a settling tug, watched its blue smoke 'pansori' into the Zen air, here on the roof of Korea. 개마고원의 타는 듯 더운 날이었다. 김형권읍(풍산읍)에 도착했다. 김일성의 삼촌의 옛 싸움터로 일본인 주검이 여기에 다수 묻혀있을지도 모른다.

큰 나무 그늘에 차를 세우고 엔진을 껐다. 여름이 대기에 이글거린다. 노란 장화에 엄마의 장롱에서 꺼낸 듯한 주름 모자를 쓴 여자아이가 해를 등에 지고 먼지투성이 길을 걸어 내려온다. 더위를 달래려는 듯 레몬 아이스바를 입에 물었다.

뼈만 앙상한 똥개들이 흙을 뒤지고 있었다. 집 앞에서는 할머니들이 고원지대 사투리를 웅얼대며 담배와 잡화를 팔고 있었다.

일행 중 한 사람이 할머니 노점으로 가서 대동강맥주를 몇 병 들고 왔다. 병을 따서 미지근해진 호박색 음료를 먼지에 절은 우리 목에 들이부었다.

눈부신 자갈길에 쪼그리고 앉아 타는 듯한 열기를 느끼며 백두산 담배 한 개비를 피워 물었다. 한 모금 쭉 들이켜 내뿜은 파란 연기가 이곳 한반도 지붕의 고요하고 평화로운 대기로 판소리 춤사위처럼 피어올랐다.

82


July 2nd, 2012: Huisa-bong, Deokseong-gun, Hamkyongnam-do.

2012년 7월 2일: 희사봉(함경남도 덕성군)

Okryun -san was not located on the Baekdu Daegan but on a

옥련산은

백두대간에

속하는

산은

아니고

함경남도

subsidiary ridge that ran north from it in the county of Pujon in

부전군에서 북쪽으로 뻗어 나가는 한 지맥의 출발점에 있는

the south Hamkyong province. At over 2000 meters it provided us

산이었다. 해발 2000m 이상 높이 솟아 있어 북쪽 개마고원에

with a view north into the rolling green hills of the Kaema plateau.

녹음으로 덮인 구릉지대가 파도처럼 펼쳐진 모습이 한눈에

It was vast. Up here, you could sense how Korea rises from a spiky

보이는 곳이었다. 어마어마했다. 첨봉으로 가득한 저지대

mountainous sea level terrain and clips onto the highland area of

산지에서 솟아올라 아시아대륙의 고산지대로 이어지고 있는

the Asian continent. The landscape no longer appeared steep and

한반도의 모습을 만끽할 수 있었다. 이곳의 지세는 가파르고

tight, but long and high, a different sensation.

촘촘하기보다는 길고 높게 뻗어 있어 색다른 기분이었다.

As I peered into the massive forest that stretched as far as the

시야의 끝자락까지 펼쳐진 거대한 숲을 살펴보고 있자니

eye could see, I knew that there had to be rare species that still

저기엔 아직도 희귀한 동물이 살고 있을 수밖에 없으리란

lived there. These places are devoid of human interference. The

생각이 들었다. 이곳은 사람의 손을 전혀 타지 않은

Amur Leopard, which used to dwell on the rocky outcrops of

곳이다. 한반도의 드러난 바위산에 서식하던 아무르 표범은

Korea's mountains, surely must still be here. Needing smaller

틀림없이 아직 여기 살고 있을 것이다. 50km 정도의 작은

territories, about 50 square kilometres, it can survive on anything.

영역에서 활동하는 이 녀석은 어떤 조건에서도 살아남는다.

Omnivorous, it eats meat, fish, fruit, insects, vegetables, grasses,

잡식성으로 고기, 과일, 벌레, 채소, 풀 등 무엇이든 먹는다.

you name it. Leopards are stealthy creatures, found only at night

표범은 은밀히 숨어지내는 동물로 활동을 하는 밤에만 볼 수

when they are active, and who goes into the woods here at night?

있다. 그러니 누가 감히 밤에 이곳 숲속으로 들어갈까?

Tigers, what about them? The locals said they’re still around, but

아, 호랑이는 어떤가? 마을 사람들은 호랑이가 이직 나온다고

I’m not sure about that. They are bigger animals, need more food,

하지만 글쎄, 잘 모르겠다. 호랑이는 훨씬 큰 동물이기 때문에

plentiful game, like wild pigs and elk. They also require far greater

많은 먹이가 필요하다. 멧돼지나 순록 같은 큰 사냥감이

territories and are long distant wanderers. Much more vulnerable

있어야 한다. 활동 영역이 넓고 먼 거리를 배회하며 산다.

to humans, being larger and less stealthy.

덩치가 크고 몸을 숨기기 힘들어 사람에게 훨씬 취약하다.

These forests of northern North Korea would be a biologist’s

북한의 북부 삼림 지역은 생물학자들에겐 놀이공원일

dream park.

터이다.


July 5th, 2012: Okryun-san 2164m, Pujon-gun, Hamgkyongnam-do

2012년 7월 5일: 옥련산2164m, 함경남도, 부전군

84


Dol-gang 돌강 (stone–river), July 5th, 2012.

85


Off to see something else in this exciting region, not sure what. We walked through temperate pine forests, enjoying the scenery. I heard what sounded like a large body of roaring water, a big river, or a waterfall, I thought. It got louder and louder. Up ahead I saw sunlight shining through a gap in the forest canopy, where the river must have been. We were right on the water noise now, but as the gap in the forest opened, I couldn't see any river. We stepped out of the woods, and saw something I had never seen before. A long course of large boulders, about fifty meters wide, stretched to the left and right of us, just like a river, up and down the mountain. It ran forever. Even stranger, we could hear gushing water running under the boulders. We scrambled over the blocks of stone trying to look for the water, but couldn't find it anywhere. It was completely submerged. It was called Dol – gang, meaning stone – river. The local guide was explaining to the men about the stone-river when I heard him mention that there were only two others like this in the world. One in Bulgaria and the other he said was in ‘Fuck – land?' He kept repeating it, as the men couldn't understand where Fuck - land was? I cottoned onto it. He was talking about the Falkland Islands. It was a funny moment. How could there only be two or three in the world? It looked like a moraine to me, but an exceptional one. Later on in my research I discovered him to be quite right. Stone runs are different from moraines, rock glaciers, and other rock flows that break down the cement and cause crushing of the angularities and points of the boulders. By contrast, the stone run boulders are fixed, providing for safer climbing and crossing of the run. Stone runs are accumulations of boulders with no finer material between them. I still haven’t got round to adding the North Korean one to that wiki page. For now, it can just stay a mystery, or you can go and see for yourselves. 막연히 색다른 무언가를 찾으러 떠났다. 온대 소나무 숲을 걸어가며 경치를 즐겼다. 큰물이 포효하는 듯한 우렁찬 소리가 들렸다. 큰 강 아니면 폭포가 내는 소리 같았다. 소리가 점점 커졌다. 앞쪽으로 머리 위를 덮은 수풀 사이 틈새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이 보였다. 강이 흐르던 곳이 틀림없었다. 물소리가 선명하게 나는 곳으로 와서 숲이 열리는 쪽을 바라봤는데도 강은 보이지 않았다. 숲을 빠져나오자, 세상에, 지금껏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특이한 광경이 눈 앞에 펼쳐졌다. 50m 폭으로 첩첩이 쌓인 거대한 바위 통로가 우리 좌우로 강이 흐르듯 산 위에서 아래쪽으로 뻗어 있었다. 끝이 없어 보였다. 신기하게도 바위 밑에서 세차게 흐르는 물소리가 들렸다. 바위로 올라가 틈으로 흐르는 물을 보려고 했으나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물이 바위 아래로 완전히 묻혀 가려져 있었다. 돌강이었다. 안내원이 대원들에게 돌강에 관한 설명을 하고 있었는데 이런 지형은 세계에서 딱 두 곳밖에 더 없다고 하는 것을 들었다. 불가리아에 하나, 다른 하나는 ‘퍽랜드’라고 했다. 안내원이 여러 번 반복했는데도 모두 퍽랜드가 어디 붙어있는지 알아듣지 못했다. 내가 겨우 알아차렸다. 포클랜드섬을 말하는 거였다. 재미있는 장면이었다. 어째서 세계에 두세 개밖에 없다는 걸까? 특이하긴 하지만 모레인( 퇴석) 같아 보이는데. 나중에 검색을 하면서 안내원의 말이 옳았다는 것을 알게됐다. 암괴류는 시멘트를 부수고 각지거나 뾰족한 바위를 둥글게 연마하는 퇴석, 암석 빙하, 토석류 등과는 다르다고 한다. 암괴류의 바위는 한 자리에 고정되어 있어 안전하게 오르고 건널 수 있다. 암괴류는 거대한 바위로만 구성되어 있고 바위틈에 이물질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암괴류 위키 페이지에 북한 돌강에 대한 설명을 아직 추가하지 못했다. 당분간 돌강은 불가사의로 남아 있으면 된다. 독자 여러분이 가서 직접 한번 보셔도 좋겠다. 86


July 5th to 7th, 2012: Kodae–san 1766m, Sinhung–gun, Hamkyongnam–do

We were invited to sleep on the floor in a room of an administration building. The camp housed local staff that protected slogan trees (구호나무) and historic relics from the secret camps (밀영) of the anti-Japanese fighting period. The whole site was rustic, well managed, and clean. On the other side of the food gardens at the edge of the forest, a narrow stream gurgled, our wash room. A wooden panel sat over the creek, where one could stand above small canals made to divert the fresh mountain water into lanes for washing clothes and brushing teeth. All very neat. Only about ten people live in this serene place. Excellent drinking water gets collected from upstream. The toilets are long drops, but well made, and clean, and positioned well away from any water source. Quite the setup. That night we were fed a big meal of rice, local mountain vegetables, a veggie soup, canned pilchards, and potatoes. All prepared and cooked on a hearth style fireplace where heat could also run through the flutes of the underfloor ondul system. We washed the tasty dinner down with acorn soju and a hearty discussion began. The subject bears. Some months ago, a bear had swum across the Pujon dam, thirty kilometres north as the crow flies, and attacked a small passenger boat ferrying locals across the lake. This behaviour was not normal, Mr Ri said. The passengers had managed to fend the beast off. Mr Ri appeared to be enjoying his drink and told us another story. Once he was in the hills near here fleeing from a bear. He was losing breathe, so grabbed a rotten log and rolled down the hillside on it. He stated that this act confused the bear. The men's faces glistened in the tallowed light of the candle we sit around. Outside, the still night sparkled in the starry sky.

87


2012년 7월 5일: 고대산(함경남도 신흥군)

우리 일행은 관리소 건물 안에 있는 한 마루방에서 묶게 됐다. 막사는 구호나무와 과거 항일 투쟁 당시의 밀영 유물을 관리하는 현지 직원의 숙소였다. 유적지 전역은 소박한 시골풍으로 깨끗하게 잘 관리되어 있었다. 숲 가에 있는 텃밭 반대편으로는 작은 시냇물이 콸콸 흘렀고, 여기가 세면실이었다. 개울에 걸쳐놓은 판자에 올라서면 깨끗한 산골 물을 끌어 세탁용, 세면용 도랑으로 갈라놓은 것이 보인다. 아주 깔끔하다. 평온한 이 마을에는 겨우 열 명 정도가 산다. 식수는 상류의 물을 끌어 사용한다. 화장실은 재래식이었으나 잘 지어놓은 데다 깨끗하고 수원지에서도 멀리 떨어져 있었다. 갖출 건 다 갖추었다.

그날 저녁은 밥, 동네 산에서 따온 산나물, 산나물국, 정어리 통조림, 감자 등으로 풍성하게 먹었다. 음식은 부엌에서 아궁이에 불을 때서 준비했다. 아궁이는 온돌에 연결돼 있어 난방을 해 주는 전통식 구조였다. 도토리 소주를 반주로 곁들여 마시며 이야기를 이어갔다. 곰 이야기였다. 몇 달 전 곰 한 마리가 여기서 직선거리로 30km 북쪽에 있는 부전호를 헤엄쳐 건너다 사람들이 타고 호수를 건너던 작은 나룻배를 공격한 일이 있었다. 리 씨는 곰의 이런 행동은 일반적이지 않다고 했다. 배에 타고 있던 사람들이 곰을 쫓아버렸다고 한다. 그는 도토리 소주를 즐기는 듯 다른 이야기 하나를 더 해줬다. 한 번은 그가 근처 산에서 곰에게 쫓기고 있었다. 숨이 차올라 더는 뛸 수 없게 되자 썩은 통나무 하나를 끌어안고 산비탈을 굴러 내렸다. 리 씨는 이게 곰을 헷갈리게 했다고 공언했다. 둘러앉은 사내들의 얼굴이 촛불에 번득였다.밖에서는 고요한 밤이 별이 가득한 하늘에 번득였다.

88


July 6th, 2012.

Our last night was spent eating a feast of stewed rabbit, donated to us by a family that lived in the house at the top of the site and tended the goats. Ms Li, who had been with us for dinner, retired to her room. We heard her tuning her guitar, then she sang. Her voice was sweet and high. It resonated the mountain air. The night stopped. 2012년 7월 6일. 마지막 밤은 토끼탕을 먹으며 보냈다. 토끼는 관리소 위쪽에 있는 한 민가에서 염소를 기르며 사는 가족이 우리에게 준 것이었다. 저녁을 함께한 이 양은 자신의 방으로 건너갔다. 숙소로 돌아간 이 양이 기타를 치더니 노래를 부르는 것이 들렸다. 감미로운 고음의 목소리였다. 그녀의 노래가 산 공기를 타고 울려 퍼졌다. 밤이 멎어버렸다. 89


About an hour later we arrive at Pujon pass on the Baekdu Daegan, where we had come from a couple of days ago, but It feels longer than that. It is still morning, and the air is bright and fresh. A blue sky projects above us, and beneath us a duvet of lumpy white cloud stretches east as far as the eye can see. Green crests slice the clouds.

July 7th, Pujon–ryong, Pujon–gun, Hamkyongnam–do

Later in the day, we arrive at the pass of Taebaek-ryong. The morning cloud has gone leaving only a piercing blue sky. The road surface is good, but we haven’t seen another vehicle all day, and doubt we will. This road, like many others, does not exist on a map. We got here on local information. All we know is that the ridge this pass is on will take us to Cheonsandae–bong. It seems we have better knowledge of the ridge network of North Korea than we do the road network. We set up camp. 2012년 7월 7일: 부전령(함경남도 부전군) 약 한 시간 후 백두대간을 넘는 부전령에 닿는다. 겨우 이틀 전에 지나온 곳인데 훨씬 예전 일처럼 느껴진다. 고요한 아침, 공기가 맑고 밝다. 푸른 하늘이 위로 걸려 있고 아래쪽에는 흰 뭉게구름이 동쪽으로 시야의 끝까지 펼쳐져 있다. 녹색 산마루가 구름을 자른다. 그날 늦게 태백령에 도착한다. 아침에 끼었던 구름은 사라지고 뚫어질 듯한 푸른 하늘만 남아있다. 도로의 노면 상태가 좋았는데 온종일 다른 차를 한 대도 보지 못했다. 앞으로도 못 볼 것 같다. 다른 여러 도로처럼, 이 도로는 지도에 나오지 않는다. 우리는 지역인에게 들은 정보에 의존해 여기까지 온 것이다. 태백령 능선을 따라가면 천산대봉에 이른다는 것이 우리가 아는 전부다. 우리 일행은 북한의 도로망보다 능선길을 더 잘 알고 있는 듯하다. 야영 준비를 한다. 90


July 8th Cheonsandae–bong 1976m, Sinhung–gun, Hamkyongnam–do

We have no local guide with us. Hwang Chol–young and Kim Song–min have elected to walk with me on this climb, but of course neither know the exact route. We study the large-scale map. Hwang Chol–young says that I must lead the walk. All I know is that we should take this ridge 345° N for about 10km. Once we’re deep in the forest with no trail, it’ll be challenging to stay on course. The summit of Cheonsandae-bong 1976m is thick with impressive Manchurian Fir Pine. They’re not tall, but wide, probably due to the altitude, and the high winds this ridge must experience. Their limbs knot together like a net. The thinner ends have sharp barbs on them that snag you, reeling you into their trunks. The ground is full of footballsized stones covered in gold pine needle and jade moss. It’s hopeless. How can I take a photo in here? I need to get a view. Then I spot the granddaddy tree of them all. It stands near the top of the summit on the edge of a clearing. I take a walk around it, studying the best way to climb it. This tree feels human. I figure this old man tree is at least one hundred years in age, probably much more. I hitch my camera over the back of my shoulder letting it hang lens down behind me. I shove my other lens into my trouser pocket and start climbing. His limbs are thick and robust. I get higher and higher, and near his top, I see the sky open up. I find a perch, turn and take in the views. I have my tree hut in North Korea. I shimmied back down the old man tree. At the bottom, I look up and say thanks, and also wish him a long life. I have a good feeling that way up here, where there is no road or people, he will get his chance to do that. 2012년 7월 8일: 천산대봉(1976m, 함경남도 신흥군) 우리에겐 안내원이 없다. 황철영과 김성민이 나와 같이 산에 오르기로 한다. 두 사람도 길을 모르긴 마찬가지다. 모두 대축척 지도를 꼼꼼히 살펴본다. 황철영이 나보고 앞장서란다. 내가 아는 거라곤 이 능선을 따라 345° 북쪽으로 10km 정도 가야 한다는 것뿐이다. 일단 길이 없는 깊은 숲속으로 들어가면 제대로 길을 잡아 나가기란 여간 힘들지 않을 것이다. 천산대봉(1976m) 정상에는 멋진 전나무로 가득 덮여있다. 키가 크지 않은 대신 넓게 펴져 있다. 아마도 고도와 세차게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 때문일 터이다. 큰 가지들이 그물처럼 서로 엉켜있다. 가지 끝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돋아있어서 여기에 걸리면 줄기 쪽으로 돌아서 빠져나와야 한다. 바닥에는 금빛 솔잎과 푸른 이끼로 덮인 축구공 크기의 바위가 수없이 널려있다. 가망이 없다. 여기서 어떻게 사진을 찍으라고? 화각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다 할아버지뻘 되는 나무를 하나 발견한다. 정상 부근 개활지 끝에 있다. 나무로 다가가서 올라갈 궁리를 한다. 이 나무는 사람 같은 느낌을 내뿜는다. 이 할아버지 나무는 최소한 100살, 아니 그보다 훨씬 나이가 많을 수도 있겠다. 카메라를 어깨에 감아 렌즈가 등 뒤 아래로 향하게 둘러멘다. 다른 렌즈 하나를 호주머니에 쑤셔 넣고 나무를 오른다. 나뭇가지가 두껍고 탄탄하다. 점점 높이 올라 꼭대기에 다다르자 열리는 하늘이 보인다. 설 자리를 발견하고 돌아서서 경치를 감상한다. 북한에서 나만 아는 나무집을 하나 발견한 것이다. 할아버지 나무를 조심조심 내려온다. 바닥에 내려와 올려다보며 감사 인사를 하고 장수를 기원한다. 길도 없고 사람도 없으니 그러실 수 있을 거라는 기분 좋은 확신이 든다.

91


92


The photo I took of the Baekdu Daegan from the top of the old tree.

93



July 8th, 2012: Myeongdang-bong 1809m, Pujon-gun, Hamkyongnam-do. We get back to camp, eat, and just before dark, decide to pack up and scurry onwards. We plan to get back to the pass of Pujon-ryong and make a decision there. We’d like to explore the Baekdu Daegan in that section, and could use the pavilion at the pass as a base camp. In North Korea, it gets real black at night. A storm is with us, and as we get higher, the rain beats harder on the vehicle. Mr Han drives slowly, following the edges of the bending road with his headlights. The wipers work furiously to keep the windscreen clear. In the smoky vehicle, five men, shoulder-to-shoulder, puff on cigs, warming our minds with nicotine, far from our homes. Tonight, up here on this big ridge that forms the living spine of the Korean people, it is wet with fury. Eventually, we gain Pujon-pass. It is being hammered by wind and rain. Even the pavilion is wet inside. There is a dirt road that travels east along the ridge, so we take it, hoping for shelter from the wind. We come to a small signpost, which marks a revolutionary site, a historical relic from the anti-Japanese period; there might be guards here, a shelter. We make our way into the home. Stumbling in the dark, I am a little confused about the arrangements; everything seems small, the low framed doors, a narrow concrete hallway, two or three small rooms, a kitchen that is more a work area, with water tank, and fireplace. I can feel warm air. Heat is coming from a wood-fueled ondul system somewhere. The five of us cram into one small room where we sleep shoulder to shoulder on the floor. After all the effort to get here, it now seems comical that we don't know where exactly we are. In the pitch black. someone farts, a good one, and giggles follow. Then another fart, this one a big wet one. I accuse Hwang Chol-young, but he denies it. It must be my turn, so I round one up deep from my bowels, and just before everyone stops laughing from the last one, I let out the mother of all farts. It’s powerful and rattles for at least three seconds. The men are in shock. No one says a thing. “That is the great wind of the Baekdu Daegan,” I say in the darkness, and I feel us all shake with laughter. The room quietens, and the first snores start. I lie there listening to the mountains of North Korea. The fierce wind clatters the roof, like a gargoyle is trying to scratch through. It’s fantastical. I love it. My eyes slowly cure to the dark. From the narrow corridor, I can see a slither of ambient light ebbing through the building. It transforms the black into swatches of dark leather and midnight blues. As I swim in the hues, I feel my eyes roll into the cosmos; my lids fall, my body gives way, and I am gone.

95


캠프로 돌아와서 저녁을 먹고 어두워지기 전에 짐을 챙겨

느껴진다. 나무 땐 온돌방이 있는 것 같다. 일행 다섯 명이

다시 출발하기로 한다. 부전령으로 일단 되돌아가서

좁은 방바닥에 어깨를 맞대고 끼어 누워 잠을 청한다.

거기서 어디로 갈지 정할 예정이다. 백두대간 부전령 구역을 탐사하려면 고갯마루에 있는 정자를 베이스캠프로

이렇게 힘들게 여기까지 왔는데 아직도 우리가 있는 곳이

이용하면 될 것 같다.

정확히 어디인지 모른다니 웃기는 일이다. 칠흑 속에서 누가 방귀를 뀐다. 큰 놈인데 모두 키득거린다. 이번에는

북한의 밤은 정말 캄캄하다. 폭풍이 불고 있다. 높이

더 크고 진한 놈이다. 황철영이라고 넘겨짚었더니 자기는

올라가자 비가 차에 세차게 내려친다. 한 씨는 헤드라이트에

아니란다. 내 차례다. 뱃속 깊이 한 놈을 준비해 두었다가

비치는 굽잇길을 따라 천천히 운전한다. 와이퍼가 미친

사내들의 웃음이 그치려는 순간 모든 방귀의 어머니가 될

듯이 차창을 닦아낸다. 연기로 가득한 차 안에는 고향을

만큼 큰놈을 내질렀다. 얼마나 강력했던지 적어도 3초는

멀리 떠나온 다섯 사내가 어깨를 맞대고 끼어 앉아 담배를

창문을 흔든다. 사내들 모두 충격을 받았나 보다. 모두 할

피워 대며 니코틴으로 마음을 녹이고 있다. 오늘 밤 한반도

말을 잃는다. “이게 바로 백두대간의 강풍이라고.” 내가

등줄기를 이루는 이곳 대 능선은 성난 비에 푹 젖어 있다.

어둠 속에서 말한다. 모두 웃음으로 자지러진다.

드디어 부전령에 올라온다. 비바람이 몰아친다. 정자도

방이 조용해지자 코 고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누워서

속속들이 젖어 있다. 능선을 따라 동쪽으로 흙길이 나 있어

북한의 산 소리를 듣고 있다. 사나운 바람에 지붕이

이 길로 들어선다. 바람을 피할 곳이 있을까 해서다. 항일

덜커덩거려 홈통에 달린 괴물 상이 파고 들어오려는 것

혁명 운동 유적지임을 알리는 간판을 발견한다. 여기에

같다. 환상적이다. 정말 멋지다. 눈이 서서히 어둠에

관리인과 피할 곳이 있을지 모른다.

익숙해진다. 좁은 복도에서 은근한 빛이 새어 들어와 건물을 가로질러 사위어가는 모습이 보인다. 칠흑의

집 안으로 들어간다. 어둠 속에서 더듬거리는데 내부

어둠이 검정 가죽과 한밤중의 푸르스름한 색으로 바뀐다.

구조가 약간 의아하다. 모든 게 작다. 낮은 출입문에

밤의 바다를 헤엄치다 눈이 우주로 흘러드는 것을 느낀다.

좁다란 콘크리트 복도가 있고 작은 방 두세 개와 물통과

눈꺼풀이 감기고 몸이 없어진다. 나는 사라지고 만다.

아궁이가 있는 작업장처럼 생긴 부엌이 나온다. 온기가

96


Chilbo-san, Myeongcheon-gun, Hamkyongbuk-do July 14th to 17th, 2012:

Chilbo-san is a magnificent

mountain system located on the northeastern coast of North Korea. Locals call it their Kumgang-san, but I think it better resembles a miniature Grand Canyon. Chilbosan is one of the six sacred mountains of the peninsula. The 250km² zone gets its name from a supposed seven treasures that are hidden there. Like all of Korea’s great coastal mountain clusters, the topography is split into three sections. The section located on the inland side of the main ridge is called the inner section, the area facing the ocean is called the outer section, and the coastal area is called the sea section. This same format exists at Kumgang-san and Seorak-san in the south. Chilbo-san is not part of the Baekdu Daegan, but was a worthy detour. We spent four nights there.

2012년 7월 14~17일: 칠보산(함경북도 명천군) 칠보산은 북한의 동북 해안에 있는 명산이다. 여기서는 함경도의 금강산이라고 한다지만 축소판 그랜드캐년이라고 하는 것이 더 어울린다. 칠보산은 한반도 6대 성산의 하나다. 250km²의 이 지역에 일곱 가지의 보물이 묻혀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반도 해안선 근처에 자리한 다른 명산처럼 칠보산도 세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주 능선을 중심으로 내륙 쪽을 내칠보, 바다 쪽을 외칠보, 해안 지역을 해칠보라고 부른다. 금강산과 남쪽의 설악산도 같은 식으로 구분한다. 칠보산은 백두대간에 속하는 산은 아니지만 우회해서 들러 볼 만한 곳이다. 우리 일행은 여기서 4박을 보냈다.

97


98






Piano rock


Views north of Haechilbo-san.


Post-2011 and 2012 Expeditions I took some time to learn a lot more about North and

and a neo capitalist right, it is an awakening of sorts,

South Korea and their division after my expeditions

and what results from it, I think we'll see in the next

north. It was done from curiosity and as a way to

twenty years. It won't be a controlling right or left,

address the confusion inside me that had arrived as

but a new wave of political ideology that addresses

a result of being in the north. I had wondered why

our everyday living concerns like climate change,

and how did this happen? My hosts in the north had

renewable energies, cleaning the planet, fighting food

never tried to feed me with their versions of events,

poverty, and using automated intelligence as a means

but there I had seen a deep devotion of their will to

to provide us with more income and space to pursue

be an independently recognised nation which I think

the things that make us happy. Of course, these desires

needed to be better understood. I'd also witnessed

have to be distributed globally too, if there's any

the backward effects of decades of sanctions,

chance of removing conflict.

which an intelligent people were being denied a chance to prosper. I already had a reasonably good

Anyway, I decided I no longer wanted to be placed on

understanding of Korea's historical background before

‘a side’ because of my nationality. As a foreigner, I felt

division, but only basic knowledge about why and how

it was my role to help the Korea’s get along, not stay

it had become divided in the first place.

apart, and not in a way that suited the western alliance, but in a way that suited the Korean people. This

I had grown up pretty much as a lower to middle-class

doesn’t mean a forced absorption of the south over the

New Zealander with a lean to the right when it came

north or vice versa, because that is not reunification,

to politics. My views on matters such as global conflict

that is an invasion, but first, to permit the Korea’s to

had always been that there was the good guys and

get along, trade, mix, and live in peace, then let’s see

the bad guys. The Japs and Germans in World War

what happens.

II, which were overcome, had been the bad guys back then, not so much these days. Next, the Cold War, and

So, in the winter of 2012, from my ratty little house in

with that, through McCarthyism we were bred to have

a snowy Songni-san, I went about learning how to put

an instant distaste for communism through our new

the best of my photography into a photo art book that

enemies, the Soviets and Chinese. A system none of

would depict Korea as one nation using the mountains

us knew about, yet made to distrust vehemently. The

of the Baekdu Daegan. It was a daunting task. What I

Korean War inflated this.

lacked for in book design experience and training, I made up with time and dedication. Sometimes I would

My readings on post-colonial Korean conflict were

wake up early, sit on the computer all day and into

revealing. It’s not something that I should go into great

the night, have a drink, go to bed, get up, and do it all

detail about in a book like this, that is designed to

over again. This carried on after the snows had melted

show the reader the warm ramblings of a photographer

and the spring flowers sprung. The 160-page photo art

in never seen before parts of a reclusive nation. But

book was self-published by mid-2013.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is a part of the world still embroiled in Cold War Politics, and after you've lived here a while, it becomes difficult to stay apart from that, in fact, it is rather ignorant in my opinion to do that. I suppose all I can say to you is the outcome of all this research woke me up and made me realise that we the good guys aren't so good and that they the bad guys are still bad if that makes any sense to you? I think western capitalist culture is waking up to this on a global scale, and even though that seems to have created an edgy rift between the liberal socialist left


2011, 2012년 원정 이후에 일어난 일들 북한 원정이 끝난 후, 시간을 내어 남.북한과 분단의 역사를 더 공부하게 됐다.

궁금하기도 했거니와 북에 있으면서 느낀 혼란을 정리하기 위해서였다. 왜, 어떻게

분단이 됐는지 알고 싶었다. 북에서 나를 맞은 사람들은 그쪽에서 주장하는 분단의

전말을 내게 주입하려 한 적이 결코 없었으나, 독립적으로 인정된 국가가 되고자 하는 깊은 소망을 그들에게서 느낄 수 있었다. 이점은 우리가 좀 더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수십 년간의 제재로 인한 경제 침체로 우수한 민족이 번영할 기회를

놓쳐버린 사실도 목격했다. 분단 전 한국의 역사적 배경에 관해서는 상당히 많은 이해를 하고 있었으나, 나라가 분단된 사정에 관한 나의 지식은 기본적인 것에 불과했다.

나는 서민층에 가까운 중산층 가정에서 정치적으로 우파 성향을 가지고 자란 뉴질랜드

사람이다. 국제 분쟁 같은 사안에 대해서는 항상 좋은 편과 나쁜 편을 가르는 이분법적 견해를 견지했다. 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일본과 독일이 당시에는 나쁜 나라였다.

다음으로 냉전이 다가오자 우리는 새로운 적 소련과 중공으로 인해 공산주의를 자동으로

싫어하게끔 길이 들었다. 한국전쟁이 기폭제가 되어 우리는 모두 공산주의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음에도 이 시스템을 격렬히 불신해야 하는 분위기가 굳어졌다.

강점기 후 한국 분쟁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읽고 몰랐던 사실을 많이 알게 됐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쓰지는 않겠다. 이 책은 은둔한 나라의 숨겨진 비경을 찾아 헤맨 사진작가의 이야기를 쓴 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분단된 한반도는 아직도 냉전의

정치가 대립하는 곳이다. 누구나 여기오래 살아본 사람은 이 사실을 모른 체할 수는

없다. 무심하다면 무식하다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나는 이번 공부에서 깨달았다.

좋은 나라인 우리는 사실은 그렇게 좋은 사람들이 아니고, 나쁜 나라인 저들은 아직도 나쁜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이 말이 이해가 되는지 모르겠다. 서방 자본주의 사회는 이제 이 사실을 자각하기 시작한 듯하다. 이것이 좌파 진보사회주의자 진영과 우파

신자본주의자 진영 사이에 첨예한 대립을 가져왔을 수 있겠으나 여하튼 일종의 깨우침인 것은 틀림없고, 앞으로 20년이 어떻게 흘러갈지가 주목된다. 좌·우파 지배 세력이

아닌 새로운 정치 이데올로기로서 기후 변화, 재생 에너지, 환경 보호, 가난 퇴치와 같은 일상의 문제를 다루고, AI를 이용해 소득 증진을 도모하며, 우주 탐사를 통해 인류의

행복을 추구하자는 물결이 생겨날 것이다. 물론, 분쟁의 소지를 없애려면 이런 정치적 욕구는 세계적으로 확산하여야 할 것이다.

어쨌든 내 국적이 뉴질랜드라는 사실 때문에 어느 한쪽 편을 드는 일을 더는 하지 않기로 했다. 외국인으로서 내 역할은 두 개의 한국을 갈라진 채 그대로 두고 보기보다는

서로 함께 나아가도록 돕고, 서방 연합국의 이익에 부합하기보다는 한반도 두 나라

사람들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남한이 북한을 강제로 흡수한다거나 반대로 북이 남을 흡수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그것은 통일이 아니라

침략이기 때문이다. 먼저 두 나라의 왕래와 무역을 허용하고 함께 평화롭게 살게 한 후, 다음 단계를 모색하면 좋지 않겠는가.

2012년 겨울, 눈 덮인 속리산의 나의 작은 오막살이 집에서 그간 찍어둔 사진 작품을 선별해 포토아트북을 출판하는 방법을 궁리하기 시작했다. 백두대간의 산을 통해 한반도는 한 나라임을 보여주자는 의도였다. 내게는 벅찬 일이었다. 책을 만드는

경험과 훈련이 없어 부족한 부분은 몸으로 때웠다. 아침 일찍 일어나 컴퓨터 앞에 앉아

온종일, 밤중까지 일에 매달리고, 먹고 자고, 다시 컴퓨터 앞에 매달리는 일을 반복했다. 눈이 녹고 봄에 꽃이 필 때까지 작업을 계속한 끝에, 2013년 중반 160쪽 분량의 포토아트북을 자비 출판하게 됐다.

106


In that same year, I released, with state broadcaster MBC, a one-hour travel documentary of my mountain travels in North Korea. During my expeditions, I had made an effort to take video clips. The show was received with enthusiastic acclaim in South Korea as it presented to them a real and genuine account of travel inside remote North Korea. South Koreans do not have a window into North Korea. By law, they are not allowed to look in. So for them, it was a real eyeopener and as some viewers told me, a reconfirmation of the doubts they had over their own right-wing government's propaganda on this subject, which had been to make them believe that ‘all of’ North Korea was a denuded wasteland fraught with starving figures. However, my programme showed them that it wasn't and that in fact there was a very natural and beautiful landscape there that reminded them of an older Korea before the Souths massive industrial transition of the 70s and 80s. For the South Koreans what that meant that it wasn’t necessarily something that they yearned for again, but instead, an insight into a natural landscape that they were told didn't exist. It reminded them of an old Korea, away from the madness of capitalism and industrialisation. They wanted to see it for themselves, travel it, climb their peaks, and meet the people. Of course, they wanted to help the situation in the north too, provide better infrastructure, but not wipe out the old ways entirely. Some said that they were worried about what might happen to the pastoral people and their land if modern development and greedy industrialists one day got their hands on it. About the same time of the show, in August, I assisted a bunch of wealthy New Zealand motorcyclists down the length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Paektu-san to Halla-san, crossing for the first time on motorbikes, the infamous DMZ border at Kaesong Industrial Complex. For me,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at whole bums-on-seats journey was at the crossing from north to south. I was standing, deep inside the demilitarized zone, past the customs and immigration

107

offices of North Korea, on a sealed road in no man's land. About three hundred meters separated us from the foremost fringes of the south; it was as far as both sides could go. The motorcyclists waved goodbye and rode over. To receive them was not one Korean, only a small bunch of military clad American and New Zealand soldiers. I looked to see tears in some of my North Korean colleague's eyes. I asked them why that was, and they told me they couldn't understand why there were no Koreans on the other side. Because of my book release, the documentary and the motorbike tour, 2013 proved to be a big year. Demand for my work to be exhibited escalated and I started to see some returns on my investment. However, throughout it all, my concern about Korea’s division remained. In 2014, I attempted to get funding for a large-scale documentary that would showcase the Four Seasons of Paektu-san. With the same MBC producer, we got close to attaining the financing. I had even gone to Pyongyang and got members there to sign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to agree to the framework of making such an epic show that I’m sure would have drawn the Korean people closer. Although the north could not permit South Korean filmmakers to go there, I had planned instead to use a foreign film crew that would then hand over the footage to MBC to produce. But my real goal was to one day to have a joint north and south film crew working together on a Paektu-san Four Seasons project to showcase not only to the Koreans but the world. Maybe another time.


같은 해, 북한 원정 동안 내가 공들여 찍어 두었던 동영상을 한 시간 분량의

북한 등산 여행 다큐멘터리로 제작하여 공영 방송 MBC에서 방영했다. 나의

다큐멘터리는 시청자들의 큰 호평을 받았다. 남한 사람들에게는 가볼 기회가 없는 북한 오지 여행의 실제 기록물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에게는 그야말로 눈이 번쩍 뜨이는 놀라운 사건이었다. 많은 사람이 북한 전역이 사람들이

굶어 죽어가는 헐벗은 민둥산의 황무지라고 믿게 만든 우파 정부의 선전에

대한 그들의 의구심을 나의 여행기가 해소해줬다고 했다. 나의 다큐멘터리는

북한은 황무지가 아니라는 것을 시청자들에게 보여줬다. 실제로 북에는 7~80 년대 대규모 공업화 이전 남한의 옛 산하를 연상케 하는 아주 자연적이고

아름다운 경관이 존재한다. 남한 시청자들이 단순히 잃어버린 옛날 자연경관을 그리워한다기보다는, 다만 없다고 믿었던 자연경관의 내밀한 모습을 볼 수 있게 된 것이었다. 모두 북의 산을 자기들 두 눈으로 직접 보고 여행하고,

산에도 올라가 보고, 사람들도 만나보고 싶어 했다. 물론 사회 기반 시설 개선 등 옛것을 완전히 말살하지 않으면서 북한의 현 상황에 도움을 주고 싶어

하는 희망도 있었다. 북에 개발 열풍이 불어 탐욕스러운 사업가들이 들어가면 농부들과 그들의 토지는 어떻게 될까 미리 걱정하는 사람들이 남에는 많다.

다큐멘터리가 방영된 같은 달 8월에는, 백두산에서 한라산까지 한반도 종단을 시도하던 뉴질랜드의 돈 많은 모터바이크 동호인 단체를 도와 개성공단의

악명높은 비무장지대 경계선을 최초로 모터바이크로 넘게 했다. 내가 보기에, 이 오토바이 여행의 백미는 북에서 남으로 넘는 경계선에서 일어났다. 나는 북한 측 출입국 사무소와 세관을 지나 비무장 지대 깊숙한 곳에 자리한

무인지대를 지나는 포장도로 위에 서 있었다. 우리가 있던 곳과 남한 측 전방 초소의 거리는 300m 정도로 양측이 가장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거리였다.

모터바이크 동호인들이 손을 들어 작별을 고하고 경계선을 넘어갔다. 군복을 입은 미군과 뉴질랜드 군인 몇 명이 이들을 맞았다. 북한 동료 일부의 눈에

눈물이 고이는 것을 봤다. 왜냐고 물어봤다. 저쪽에는 왜 한국 사람이 없는지 이해를 못 하겠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책의 출간, 다큐멘터리, 모터바이크 동호인들 때문에 2013년은 풍성한

한 해가 되었다. 나의 작품을 전시해 달라는 요구가 빗발쳤고 투자금 회수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나의 한반도 분단에 관한 우려는 가시지 않았다.

2014년에는 백두산의 사계를 보여줄 대형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 뛰었다. 같은 MBC 제작진과 함께 목표 자금을 거의 확보하게

됐다. 평양으로 가서 관계자들에게 다큐멘터리의 제작 방식에 관한 양해각서에 서명도 받아왔다. 이 장대한 쇼가 제작되면 남·북의 거리를 더욱 좁히게 될 것이었다. 북에서 남한 제작자의 현지 출입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기에

외국인 촬영팀을 이용하고 그들이 찍은 영상을 MBC에 제공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장기적 목표는 언젠가는 남·북 공동 촬영팀이 함께 백두산 사계 같은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남·북한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 보여주자는 것이었다.

108


In 2015, things were getting slow, when I met by chance a Korean writer who took an interest in my work. Park Sang-gyu was an investigative journalist, but also good with the pen and had quite a large following. We decided to do a crowdfunding series. I had never really heard of that concept before and couldn't understand why people would give you money to go to the mountains, but it was a rewarddriven program, meaning if people like your work then they'll buy your products. Of course, as I later found out, this concept is widespread for many budding artists and innovators all over the world. I suggested we go for about 5,000,000KRW ($4500USD). Ten episodes later our target had blown through the roof, and we had received over $60,000USD. The Korean people loved my inside photos combined with the funny stories Park Sanggyu skilfully wrote. It rehumanized the North Koreans for them, which was great! Due to the demand for rewards, I had to reprint my 2013 photo art book as a 2015 Liberation Day Edition, with a new cover and some minor changes. I made it a Liberation Day Edition because somewhere in between all that crowdfunding euphoria, I had come up with the idea of doing a joint photo exhibition of mountains of the Baekdu Daegan in both Pyongyang and Seoul to commemorate Korea’s 70th anniversary of its August 15th, Liberation. Seventy frames were shipped overland to Pyongyang and back to Seoul through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t was an exciting interKorean transaction.

109

In 2016, politics in South Korea entered a dark period full of scandal and neo-conservative elitism. It culminated in late December that year with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 Hye. This saw a slump in my inter-Korean work and a fall of tourist numbers to South Korea which affected my income badly. I had to devise a plan on how to recover from this. I speculated if returning to North Korea to document more mountains of the Baekdu Daegan might work? Was I trying to play the same old record again? By early 2017, new tens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newly elected President Trump were headliners everywhere. The situation was getting cataclysmically worse. But in the middle of it was a man providing hope for the situation, newly elected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I had a gut feeling that all this would work out, and sometimes there’s no time like a crisis to do something extraordinary. I returned to North Korea in May 2017, in the midst of a lampoonist but deadly missile crisis. I stayed for four weeks and returned in August for seven more weeks. This is how it went.


2015년, 일거리가 줄어들고 있었는데 내가 하는 일에 관심을 보인 한국

작가 한 사람을 우연히 만나게 됐다. 박상규는 탐사보도 기자 출신으로 글 잘 쓰는 그를 따르는 독자가 상당히 많은 사람이었다. 크라우드펀딩 시리즈를 같이해보기로 했다. 내가 처음 들어보는 개념이었기 때문에 산에 올라가는

일에 사람들이 돈을 기부할 것이라는 걸 이해할 수 없었다. 알아보니 이것은 리워드를 근간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필자가 하는 일에 사람들이 동의하면

제안한 상품을 사주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전 세계의 새로 출발하는 예술가 발명가 사회에서는 이미 널리 퍼져있는 관행이었다.

5백만 원을 펀딩 목표로 제안했다. 10회 연재 후 대박이 났다. 6천만 원이

훨씬 넘게 후원을 받았던 것이다. 사람들은 내가 찍어온 북한의 내밀한 사진과 박상규가 재치있고 재미있게 쓴 이야기에 열광했다. 무엇보다 다행인 것은

북한 사람도 인간이라는 것을 독자들에게 보여줬다는 것이었다. 리워드 수요가 밀려들어 2013년 포토아트북을 표지와 내용을 약간 수정한 2015년 광복절 기념 판으로 다시 찍었다. 광복절 기념 판으로 만든 이유는 스토리펀딩의

열기 속에서도 8월 15일 광복절 70주년 기념으로 백두대간 산 사진 전시회를 평양과 서울에서 열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가 떠 올랐기 때문이었다. 사진

액자 70점을 육로로 개성공단 경유 평양으로 보내고 다시 서울로 가져왔다. 기분 좋은 남·북 교류의 경험이었다.

2016년, 남한의 정치 상황은 부패 의혹과 신보수의 전횡으로 점철된 암흑기로 접어들어 12월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을 당하기에 이르렀다. 이 때문에

나의 남·북 연계 사업은 침체했고, 남한을 방문하는 관광객 수도 줄어 나의

수입도 큰 타격을 받았다. 피해 복구를 위한 계획을 세워야 했다. 북으로 다시 가서 백두대간 취재를 더 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전에 해본 일을 그냥 답습하게 되지나 않을까? 2017년 초가 되자 북한과 미국의 새

대통령 트럼프 사이의 긴장과 대치국면이 모든 언론의 머리기사를 장식했다. 상황은 파국으로 치닫고 있었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암울한 상황에 희망을

보여주는 한 남자가 있었다. 바로 한국의 새 대통령으로 선출된 문재인이었다. 어쩐지 모든 문제가 잘 풀려나가리라는 기분이 들었다. 때로는 위기가 닥쳤을

때만큼 놀라운 일을 성취하기에 좋은 기회가 없기도 하다. 2017년 5월에 다시 북한으로 갔다. 언론에서 조롱거리로 삼고 있었지만 심각한 미사일 위기가

한창일 때였다. 북에서 4주를 보내고, 8월에 다시 7주를 더 보내고 돌아왔다. 그리고 이제 그 이야기의 시작이다.

110


May 27th, 2017: Mae-san 1231m, Koseong-gun, Kangwon-do

It was a hot, windless Saturday in late May when we turned

“Were animals a problem?” I asked. Mr Lee said about fifteen

off the east coast road about halfway between Tongcheon and

years ago they were, but these days it was mainly wild pigs.

Koseong in the province of Kangwon-do. Thick dust swirled

“How’d ya handle the animals back then?” I asked. He said

under the vehicle as it shuddered west on a stony road that

that his uncle was the designated governmental hunter for the

glared in the sun. Ahead in the distance, I could see the green

village and it was his job to shoo them away or kill them. “Is he

spurs of the Baekdu Daegan as they splayed sharply into a flat

still around.” No, Mr. Lee replied. He was killed by a bear many

treeless interior. Streams gasped from trickling beds. It was an

years ago. My soju ran back up my throat and out my mouth in

arid landscape. This region, just north of the sparkling Diamond

a splutter. “ A bear! How the hell did that happen?”

Mountains, was on the brink of a drought. Mr Lee’s uncle had been in the mountains for some days and Soon, the road petered out to grassy plains. We stopped the

concern was growing for his whereabouts. Some volunteers

vehicle, packed up, and dispatched ourselves to the mountains.

went to search for him. They found him dead and mangled on a trail, not far from where we were sat now. They ascertained he

Some hours later we were sitting in the shade of a forest

had been mauled to death by a bear. “Did they find out why?”

looking back over the plain. Mr. Lee our local guide told us

No one was sure Mr. Lee said, but it was the tactic of some

how only five years ago, a female bear with two cubs had come

bears, to circle back on their pursuers.

down from the mountains and nestled in a grove of trees near a village spring. Without disturbing the locals, she stayed there for over a year before disappearing back to the hills.

111

We all sat silent for a short time to ponder that.


2017년 5월 27일: 매산(1231m, 강원도 고성군) 바람도

없이

무더운

5월말께

토요일이었다.

“동물이 문제를 일으켰나요?”내가 물었다. 이 씨는

우리는 강원도 통천과 고성 중간쯤에서 동해안 도로를

15년 전쯤에는 야생동물 피해가 있었지만, 지금은 주로

빠져나왔다.

서쪽으로

멧돼지만 내려온다고 했다. “옛날에는 야생동물 문제에

털털대며 달리는 자동차 밑에서 짙은 흙먼지가 회오리처럼

어떻게 대처했죠?” 내가 물었다. 이 씨는 그의 삼촌이

피어올랐다. 멀리 앞쪽으로 나무 한 그루 없이 평평한

정부가 지정한 동네 포수였고, 동물들을 쫓아내거나

내륙 위로 우뚝 솟은 백두대간의 푸른 자락이 보였다.

죽이는 것이 그의 일이었다고 했다. “삼촌이 아직

개울은 메마른 바닥에서 목이 타고 있었다. 무자비하게

살아계시는가요?” 아뇨, 그가 대꾸했다. 여러 해 전에

메마른 광경이었다. 찬란한 금강산 바로 북쪽인 이곳에

그의 삼촌은 곰에 물려 죽었다고 했다. 마시던 소주에

가뭄이 닥치고 있었다.

사레가 들리고 말았다. “곰이라고요! 대체 어째 그런

눈부시게

번득이는

어느

자갈길

일이?” 도로는 초원으로 사라져버렸다. 여기에 차를 세우고 짐을 꾸린 다음, 산으로 향했다.

이 씨의 삼촌이 산에 간 지 며칠이 지나자 그가 어디 있는지 가족은 걱정하게 됐다. 지원자 몇 명이 그를 찾아

몇 시간 후 우리는 평원이 내려다보이는 숲속 그늘에 앉아

나섰고, 엉망이 된 삼촌의 시신을 한 산길에서 발견했다.

있었다. 현지 안내원 이 씨가 5년 전쯤에 어미 곰 한

우리가 지금 앉아 있는 곳에서 멀지 않은 곳이었다.

마리가 새끼 곰 두 마리와 함께 산에서 마을로 내려와

수색조는 삼촌이 곰에 물려 죽은 것으로 확인했다. “

약수터 근처 나무숲에 자리를 잡았던 이야기를 했다. 어미

어떻게 알아냈지요?” 이 씨는 아무도 장담할 수는

곰은 동네 사람들을 괴롭히지 않고 1년 넘게 머물다가

없었으나 곰이 추적자를 거꾸로 돌아 역습하는 전술을

산으로 사라져 버렸다.

쓰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설명했다. 모두 잠깐 소리 없이 앉아 그 말을 곰곰이 되새겼다.

112


We got up and kept walking, later arriving at a wide sloped area

모두 일어나서 계속 걸어 밤나무로 들어차 정상으로

covered in chestnut trees that appeared to be a summit. I could see

보이는 넓은 경사지에 도착했다. 전시에 판 것으로

the outline of wartime fighting trenches. Not uncommon in Korea.

보이는 전투 참호가 보였다. 한반도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것이었다.

“Anything of these trenches?” I asked. “여기 이 참호는 뭐지요?” 내가 물었다.

Mr. Lee had another telling story. The Chinese PLA dug them during the war he told us. He pointed to what had been their command

이 씨는 인상적인 이야기를 하나 더 꺼냈다. ‘

post, now just an overgrown heap of hand shifted stone. But the

조국해방전쟁’

story got better. Not long after the war, some South Korean soldiers

했다. 이 씨는 당시 그들의 지휘소를 가리켰다. 지금은

were found up here. They call them Bi-jeok in the north, a kind of

풀만 무성하게 자라있는, 손으로 쌓아 올린 돌무더기에

southern traitor. These Bi-jeok had gained a reputation for being

지나지

a nuisance to the local populace. They would sneak down to the

전쟁이 끝난 지 오래되지 않았을 때였는데 여기서 남한

village and steal or demand food. Apparently this continued for

군인들이 발견됐다. 북에서는 이들을 비적이라고 불렀다.

some years. Searches failed until one day they were found hiding in

비적들은 지역 주민들로부터 성가신 존재라는 악명을

a cave near here. Mr Lee said ten frail and hungry looking Bi-jeok

얻게 됐다. 이들은 마을로 몰래 내려와서는 음식을

surrendered.

달라고 요구하거나 훔쳐 가곤 했다. 이런 일이 몇 년간

않았다.

중국인민해방군이

그러나

이야기는

것이라고

점입가경이었다.

계속됐다. 그들에 대한 수색이 실패하다가, 마침내 어느

“Were they then killed?” I inquired. Mr. Pak, our provincial officer

날 이 근처 굴 안에 숨어 있는 이들을 발견하게 됐다.

with us for the Kangwon-do leg, jumped into the conversation. No,

모두 10명의 쇠약해지고 굶주린 비적들이 항복했다고

they weren’t killed. They became prisoners and after some time,

한다.

they were given the choice to stay in the north or be returned to the south, he said.

“그다음 그들을 죽였나요?” 내가 캐 물었다. 군청 관리 박 씨가 대화에 끼어들었다. 아뇨. 그들은 살해당하지 않았어요. 포로가 되어 얼마간 지내다가 북에 남거나 남으로 귀환할 수 있는 선택권이 주어졌어요. 박 씨의 말이었다.

113


By the time we got back to the vehicle, it was near dark.

자동차로

돌아왔을

Mr. Han had spent the afternoon setting up a camp fire

어둑어둑했다.

and preparing a full-on dinner. We chased it down with

모닥불과 저녁 준비를 해 뒀다. 산딸기 소주를

wild berry soju. After dinner, I looked up at the star-filled

곁들여 맛있는 저녁 식사를 했다. 저녁 후, 나는

night. Todays scenery had been unremarkable, but the

별이 총총한 밤하늘을 바라봤다. 경치는 볼 것

stories had not.

없었으나 이야기는 풍성했던 하루였다.

I wondered if there were plenty more out there?

저 너머에는 더 많은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까?

운전사

때는 한

날이 씨가

오후

저물어 내내

Random photo of a performer playing the Korean Gayageum in Kaesong (2013)

114


May 29th, 2017: Satae-san 1150m, Sepho-gun, Kangwon-do 115


2017년 5월 29일: 사태산(1150m, 강원도 세포군)

Daemun-ri, Sepho-gun, Kangwon-do

Some local helpers prepare small fish caught in the same stream for our breakfast. North Korea’s mountain streams are far from any industrialization and remain natural and unmanaged. Above the villages and away from cattle, there waters remain briskly cold in the summer months and are very drinkable. 지역 도우미들이 시내에서 잡은 작은 물고기로 아침 준비를 한다. 북한의 산 개울은 공업 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자연 그대로 사람 손길이 닿지 않은 채 남아있다. 마을 위쪽으로 흐르는 냇물은 가축의 발길도 닿지 않아 여름에도 찬물이 콸콸 흐르고 그냥 마셔도 된다.

116


A trail wrangles over the Baekdu Daegan at the foot of

오솔길이 강원도 세포군과 고산군

Okjeong-bong 1201m between the counties of Sepho

사이에 있는 옥정봉 자락에서

and Kosan in Kangwon-do province. These old pathways

백두대간을 힘겹게 넘고 있다. 이들

known in Korea as Yet-gil and they guide villagers to and

옛길은 마을 사람들이 집에서 다른

from their homes. As a national network formed from

곳으로 왕래하는 데 사용된다. 수천

thousands of years of usage their collective distance is

년에 걸쳐 사용되면서 전국으로 퍼진

immeasurable.

옛길은 총 길이를 가늠하기 어렵다.

117


118


Masang-san 1124m, Kosan-gun, Kangwon-do

After spending gruelling hours climbing what were sometimes

and struggling nation, they were prepared to go to all odds to

unremarkable peaks, at the top, we’d have a drink or two with

defend themselves. I had to admit I admired that too. We were

the snacks we carried. The preferred brew was acorn soju, easy

sitting on a grassy ridge when we heard a loud explosion some

to get. It’s a fun way to build relationships. Conversations would

distance away. We knew it was only a quarry explosion of sorts,

vary. By the end May 2017, North Korea had already conducted

but I joked that it was a nuclear missile launch, which aroused

four missile tests, receiving much criticism from the global

the men around me into haughty chuckles. I then joked what

community, and verbal wrath from the United States. The

it would look like if Americans started falling from the sky in

threat of war was real. The North Koreans appeared to be proud

their parachutes, a full-on invasion.

of their ability to warn others that although they were a small

Perhaps, because of the easiness of the ‘sul,’ the men understood that I was trying to be funny and not hostile. Mr Pak, a bit of a character on this journey, looked up at the overcast sky, and with two upward jabbing fingers, one from each hand, said that his country would become a hedgehog, roll up into a ball, and reveal all its spikes. Then we’d bayonet’m all up their arse’s. Laughing, I’d never heard of that kind of comparison before, and thought it was pretty clever. I didn't tell them though that most hedgehogs I’d seen were those normally crushed flat on a roadside. As I’d seen many female soldiers in North Korea, I added, “Yeah and the girls’ll pitch in as well, right?” With pursed lips, Mr Pak nodded his head strongly. His eyes big and round, said it all. The others; nodding and uh, uh, ing, in agreement, stated it was a majority decision.

119


마상산(1124m, 강원도 고산군) 딱히 이렇다 할 특징 없는 봉우리를 여럿 지나며 몇 시간

능력에 자부심을 느낀 듯했다. 작고 허덕이는 나라였지만

힘들게 올라온 정상에서 간식을 안주로 술을 두어 병

사람들은 나라를 방어하기 위해 모든 역경을 견딜 준비가

마셨다. 여기서 많이 마시는 술은 도토리 소주다. 쉽게

되어 있는 듯했다. 그런 그들에게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술은 마시며 다양한 이야기를

풀로 덮인 산등성이에 모두 앉아 쉬고 있는데 멀리서 커다란

나눌 수 있어 친교를 쌓는 데는 그만이다. 2017년 5월

폭음이 들렸다. 채석장의 발파 소리에 지나지 않았으나,

말까지 북한은 이미 네 번이나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해 세계

내가 핵미사일 발사하는 소리라고 농담을 하자, 주위의

각국으로부터 비난이 쇄도했고 미국으로부터는 분노의

사내들 모두 킬킬 헛웃음을 터뜨렸다. 농담을 계속했다.

말 폭탄을 맞았다. 전쟁의 위협이 현실로 느껴졌다. 북한

만약 미군이 낙하산을 타고 하늘에서 떨어지기 시작해

사람들은 다른 나라에 경각심을 일으키게 한 자신들의

전면전이 시작되면 어떻게 될까?

술기운에 느긋해진 사내들은 내가 농담으로 하는 이야기이지 적대감을 내보이는 것이 아니란 것을 알고 있었다. 이번 여행에서 괴짜 행동을 조금 한 박 씨가 나서서 구름 낀 하늘을 양 손가락으로 찌르며 자기 나라는 고슴도치가 되어 공처럼 돌돌 말아 가시를 내보일 것이란다. 그런 다음 그놈들 엉덩이를 모두 찔러버릴 것이라고 했다. 나는 웃으면서도 이런 비유는 들어본 적도 없거니와 아주 재치 있는 말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내가 본 고슴도치는 대부분 도로변에서 차에 치여 납작해진 것들뿐이었다는 말은 해주지 않았다. 북에는 여군이 많이 있었으므로 내가 한 마디 더 보탰다. “그럼 여자들도 동참하겠지, 안 그래?” 박 씨는 입을 오므리더니 고개를 크게 끄덕였다. 동그랗게 크게 뜬 그의 눈이 모든 걸 말해주고 있었다. 다른 사내들도 ‘어, 어, 그렇지’ 동의하며 다수의 결정이 돼 버렸다.

120


Mr Pak had been carrying our forest service guide’s tunic

박 씨는 하산 길에 산림청 안내원의 제복 상의를

as we descended the mountain. He put it down to go and

가지고 내려오고 있었다. 그가 상의를 내려놓고

take a piss, and I, feeling a little tipsy, grabbed it and put it

소변을 보러 갔다. 약간 취했던 내가 그 상의를

on. It was way too small for my arms, but with its military

입어봤다. 팔이 내게는 너무 짧았으나, 군복 모양에

type look and big shiny Kim Il Sung badge, it looked like

크게 번쩍이는 김일성 배지를 단 제복을 입은 내가

I’d recruited for the Korean Peoples Army. Mr Pak came

영락없는 조선인민군 신병처럼 보였다. 볼일을 보고

back from his piss, and when he saw me in the tunic, he

돌아온 박 씨가 나를 보자마자 크게 웃음을 터뜨렸다.

instantly cracked up. I thought this was pretty good of him.

그가 아주 좋은 친구라는 생각을 했다. 사실 문제가 될

I could imagine myself getting into trouble for such a stunt.

수 도 있는 행동이었는데 말이다. “빨리, 사진 한 장

“Quick take a photo of me,” which to my surprise he did.

찍어줘요.” 그가 후딱 사진을 찍어줘서 또 놀랐다.

When the others had caught up, I still had the tunic on, and

다른 대원들이 합류했을 때까지도 나는 제복을 입고

luckily they, including the owner found my act hilarious

있었다. 다행히 안내원을 비롯한 다른 사내들도 내

too. But when I returned the tunic to him, he was careful to

행동을 재미있어했다. 내가 상의를 돌려주자 안내원은

check that none of the service medals he kept in an inside

혹시 주머니 안에 넣어 두었던 여러 훈장이 그대로

pocket had disappeared, perhaps as souvenirs by this risqué

있는지 꼼꼼히 챙겨보는 것이었다. 그를 산으로

foreigner, that was dragging him around the mountains.

데리고 나온 음담패설 좋아하는 이 외국인이 혹시 기념품으로 슬쩍하지 않았는지 미심쩍었나 보다.


June 1st, 2017: Seongjae-san 1102m, Beopdong-gun, Kangwon-do.

2017년 6월 1일: 성재산(강원도 법동군)

It was mid-afternoon, under a dark rumbling sky, when we found

천둥소리가 우르릉거리고 하늘이 시커멓게 어두워진 오후

a suitable campsite at the top of the village, next to a stream in a

서너 시쯤, 마을 위쪽 개울가에 좋은 캠프사이트 하나를

valley. It had become surprisingly cold as a thick mist seeped down

발견했다. 갑자기 추워졌다. 능선에서 스며 내려온 짙은

from the ridge, casting a ghostly shroud around us. We set up the

안개가 주위를 유령처럼 둘러싸고 있었다. 텐트를 치고

tents and got a fire going to keep warm.

불을 피웠다.

Sitting on rocks, huddled around the fire, we cracked open the 5litre

바위를 의자 삼아 모닥불 주위에 둘러앉아 5리터짜리

flagon of acorn soju and snacked on peanuts, bread, and rice which

도토리 소주병을 따고, 땅콩, 빵, 밥을 마을에서 담근

we rolled up in leaves of locally fermented Gom-chwi, a kind of

곰취 장아찌에 싸서 안주 삼아 마셨다. 이야기가 호랑이로

ragwort plant. The conversation moved to tigers. A common topic

옮겨갔다. 여기서는 흔한 이야기인데 호랑이가 아직

in a land where people still claim they exist, but most have never

있다고 말들은 하지만 정작 본 사람은 거의 없기도 하다.

seen one. 박 씨가 내게 조선범이 어떻게 사람을 죽이는지 아느냐고

Mr Pak asked me if I knew how a Korean tiger would kill a human?

물었다. 나는 어깨를 추스르며 필경 이건 나를 곤경에

Shrugging my shoulders, I suspected this was a trick question.

빠뜨리려는 속임수 질문이 아닐까 생각했다.

A Korean tiger won’t kill a human on the spot it finds you. Instead,

조선범이 사람을 사냥할 때는 그 자리에서 바로 죽이지

with its burning eyes, it will hypnotise you, and lure you deep into

않아요. 불이 철철 흐르는 눈으로 사람에게 최면을 걸어

the forest. You will follow the tiger, and when it is satisfied with a

숲속 깊은 곳으로 유인해요. 여기 걸린 사람은 호랑이를

location, it will kill you and eat you there, he said.

따라가게 되고, 호랑이가 원하는 장소에 도착하면 거기서 사람을 죽이고 먹어치우지요. 그가 말했다.

It had a Rudyard Kipling ring to it, I thought. Really? So what do you do if you met a ‘Korean’ tiger? I asked.

러드야드 키플링 냄새가 났다. 정말요? 그럼 조선범을 만났을 땐 어떻게 해야 하지요? 내가 물었다. 122


"Ah!" Mr Pak took another sip, straightened his back, and raised his finger. The best way to stop a tiger is spin around from its stare, drop your pants, bend over, and show him your butthole. No one was expecting that for an answer. The campfire burst into hoarse laughter and knee-slapping. Shut up, shut up, let me finish, he insisted. Then you run bent over away from the tiger, so the tiger becomes confused. Catching his breath, one of the men asked how that was confusing? Well, it can no longer see your arms or head, just a butthole, so it now doesn't know what you have suddenly become! Or driver Mr Han fell sideways off his rock with laughter. The rest of us curled over with hysteria, almost tipping into the fire. I wiped the tears from my eyes. If I see a tiger tomorrow, I'll be sure to do that then, I said.

“아!” 박 씨는 소주를 한 모금 마시더니 허리를 꼿꼿이 펴고 손가락을 위로 들어 올렸다. 호랑이를 물리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호랑이의 노려보는 눈길을 피해 빙글빙글 몸을 돌리며 팬티를 내리고, 허리를 구부려 똥구멍을 호랑이한테 보여주는 겁니다. 모닥불 주위에 주체할 수 없는 폭소가 터지고 무릎을 치면서 웃느라 난리가 났다. 입 다물어요, 입 다물어, 내 얘기 아직 안 끝났어요. 그가 계속했다. 그런 다음, 구부린 채로 호랑이로부터 도망치면 호랑이가 헷갈리게 돼 있어요. 일행 한 사람이 겨우 숨을 돌려 그게 어떻게 호랑이를 헷갈리게 하느냐고 되물었다. 그게요, 호랑이 눈에는 사람의 팔과 머리는 안 보이고 똥구멍만 보이게 되니까, 이 사람이 갑자기 뭐로 둔갑했는지 모르잖겠어요! 한 씨는 웃다가 앉아 있던 바위에서 굴러떨어졌다. 우리도 배꼽을 잡고 미친 듯 웃다가 모닥불로 굴러 들어갈 뻔했다. 손으로 눈물을 훔쳐냈다. 내일 호랑이를 만나게 되면 꼭 그렇게 해볼게요. 내가 말했다.

123


124


June 2nd, 2017

We walked down to the village of Ryongjo-ri. Everything A final steep burst took us to an opening on the summit. There around us was in dew and glistened magically in the new light.

we made a remarkable discovery. Strewn on its northern

Small puffs of purple cloud floated over the ridge against an

side were hundreds of rectangularly shaped rocks. Mr Choi

infinity of blue sky. It was a tranquil scene. And there calmly

informed us that a very large Bongsu-dae had once stood here.

on a rock above us, sat an old man. His grey hair was cut short

It had been from the Koryo period, over a thousand years ago.

and spiky like a marine's. He smiled confidently down at us. A

On the eastern side, a large five-meter high section of the stone

coil of blue smoke toiled from his rollie. He was Choi Su-nam.

fire tower (Bongsu-dae) remained intact. These towers were

Our guide to climb Seongjae-san.

used all over Korea to generate smoke or fire signals that would warn people of foreign invading forces.


2017년 6월 2일 령저리 마을로 걸어 내려갔다. 주위는 모두 이슬에 덮인 채 아침 빛에 매혹적으로 반짝였다. 자주색 구름 몇 조각이 능선 위의 끝없이 푸르른 하늘로 떠올랐다. 고요한 광경이었다. 우리 위로 솟은 바위에 노인 한 사람이 앉아 있었다. 흰머리를 짧게 깎아 해병대 밤송이 머리를 하고 있었다. 그는 당당하게 미소지으며 우리를 내려다보았다. 그가 피우는 마라초에서 나는 푸른 연기가 둥글게 피어올랐다. 최수남이었다. 우리를 성재산으로 안내해 줄 사람이었다.

마지막 가파른 사면을 올라가자 조망이 터진 정상이었다. 여기서 아주 신기한 발견을 했다. 북쪽 사면에 직사각형 모양의 바위가 수백 개나 흩어져 있었다. 최 씨는 옛날 거대한 봉수대가 여기에 서 있었다고 알려줬다. 고려 시대에 세운 것으로 1000 년 이상 됐다. 동쪽에는 5m나 되는 봉수대 일부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이들 탑은 한반도 전역에 퍼져 있어서 연기나 불을 피워 외국군의 침략을 백성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했었다.

126


모두 앉아서 경치를 즐기며 호랑이

We sat down and enjoyed the views, and

이야기를 계속했다. 최 씨가 놀라운

the tiger tales continued. Mr Choi then told

이야기를 들려줬다. 1960년대 말 어느

us this remarkable story. Sometime in the

날, 한 남자가 평양과 원산을 잇는

late 1960s, a man was driving his car on the

도로에서 차를 몰고 있었다(그때는

barely used road that connects Pyongyang

지금보다도 차가 훨씬 적게 다녔을

to Wonsan when he saw something he'll

것이다). 이때 그는 평생 잊지 못할 것을

never forget. A lone woman was in the

목격하게 됐다. 한 여인이 길 한복판에

middle of the road, dancing frantically, a bit

서서 미친 듯이 춤을 추고 있었는데,

like a shaman. The man stopped and got out

언뜻 보기에 무당처럼 보였다. 그는 차를 to check on her. She was unresponsive to 세우고 나가서 그 여인을 살폈다. 여자는 his presence as if he didn't exist. The man 그가 다가가도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

followed her gaze, and to his astonishment,

않았다. 마치 그가 그 자리에 없는 듯

saw a giant tiger crouched on a boulder above

여겼다. 남자는 그 여인이 응시하는 곳을 the road. The tiger's big round eyes glared 봤다. 놀랍게도 도로 위쪽 커다란 바위

directly back at the woman. It was like a

위에 거대한 호랑이 한 마리가 웅크리고

trance. Concerned, he grabbed the woman

있는 게 보였다. 호랑이의 커다란 둥근

and tussled her into the car.

두 눈이 여인을 똑바로 노려보고 있었다. 여인은 실성한 듯 보였다. 여인이 염려된 The tiger moved with speed down from 남자는 그녀를 꽉 붙잡아 차 안으로

the rock, onto the road, and just as he was

거칠게 밀어 넣었다.

making his getaway, attacked the car. The terrified man, drove his car as fast as he

그가 막 출발하려는데 호랑이가

could, losing the tiger, and went for safety

바위에서 맹렬한 속도로 뛰어 내려와

in Ryongjo village. As a young boy, Mr

차로 달려들었다. 공포에 질린 그는

Choi says he remembered how the car, the

전속력으로 차를 몰아 호랑이를

trembling man, and the betwixt woman

따돌리고, 안전한 령저리 마을로 향했다. arrived, causing an alarming scene amongst 최 씨는 자기가 소년일 때 그 자동차와

the gathering villagers.

사시나무 같이 떨던 그 남자와 신들린 여자가 도착했던 일, 그리고 모여들던

What happened to the woman, I asked?

마을 사람들이 놀라서 웅성거렸던 일을 기억한다고 했다.

She hadn’t been from our village, and no one knew of her, he replied. The driver

여인은 그 후 어떻게 됐는지 물었다.

said he wanted nothing more of it, so some authorities turned up and took her away.

그 여자는 우리 마을 사람이 아니었기 때문에 아무도 그녀를 아는 사람이 없던

Mr Choi took a tug on his cigarette and after

거로 기억해요. 그가 대답했다. 여자를

exhaling the smoke, added I heard later that

데려온 운전사가 더는 관여하고 싶지

she never recovered her sanity.

않다고 했기 때문에 관청에서 누가 와서 그녀를 데려갔다고 했다. 최 씨는 마라초를 한 모금 빨고 연기를 내뿜더니 한 마디 덧붙였다. 그 여인은 끝내 제정신을 되찾지 못했다는 말을 나중에 들었지요. 127


128


June 3rd, 2017: Bongsu-ryong, Kosan-gun, Kangwon-do

129


2017년 6월 3일: 봉수령(강원도 고산군)

130


같은 캠프사이트를 이용해 저두봉과 백암산을 올랐다. 고미탄천의 지류다.

2017년 6월 4일.

June 4th, 2017.

근처의 대화봉(1370m)이라는 봉우리에 가 볼

There was still time in the day to visit another peak nearby called

해가 아직 남아 있었다. 북한의 국제급 스키장

Daehwa-bong 1370m. It is the mountain that provides the slopes

마식령의

마식령은

for North Korea’s world class ski facility, Masik-ryong, which is

스키장이 자리한 백두대간의 고개 이름이기도

also the name of the pass on the Baekdu Daegan that the resort is

하다.

아니라,

located at. Daehwa-bong is not quite on the Baekdu Daegan and

마식령에서 남서로 뻗어 나와 한반도 큰 강의

instead sits on a ridge that breaks southwest from Masik-ryong

하나인 임진강 동쪽 분수령을 형성하는 능선에

forming the eastern watershed of one of Korea’s longest rivers

자리 잡고 있다. 임진강은 두류산(1322m)에서

the Imjin-gang, which joins the Han river near Seoul. Its source

발원하여 서울 북쪽에서 한강에 합류한다.

is Turyu-san 1323m.

대화봉에서는 360°의 웅대한 장관을 볼 수 있다.

Daehwa-bong offered grand 360° views. I could see peaks I

전에 올랐던 봉우리뿐만 아니라 지도에서 봤던

knew not only from climbing them, but also from a map. A vast

산들도 보였다. 백두대간의 장대한 경관이 동쪽을

view of the Baekdu Daegan as it flanked us to the east, running in

둘러싸고

끝에서

a north-south direction before veering west in front of us in the

서쪽으로 휘어지고 있었다. 동해와 원산만에 떠

north. The East Sea of Korea and the islands in the bay of the city

있는 섬들이 백두대간 능선 너머로 보였다.

of Wonsan could be seen over the Baekdu Daegan ridge.

131

슬로프가

대화봉은

있는

정확히

남북으로

산이다. 백두대간이

뻗어가다가

북쪽


132


Looking west from Daehwa-bong

다음 페이지: 대화봉에서 북쪽으로 본 풍경. 사진의 가운데 오른쪽으로 검게 불쑥 솟아 있는 산이 두류산이다.


대화봉에서 서쪽으로 본 풍경

Next Page: Looking north from Daehwa-bong with Turyu-san 1323m a black hump at center right of photo.


135


136


June 08, 2017: We left the sooty streets of Bukchang and

2017년 6월 8일: 북창의 탄가루 덮인 거리를

drove east to the mountains in Maengsan, Phyongannam-

떠나 평안남도 맹산으로 차를 몰아 그날

do. We arrived there early morning. Maengsan is located

아침 일찍 도착했다. 맹산은 해발 600m의

at 600m above sea level, surrounded by mountains, with

고지에 산으로 둘러싸여 공기 좋고 쾌적한

clean air, and a good atmosphere about it. It looked

기분이 드는 곳이다. 주흘산이 뒤로 솟아 있는

similar to Mungyeong-eup in the South Korean province

경북 문경읍과 비슷한 모습이었다. 양산리에

of Gyeongsangbuk-do, with the feature peak of that area,

도착하여 지역 산림청 직원들을 만나 그들을

Juheul-san, looming behind it. We arrived at Yangsan-ri

따라 남쪽 동면강 발원지 근처의 창풍동이라는

and met the local forestry workers who we follow south

곳으로 갔다. 얕은 동면강을 여러 번 건넜다.

to an area called Changpung-dong near the source of the

가파르고 험준한 산과 버드나무와 쓸어내리듯

Dongmyeon river. We cross the shallow Dongmyeon river

흐르는 개울이 마치 충북 월악산을 연상케

many times. With its steep craggy mountains, willow

했다.

trees, and sweeping streams, the area somehow reminds me of the Worak-san mountains in the southern province of Chungcheongbuk-do.

137


138


There is still time for us to climb Minbong-san 1135m. We hike up a steep valley and get to the ridge by midday. As we step out of the forest, the area suddenly opens up to a highland grass plateau. It’s stunning! 민봉산(1135m)에 오를 시간이 아직 충분했다. 가파른 계곡을 올라 정오에 능선에 도착했다. 숲을 빠져나오자 갑자기 앞이 트이며 고원 목초지가 눈앞에 펼쳐졌다. 놀라운 풍경이었다!

139


140


Minbong-san was still off in the distance, so we head south

A local family gives us two cooked chickens and a duck to

on the grassy ridge for it. The area has been cleared for

eat. It is amazing generosity. The family raise ducks, chickens,

grazing stock, and reminded me a lot of my home country

pigs, harvest honey, and collect mountain herbs for a living.

New Zealand, that had been cleared by early settlers for

They seem quite content with their life. After dinner another

farming highland sheep. And then we suddenly see sheep

local brings us some small river fish that we roast on the fire.

and cattle, free grazing on the slopes of Minbong-san. In the

I’m sure this kind act is because of my presence, but I can’t see

far distance I can see shepherds with their stock, some of

or hear of any exchange of money. It may just be a willingness

them are girls.. I ask our local guide some questions about

of the Korean people to treat their guests well. The night is

the area. He tells me that this had a lot of open grassland

whiled away with bear stories. A full moon rises behind the

before the rest of it was cleared about thirty years ago.

dancing willows. Only the brightest stars twinkle through its

The grazing area covers about 30 hectares and can usually

beams.

support about 800 head of cattle and some sheep. The stock is brought down from the slopes in winter. We set up our campsite and wash naked in the cold streams of the Baekdu Daegan. Then we drink some acorn soju and snack on wild walnuts and wild peanuts.

141


민봉산은 아직 멀리 떨어져 있어 풀로 뒤덮인

마을 한 집에서 삶은 닭 두 마리와 오리 한 마리를

능선을 따라 남쪽으로 향했다. 이곳은 가축을

주고 갔다. 놀라운 인심이었다. 오리, 닭, 돼지를

방목하기 위해 개간하여 초지로 만든 곳이다. 초기

키우고, 꿀과 약초를 채취하며 사는 가족이었다.

개척자들이 양을 키우기 위해 개간했던 내 고향

삶에 아주 만족하는 모습이었다.

뉴질랜드의 여러 산이 떠올랐다. 갑자기 민봉산에서

다른 마을 사람이 작은 민물 고기를 몇 마리 갖다

방목되고 있는 양과 소가 보이기 시작했다. 멀리서

줘서 불에 구워 먹었다. 나 때문에 마을 사람들이

양치기가 가축과 함께 있는 것이 보인다. 그중

베푼 친절로 생각하나, 돈이 오갔다는 것은 보지도

몇은 소녀다. 안내원에게 이 지역에 관해 몇 가지

듣지도 못했다. 그저 찾아온 손님 대접을 잘하려는

물어본다. 이곳에는 그전부터 개활 초지가 많았으며

한반도 사람들의 마음일 터였다. 곰 이야기를 하며

30년 전에 나머지 땅을 개간했다고 한다. 방목장의

밤은 깊어갔다. 보름달이 춤추는 버드나무 뒤로

면적은 약 30ha로 대략 소 800마리와 양도 여러

떠오르고 밝은 별들만 달빛 사이로 반짝였다.

저녁 식사 후,

마리 키울 수 있다고 한다. 겨울에는 가축을 산에서 몰고 내려온다. 텐트를 치고 백두대간의 차디찬 냇물에서 홀랑 벗고 목욕을 했다. 야생 호두와 땅콩을 안주 삼아 도토리 소주를 조금 마셨다.

142


143


June 11th, 2017: A view back to the farming hamlet of Geosangri in the county of Yangdeok-gun in Phyongannam-do province. The Baekdu Daegan is seen behind the hamlet as we climb towards the peak of Jogaedeok-san 1072m.

2017년 6월 11일: 뒤쪽으로 보이는 평안남도 양덕군 거상리 농촌 마을 풍경. 조개덕산(1072m)을 오르다 보면 마을 뒤로 백두대간이 보인다.

144


The August and September 2017 expeditions in the provinces of Hamkyongnam-do and Ryanggang-do. August 22nd, 2017: I returned to North Korea in mid-August for the second part of my expedition on the Baekdu Daegan for 2017. North Korea had experienced a late deluge of monsoon rain during the early part of August that had caused some flooding in the outer regions. We aren’t sure if we'll have unobstructed access to the mountains of the Baekdu Daegan in the northern provinces of Hamkyongnam-do and Ryanggang-do, where I will be spending the next six weeks.

August 23rd, 2017: Views east from the valley beneath Ganggae-san 1236m in Sudong-gu, Hamkyongnam-do. 145


2017년 8~9월: 함경남도와 량강도 원정 2017년 8월 22일: 2017년 8월 중순, 백두대간 2 차 원정을 위해 다시 북한으로 갔다. 8월 초, 북한에 늦장마가 들어 일부 외곽 지방에 홍수가 났었다. 이 때문에 북쪽 함경남도와 량강도 지방의 백두대간으로 별 탈 없이 입산할 수 있을지 확실히 알 수 없다. 나는 여기서 앞으로 6주간을 보낼 계획이다.

2017년 8월 23일: 강개산(1236m, 함경남도 수동구) 아래 계곡에서 동쪽으로 바라본 조망 146


147


148


August 25th, 2017: Our first real crack

2017년 8월 25일: 우리의 본격적인 첫 도전은 함경남도 함주의 서쪽에 있는

at anything is two peaks located west of

두 개의 봉우리다. 풍송리라는 작은 마을로 차를 몰아 김철 씨를 만난다. 작은

Hamju in Hamkyongnam-do. We drive to

체구에 안경을 쓰고 야심 차 보이는 그는 이 지역의 안내를 맡아줄 사람이다.

the small village of Pungsong-ri and meet

자동차는 불어난 금천강을 따라 난 울퉁불퉁한 도로 위를 기어가듯 서행한다.

Mr Kim, a small bespectacled man with

고요한 풍경이다. 차가 막다른 길에 이르자 우리는 여정을 멈추고 텐트 칠 장소를

an ambitious drive about him. He will be

물색한다. 오후 중반이라 딱히 할 일도 없어 사수산(1,746m)과 백산(1,835m)

our guide for this area. The vehicle crawls

에 오르는 방법을 논의한다.

slowly on a rocky track that runs alongside the swollen Geumcheon-gang (river). The scenery is tranquil. When the vehicle can go no further we stop and find a place to set up camp. It’s mid-afternoon and we aren’t going anywhere, so in the evening around the campfire, we discuss how to climb our target peaks of Sasu-san 1746m, and Baeksan 1835m.

149


August 26th, 0500hr: Good weather. We decide

8월 26일 오전 5시: 날씨가 좋다. 사수산

to climb Sasu-san first. We can hear the ‘chuff

(1,746m)에

chuff’ of an oncoming logging truck as it grinds

트럭이 울퉁불퉁한 길을 따라 힘들게 올라오며

its way up the rocky tracks. As it passes us, we

식식대는 소리가 들린다. 트럭이 우리를

jump on the back. It crosses the Geumcheon-gang

지나가려는데 모두 트럭 뒤로 뛰어 올라탄다.

before stopping at its logging camp. From here we

트럭은 금천강을 건너 벌목장에서 멈춘다.

start our slog to Sasu-san. The forest is green and

여기서 사수산으로 힘든 산행을 시작한다.

sparkles in the fresh air. These remote parts of

숲은 푸르르고 맑은 공기에 싸여 반짝인다.

North Korea are very pure. What few people live

이곳 북한의 오지는 매우 청정하다. 몇 안

out here, live in clay-walled and timber-framed

되는 이곳 주민들은 흙과 나무로 지은 집에서

homes, with veggie patches and beehives.

텃밭에 채소를 키우고 벌을 치며 산다.

먼저

오르기로

한다.

벌목

150


151


152


Preceding pages: Top image is a view north to the

앞면: 맨 위 사진은 함경남도

far distant peak of Baek-san 1835m from a high

함주군 사수산(1746m)과 향로봉

saddle on the Baekdu Daegan between the peaks

(1598m)을 잇는 백두대간

of Sasu-san 1746m and Hyangno-bong 1598m in

안부에서 북쪽으로 멀리 백산

Hamju county, Hamkyongnam-do. Although we

(1835m)을 바라본 경관.

are a good fifty kilometres from the coast, we can

해안선에서 50km 이상 떨어진

see the East Sea of Korea from up here. Image

곳이지만 동해가 보인다. 2017

taken August 26th, 2017. Bottom image is a view

년 8월 26일 촬영. 아래 사진은

south from Baek-san of the peaks of Hyangno-

백산에서 남쪽으로 본 조망으로

bong and Sasu-san sitting in the center of the

향로봉과 사수산이 가운데 보인다.

photo. Image taken August 28th, 2017.

2017년 8월 28일 촬영.

August 29th, 2017: The night before we camped

2017년 8월 29일: 전날 밤에는

out on the side of a twisting road that traverses

동쪽 영광군에서 서쪽 대흥군으로

over the Baekdu Daegan from the county of

백두대간을 넘어가는 꼬불꼬불한

Yeonggwang-gun in the east to Daeheung-gun

도로변에서 야영했다. 일찍 일어나

in the west. We’re up early for a sunrise shot

소다대령으로 일출 사진을 찍으러

from the pass at Sodadae-ryong. There’s a feel

올라간다. 한반도 북쪽에는 벌써

of autumn in the air as our work progresses us

가을이 온 느낌이다.

north up the peninsula. 소다대령 (함경남도 영광군) 153


154


August 30th, 2017: We’re driving over the Baekdu Daegan at Pujon-ryong on our way to a big peak called Chailbong at 2505m. One of the biggest in Korea. It’s not on the Baekdu Deagan, and it is by accident that we are going there. It has been confused with another Chail-bong near Sasu-san. Nonetheless, we have permission for this much bigger one and are excited about that. 2017년 8월 30일: 차를 몰아 부전령에서 백두대간을 넘어 차일봉(2,505m)이라고 불리는 커다란 봉우리를 향한다. 한반도에서 제일 높은 산 중 하나다. 차일봉은 백두대간에 있는 봉우리는 아니지만, 우연히 가게 된 산이다. 사수산 근처에 있는 차일봉과 착오가 있었다. 우여곡절 끝에 훨씬 큰 차일봉 입산 허가를 받아냈고 그래서 더 신이 났다.

155


We’re on what is known as the Kaema plateau, the rooftop of Korea. At the Pujon dam we make a northeast turn up a valley to the small gold mining village of Chail-ri. Passing through the village we continue up the valley on the rough track and on a flat grassy patch pull up and set up camp. In front of us is Chail-bong. We’re already at 1500m altitude here. As the sun dips over the mountain tops, a chill enters the air. We start a fire. It is beautiful here. 우리는 지금 한반도의 지붕 개마고원에 와 있다. 부전댐에서 북동쪽 계곡으로 방향을 틀어, 작은 금광촌 차일리 마을로 향한다. 마을을 지나 험한 길을 계속 따라가다가 평평한 풀밭에 차를 세우고 캠프를 설치한다. 차일봉이 앞에 보인다. 이미 해발 1,500m의 고지에 와 있다. 해가 능선 뒤로 떨어지자 냉기가 공기를 채운다. 불을 피운다. 아름다운 곳이다.


August 31st, 2017: It’s early when I open my eyes and the first thing I see is small icicles hanging from the bottom inner seam of the tent where it joins the floor. I touch them to check that it’s not a dream. I step outside and admire a chilling frost under a blue sky. Mr Han, our driver, is up and has started the fire. The nearby stockman is up and releases his cows from the pen. His wee daughter, half the size of the cows, jibes them, “yom yom,“ she shouts. Whipping the dull ones with a thin stick, she rounds them up into a bunch and then throws down salt licks. The valley to Chail-bong is flat most of the way. We pass by a few friendly woodsmen and their small family huts. I also get to see the marker for what was once a slogan tree. They are sacred relics of the height of the anti-Japanese period in the 1930s. Back then, a section of bark from these trees was removed and a patriotic slogan inscribed on its exposed trunk, generally by a partisan fighter. On discovery, they get transplanted and preserved in an arboretum. They are found sporadically in the northern reaches

of

the

Korean

peninsula,

particularly in the higher regions of the Baekdu Daegan and the plateau forests beneath Paektu-san. I wander around and explore the vast horizons. Chailbong is on the border of Hamkyongnamdo and Ryanggang-do. To the south I can easily see forty kilometres all the way to the town of Pujon and beyond that the Baekdu Daegan as it crosses Pujonryong. I follow the Baekdu Daegan southwest and can even see some eighty kilometres from here the peaks of Baeksan and Sasu-san, where I was three days ago. I am standing on one of the highest mountains in all of Korea. The views are expansive. 157

2017년 8월 31일: 아침 일찍 눈을 뜬다.

성스러운 유물이다. 당시의 혁명 전사가

가장 먼저 텐트 바닥 안쪽 재봉선에 작은

나무껍질을 벗겨내고 그 자리에 애국적

고드름이 달린 것이 보인다. 꿈이 아닌가

구호를 새겨놓았다. 이런 나무가 발견되면

싶어

푸른

수목원으로 옮겨 보호한다. 구호 나무는

하늘 아래로 뒤덮인 차디찬 서리를 보고

한반도 북부 지역, 특히 백두대간 고지대와

감탄한다. 운전사 한 씨도 이미 일어나

백두산 고원 삼림에서 이따금 발견된다.

불을 피우고 있다. 우리는 같이 커피를

여기저기로 돌며 광활한 지평선을 찬찬히

마시고 담배를 피우며 몸을 녹인다. 소

살핀다. 차일봉은 함경남도와 량강도의

주인도 일어나 가축을 우리에서 내보낸다.

경계에 있다. 남쪽으로 40km 떨어진

소 키의 절반이 될까 말까 한 그의 자그마한

부전읍과 백두대간의 부전령까지 어렵지

딸이 소한테 “염.염”하고 소리친다.

않게

굼뜬 소를 회초리로 치며 소를 한데 모아

따라가 보면 사흘 전에 올라갔던 80km

소금 덩이를 던져준다. 차일봉에 이르는

바깥의 백산과 사수산까지도 보인다. 나는

계곡은 막바지까지 대부분 평지길이다.

지금 남북한 통틀어 가장 높은 봉우리 중

친절한 나무꾼 몇과 그들의 가족이 사는

한 곳에 서 있는 것이다. 광활한 풍경이

작은

끝없이 펼쳐져 있다.

만져본다.

오두막을

바깥으로

지나친다.

나와

한때

구호

나무를 가리켰던 표지도 보게 된다. 항일 투쟁이

절정이었던

1930년대가

남긴

보인다.

남서쪽으로

백두대간을


158




161


162


We arrive back at camp by 5.30pm and settle into a meal of rice, ramen, and canned pork. Later as it gets dark, cold steam starts to roll from our mouths, and the frost catches on. We stoke up the fire some more, its sparks spitting into the inky air. Above us a bold half-moon appears in the brilliant night sky. Across the stream, an owl hoots from a hidden tree. Nearby, from inside their hut, I can hear a glowing banter from the stockman’s family. It’s not even a house, no TV, no radio, nothing, and although poor, they sound very happy and close together. 5시 30분경에 캠프로 돌아와 텐트 안에서 밥과 라면을 돼지고기 통조림과 함께 먹는다. 곧이어 어두워지기 시작하자 우리 입에서 김이 뿜어나오기 시작하고 서리가 내린다. 모닥불에 나무를 얹어 불을 돋운다. 불꽃이 어두운 하늘로 튀어 오른다. 우리 위로 선명한 반달이 밝은 밤하늘에 나타난다. 개울 건너 숨은 나무에서 올빼미가 운다. 우리 캠프 옆에서 나무꾼의 가족이 움막 안에서 즐겁게 왁자지껄하는 소리가 들린다. 그들이 사는 곳은 제대로 지은 집도 아니고, 라디오나 텔레비전은 물론 아무것도 갖춰놓은 게 없다. 가난한 사람들이지만 아주 행복하고 서로 화목하게 사는 소리가 들린다.

163


September 3rd, 2017: We’re on the road again. Our target mountain is Sam-bong 1985m, north of Deokseong in the province of Hamkyongnam-do. We pitch up our tents on short green grass, next to a pristine Baekdu Daegan stream. We’re at 596m. Our local guides, tell us it’s about a 3-hour hike to Sam-bong. Ahead the mountains look ominous and deep. We’ve done this enough times to know that this timing is unlikely. “Let’s just call it a full day’s hiking,” I say. It’s now late in the day, and as usual, the villagers are starting to bring their cows and goats back down from the mountains. It’s another beautiful place. We will do the hike tomorrow.

2017년 9월 3일: 여정을 계속한다. 오늘의 목표는 함경남도 덕성 북쪽의 삼봉(1,985m)이다. 백두대간의 청정한 개울가 잔디밭에 텐트를 세운다. 해발 596m다. 안내원들이 삼봉까지 오르는데 3시간 정도 걸릴 거라고 한다. 앞에 보이는 산들이 깊고 험해 보인다. 이런 산을 여러 번 올라본 우리인지라 그 정도로는 어림도 없겠다는 직감이 든다. “그냥 온종일 걸리는 산행이라고 해둡시다.” 내가 말한다. 늦은 오후가 되어 마을 사람들이 여느 때처럼 소와 염소를 산에서 몰고 내려오기 시작한다. 여기도 참으로 아름다운 곳이다. 산은 내일 오르기로 한다.

164


September 4th, 0515hr: Looks like it’s going to be another stunning day, the village below peaceful in the early light. We eat a breakfast of denjang soup and rice, followed with a cup of soju. We drink a cup of soju every morning 9월 4일 아침 5시 15분: 오늘도 날씨가 쾌청할 것으로 보인다. 아랫마을이 이른 빛에 평화로와 보인다. 밥과 된장국으로 아침을 먹고 반주로 소주도 한 잔 마신다. 우리는 매일 아침 소주를 한 잔씩 한다.

165


166


The stream valley we are tracing is tantalisingly long. We pass numerous waterfalls, and there are trees everywhere. Slowly we gain some altitude. The forest is thick with fir, larch and maple. Some two hours later we get to a big scree of angular boulders. We look diminutive as we slowly clamber up and over the giant rocks. We’re at 1750m. I look out over the scenery. It is quite fantastic! Big wild land. 우리가 오르고 있는 계곡은 정말이지 길다. 수많은 폭포를 지나고 어디에나 나무가 우거져 있다. 조금씩 고도를 높여간다. 숲은 전나무, 낙엽송, 단풍나무로 꽉 차 있다. 두 시간 뒤에는 각진 바위가 널려있는 너덜지대에 도착한다. 거대한 바위를 천천히 올라 넘어가는 우리 모습이 왜소해 보인다. 해발 1,750m에 와 있다. 눈을 돌려 경치를 둘러본다. 참으로 멋지다! 아무도 살지 않는 광활한 대지다. 167


168


We arrive back at camp. Only an eleven-hour walk

Oh more trickery, I thought. “I don’t honestly know.

today we joke. After dinner, a full moon is rising,

I would have thought the full moon, too, Mr Han,” I

flickering through the clouds that rumble thunder

cautiously reply.

in the far distance. Noticing my gaze on the moon, Mr Han asks me, “Mr Roger, what kind of moon is

The other men around the fire are silent. Only the

your favourite?”

wood crackles. Mr Han takes a drag of his cigarette, and a smile forms on his face. “It’s the crescent

This has to be a trick question, I think. Why?

moon!” he says in a matter of fact way.

Because some nights before when we were seated around the campfire under a half moon (ban-dal),

Looking at each other for a response, no one says

I had mentioned how incredible it looked. Mr Han,

anything. Mr Han continues, “Because on a crescent

perked up, put his finger on his lip, and with a playful

moon, a woman can sneak out of her home at night

grin on his face, whispered to me, “Be careful how

with just enough moonlight to see where she’s going

you say ‘ban-dal’ around here.”

and meet her lover without anyone seeing who she is.”

“Why’s that?” I had whispered back. The men crack up around the campfire, their Mr Han whispered, “Because that was the code

faces glowing in the light. I join in the laughter. I

word for a bunch of South Korean commandos in a

can picture it. Under a crescent moon, a young

famous North Korean movie.”

Yi dynasty maiden, with a shawl clutched over her lowered head, scurries through the faintly lit

“Ohhhh!” I said quietly. “I get it.” The group around

alleyways of her stone-walled village, meeting her

the campfire snickered.

lover on the outside, under the big willow next to the stream.

“Yeah, someone in the bushes might be listening,” Mr Han had said. “They might think you’re a spy.”

I think, I’ll never look at a crescent moon the same

And he started making crackling radio noises from

again.

behind his cupped hand, “ban-dal, ban-da, crrrkkk, crrrkk, come in, over.” Everyone had laughed loudly.

We finish up, and our two local guides excuse themselves. I watch them start their walk back to

So this time, I thought a bit more about his new

their village. It will be a good hour before they get

question. “Hmmm, it’d have to be the full moon, I

there. But it’s a beautiful night for a stroll home.

think, Mr Han.”

With the bright full moon, there will be no secret maidens for them tonight, I guess.

Mr Han shuffles on his haunches, as if my answer was unsatisfactory, then looks me in the eye, and

I stand up, cup both hands around my mouth, and

wagging his finger at me (he always wags his finger

in a big voice shout out, “BAN-DAL, BAN-DAL!”

at people), says, “Roger-ssi, what moon do you

It booms down the valley, probably as far as the

think women prefer then?”

village. They both freeze, and look back, a little startled. From his haunches, a surprised Mr Han looks up at me laughing, his gold fillings flashing in the moonlight. “Good one, Roger-ssi. Good one. You got 'em good!”

169


캠프에 도착한다. ‘오늘은 11시간밖에 안 걸었구먼’

모닥불 주위의 다른 대원들은 모두 조용히 앉아있다.

하며 너스레를 떤다. 저녁을 먹고 나니 보름달이 뜬다.

나무만 탁탁 타는 소리를 낸다. 한 씨는 담배를 한 모금

멀리서 우르릉 천둥을 일으키는 구름 사이로 달빛이

빨더니 얼굴에 웃음을 짓는다. “초승달이디요!” 그가

깜박인다. 내가 달을 쳐다보는데 한 씨가 묻는다. “로저

태연하게 말한다.

씨는 무슨 달을 제일 좋아합네까?” 다들 무슨 소린가 싶어 서로 얼굴을 쳐다보지만 말하는 나를 곤경에 빠뜨리려는 질문이 틀림없군. 왜냐고? 며칠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한 씨가 말을 이어간다. “왜냐하면,

전 우리가 모닥불 주위에 모여 앉아 있을 때 반달이 뜨자

초승달 때가 되면 여인네가 집에서 몰래 나와 앞만 겨우

내가 반달이 엄청나게 멋지다고 감탄한 적이 있었다. 한

보이는 달빛에 애인을 만나러 가도 아무도 누군지 모르게

씨가 시침을 뚝 떼고는 장난기 어린 표정으로 손가락을

되어 있거든.”

입술에 갖다 대며 내게 속삭였다. “이 근처에서 ‘ 반달’이라고 말할 때는 조심하시라요.”

대원들이 모닥불 가에서 웃음을 터뜨린다. 그들의 얼굴이 불빛에 달아오른다. 나도 같이 따라 웃는다.

“왜지요?” 나도 속삭이며 되물었다.

그림이 그려진다. 초승달 아래 이 씨 왕조 시대의 젊은 처녀가 깊게 숙인 머리에 장옷을 걸치고 어둑어둑한

한 씨가 속삭였다. “그 말은 바로 어떤 유명한 북조선

마을 돌담길을 종종걸음으로 내달아 마을 밖 시냇가의

영화에서

버드나무 아래에서 애인을 만난다.

남조선

특공대를

가리키는

암호문자였기

때문이라오.” 나는 이제부터는 초승달을 전혀 다르게 보게 될 것 같다. “오호라” 내가 조용히 말했다. “그렇군요.” 모닥불 주위의 다른 대원들이 킬킬댔다.

자리를 파한다. 안내원 둘도 떠난다고 한다. 나는 두 사람이 자기네 마을로 걸어 내려가는 것을 지켜본다. 한

“그럼요. 덤불 속에서 누군가 엿들을지 모른다니까요.”

시간은 족히 걸리겠지만 걷기에는 더없이 멋진 밤이다.

한 씨가 말했다. “그들이 당신을 간첩으로 생각할지도

보름달이 휘영청 떠 있으니, 오늘 밤 남몰래 처녀를

모르잖소.” 그러더니 한 씨는 손을 나팔처럼 입에 대고는

만나긴 틀렸겠는걸.

라디오에서 직직 나는 잡음을 흉내 내기 시작했다. “ 반달, 반달, 지직~, 지지직~, 나와라, 오버.” 모두

내가 일어나서 두 손을 입에 모으고 큰소리로 외친다.

배꼽을 잡고 크게 웃어댔다.

“반-달, 반-달!” 소리가 골짜기로 울려 내려간다. 마을까지도 들릴지 모르겠다. 둘이 갑자기 멈춘다. 약간

한 씨가 방금 한 질문에 대해 조금 더 생각해본다. “음,

놀란 듯 뒤를 돌아다본다. 놀란 한 씨가 쪼그리고 앉아

보름달이 제일 좋다고 해야 할 것 같긴 한데요, 한 씨.”

웃어대며 나를 쳐다보는데 그의 금니가 달빛에 번득인다. “좋수다래 로저 씨. 좋수다. 저 사람들을 놀라게 많이

내가 대답을 잘 못 했는지 한 씨가 쪼그려 앉은 자세를

했으니까니!”

바꾼다. 그리고는 내 눈을 똑바로 바라보더니 손가락을 좌우로 흔들며(한 씨는 언제나 사람들에게 손가락을 흔들어 댄다) 말한다. “로저 씨, 그럼 여자들은 무슨 달을 좋아한다고 생각하시오?” 아 또 헷갈리는 질문이군. 자 이건 다시 생각해 봐야겠네. 나는

잠시

멈춘다.

“정말이지

모르겠어요.

역시

보름달이지 않을까요, 한 씨.” 조심스럽게 대답한다.

170


Sep 7th, 2017: A sunny day again. We rise early and drive through the rolling hills of Kaema-gowon, heading north from Huchi-ryong in Pungsan-gun to the township of Kapsan. It’s a pleasant drive on a flat unsealed road that follows high, flowing streams lined with buttercup-filled grassy banks. Roped cows graze under hanging willows and white birches. Green paddocks surround picturesque hamlets that grow potatoes, maize, and sometimes rice. Autumn is on its way in these high northern regions, a coat of mustard spreading through the forests and rice fields.


2017년 9월 7일:오늘도 맑은 날이다. 일찍 일어나 차를 몰아 개마고원의 구릉 지대를 지나 풍산군 후치령에서 갑산읍을 향해 북쪽으로 방향을 잡는다. 풀밭 위로 노란 동의나물꽃이 잔뜩 핀 강둑에 싸여 풍성하게 흐르는 고원의 냇물을 따라 뻗은 평탄한 비포장도로를 달리는 기분 좋은 여정이다. 고삐를 맨 소가 늘어진 버드나무와

자작나무

아래에서

풀을

뜯는다. 푸른 풀밭이 외딴집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 그림 같다. 주로 감자, 옥수수를 키우고 간혹 벼를 재배하기도 하는

외딴

농가들이다.

이곳

북쪽의

고원에 가을이 오고 있다. 진황색의 겨자 빛 물감이 숲과 논으로 온통 퍼져나간다.


The Kaema plateau is a stunning area of rolling escarpment that disperses through the provinces of Ryanggang-do, Jagang-do, and Hamkyongnam-do covering some 14,300km². Its average altitude of 1340m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and is why the Korean people call it the roof of Korea.

Kaema-plateau, Kapsan-gun, Ryanggang-do.

173


개마고원은 구릉지의 경사면이 끝없이 펼쳐져 있는 놀라운 곳이다. 량강도, 장강도, 함경남도에 걸쳐 있으며 면적은 14,300km²이다. 개마고원의 평균 고도는 1,340m 로 한반도 평균 고도의 세 배가 넘는다. 바로 한반도의 지붕이라고 불리는 이유다.

174


175


Kaema-plateau, Pungseo-gun, Ryanggang-do

176


177


From the town of Kapsan, we turn right and head

갑산읍에서 우회전하여 진동천을 따라 동쪽으로 길을 잡아

east alongside the Jindong stream towards the Baekdu

백두대간으로 향한다. 꼬불꼬불한 길을 오르고 또 올라

Daegan. We take a coiling road that climbs and climbs

마침내 해발 1,800m의 백두대간 마루 동점령에 도착한다.

until we get to the pass known as Dongjeom-ryong,

여기서 멈춰 서서 잔디 위에 앉아 휴식을 취한다. 산책

located at about 1800m, on the Baekdu Daegan. We

삼아 여기저기 돌아본다. 이곳의 아름다움과 고지대가 주는

stop there and relax on some short grass. I go for a

고고함에 다시 한번 놀란다. 북쪽의 고원지대는 한반도를

stroll, and am taken again by the beauty and lofty

통틀어 아주 특이한 곳이다. 나는 지금 2,000m 가 넘는

sensation of this area. The northern plateau region is

산봉우리들과 눈높이를 같이하며 서 있는 것이다.

unlike any other part of Korea. I am standing eye level with 2000m plus peaks.

멀리 동쪽 지평선에 군주처럼 늠름하게 서 있는 봉우리가 보인다. 산세가 눈에 익어 보이는데, 왜일까? 머리를 짜낸다.

In the distance I can see a bullish peak, standing like a

맙소사, 두류산(2,309m)이다. 2012년에 올랐던 바로 그

Lord on the eastern horizon. It’s shape looks familiar

산이다. 수십 리의 침엽수림이 두류산을 둘러싸고 있다.

to me, but why? I rack my head. My God, it’s Duryusan 2309m, which I climbed in 2012. Surrounding it

소로로 길을 잡아 남쪽으로 백두대간을 따라가다가 캠프를

are miles and miles of spikey forests.

설치한다.

We take a small road south along the Baekdu Daegan and set up camp.

178


Views north from Dongjeomryong-san 2113m with the flat hump of Tongol-san 2101m in centre and Turyu-san 2309m on the right.

Sep 8th, 2017: I get up and see that the lilac hues are already

After our usual rice and ramen breakfast we head off on

composing on the eastern horizon. I walk about one hundred

what should be a short walk on easy ground to the summit

meters to a lip that overlooks the eastern plateau. I set up my

of Dongjeomryong-san. We shuffle through dew in knee

tripod and tune into nature. It’s that magic time of the day.

high grass and gently ascend into the mysterious jagged

Not a breath of wind and dead quiet. In the dim foreground

shadows of the sleepy forest. In places sunlight, streams

I can make out the bristled shapes of the treetops. Beyond

through the treetops lighting up the moss covered forest

that, I can see waves of purple ridges cascading across the

floor. About two hours later, we break out onto a stony peak

plateau that rise up to the shadowed hulk of Duryu-san.

with magnificent views to the north. We can see forever.

Iridescent ribbons of morning mist saunter in the valleys between the ridges. Like a python, a band of cloud is being

Amongst the maze of rock are some remnants of the Korean

sucked over the Baekdu Daegan just north of Duryu-san.

war. Semi-circle shaped walls of stone that once acted as

Behind the silhouetted edges of the Great Ridge, a soft

gun-posts for infantrymen form pockets around an old

orange washes the horizon and expands into a charming

underground stone bunker. They blend into the terrain

turquoise as it meets the upper eastern sky. Directly above

so well that they are hard to spot at first, and must be

me, some small stars still twinkle in the fading night blue.

impossible to detect from the road that stretches over the

The moon sits on the far west, glowing white.

pass, some ten kilometres north of us. We stay on the peak for a couple more hours. Just taking in the views, relaxing,

179

smoking and chatting. It’s so serene.


동점령산(2113m)에서 북쪽으로 본 조망. 가운데 평평하게 보이는 산은 통골산(2101m). 오른쪽은 두류산(2309m).

2017년 9월 8일: 자리에서 일어나 동쪽 지평선에 라일락빛 색조가 이미 생겨나고 있는 것을 본다. 100m 정도 걸어 동쪽 고원이 내려다보이는 언덕까지 간다. 삼각대를 세우고 자연 속으로 카메라를 맞춰놓는다. 바로 마법의 시간이다. 주위는 한 점의 바람도 없이 죽은 듯 고요하다. 어둑한 앞쪽으로 뾰족뾰족한 나무 꼭대기의 모습이 어슴푸레 보인다. 그 너머로 수많은 자줏빛 능선의 파도가 개마고원 위를 굽이쳐 거무스름한 두류산의 거대한 몸통까지 올라가는 것이 보인다. 새벽 안개에 피어난 무지개가 능선 사이의 골짜기를 어슬렁거린다. 한 무리의 구름이 두류산 바로 북쪽 백두대간 위로 비단구렁이에게 빨려 들어가듯 넘어간다. 대간 마루의 실루엣 뒤편으로는 연한 오렌지색이 지평선을 물들이고 멋진 청록의 옥색이 동쪽 하늘로 퍼져나간다. 머리 바로 위에는 사위어가는 청색 밤하늘에 작은 별들이 아직도 반짝인다. 달은 하얀 빛을 내며 멀리 서쪽에 주저앉아 있다. 매일 먹는 밥과 라면으로 아침을 때우고 동점령산까지 짧고 완만한 산행길에 나선다. 이슬이 잔뜩 내린 무릎까지 오는 풀숲을 헤쳐가며 신비롭게 들쭉날쭉한 잠든 숲의 어둠 속으로 천천히 오른다. 햇살이 나무 꼭대기로부터 흘러들어 이끼로 뒤덮인 숲의 바닥에 불을 밝히는 곳도 있다. 약 1시간 뒤, 북쪽으로 조망이 탁 트인 바위 봉우리로 올라선다. 경치가 끝없이 보인다. 미로처럼 뒤엉킨 바위 사이로 한국전쟁의 유물 같은 것이 보인다. 병사들이 거총대로 사용했던 반달 모양의 석벽이 옛 지하 벙커의 주위에 주머니처럼 둘러쳐져 있다. 주위 지형에 완벽하게 섞여 은폐되어있어 처음에는 찾아내기가 힘들다. 북쪽으로 10여km 떨어진 고개로 이어진 도로에서는 탐지할 수 없었을 것이다. 봉우리에서 두 시간 정도 머문다. 그냥 경치를 감상하고 쉬면서 담배를 피우며 이야기꽃을 피운다. 너무나 평온한 곳이다.

180


181


September 9th, 2017: Staying on the Kaema plateau we drove from Dongjeomryeong-san into the county of Unhunggun. We followed verbal directions provided to us by our local guide Mr Han. In a straight line, Tonggol-san was only 20km away. We could easily see it from Dongjeomryeong-san the day before. But it took us the whole day to get there. September 9th, 2017: Staying on the Kaema plateau we drove from Dongjeomryeong-san into the county of Unhung-gun. We followed verbal directions provided to us by our local guide Mr Han. In a straight line, Tonggol-san was only 20km away. We could easily see it from Dongjeomryeong-san the day before. But it took us the whole day to get there. 2017년 9월 9일: 개마고원에 머무르며 동점령산에서 운흥군으로 차를 몰았다. 안내원 한 씨가 일러준 길을 따라갔다. 통골산은 직선거리로 20km에 불과했다. 전날 동점령산에서도 쉽게 볼 수 있었으나 온종일이 걸려서야 통골산에 도착했다.

Arriving at the small village of Yongam-ri we look for us a place to set up camp and find an open paddock next to a stream. Some local kids help us set up a campfire before the chilly night sets in. We manage to buy some fresh pork from a local and that night we eat a rice and pork stew. We hang the remaining meat high in a tree. 용암리라는 작은 마을에 도착해 캠프를 설치할 마땅한 장소를 찾는다. 마침 개울가에 빈터가 있다. 추운 밤이 오기 전에 모닥불을 피우는데 마을 아이들이 거든다. 마을에서 금방 잡은 돼지고기를 사서 저녁으로 찌개를 만들어 밥을 먹는다. 남은 고기는 나무에 걸어 놓는다.

182


September 10th, 2017: The next morning the meat has disappeared from the tree. We suspect a ranging dog with long back legs. We walk back through the village area. The villagers are making starch from their potato harvest. Old railway track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till exist here. The smaller gauge was used to shunt timber and minerals from the mountains. Now the locals use them for their use.

We take what looks to be a long valley up towards the base of Tonggol-san 2101m. After all the mountain climbing we’ve done on this expedition, our local forest service guide, a bit older, is not as fit as we are, and starts to slow us down. Once we get to the ridge, we leave him there and continue.

183

Yongam-ri, Unhung-gun, Ryanggang-do


량강도, 운흥군, 용암리

2017년 9월 10일: 다음 날 아침, 고기가 나무에서 사라져버렸다. 뒷다리가 긴 동네 개가 물어간 게 아닌가 싶다. 걸어서 마을을 지나간다. 마을 사람들이 감자로 녹말을 만들고 있다. 마을에는 일제 강점기에 놓은 철로가 아직도 있다. 협궤 철로로 목재와 광물을 산에서 운반하기 위해 놓은 것이었다. 지금도 마을 사람들이 물건을 나르는 데 쓰고 있다. 통골산(2101m) 기슭으로 오르는 기나긴 계곡을 살펴본다. 이번 원정에서 많은 산행을 했지만, 이곳 산림청 안내원은 약간 연로해 우리만큼 체력이 좋지 못하다. 팀의 산행 속도가 느려지기 시작한다. 능선에 도착해서 안내원을 남겨두고 우리만 산행을 계속한다.

184


It’s one of those dull grey days, and the views don't feel so spectacular. Perhaps the white birch trees add to the ghostliness of this mountain, or maybe we have been too spoilt on this expedition. It’s well into dark by the time we get back to camp. Tomorrow we’ll be out of here and driving to the Paektu-san region for the tail end of our expedition. 우중충하게 흐린 날이어서 전망이 좋지 않다. 흰 자작나무 때문에 산이 더욱 음산해 보였을 수도 있고, 지금껏 너무 좋은 날씨에 익숙해진 탓일 수도 있을 것이다. 어두워져서야 캠프로 돌아온다. 내일은 여기를 벗어나 이번 여정의 마지막 목적지 백두산 지역으로 갈 예정이다.


Summit area of Tonggol-san 2101m 통골산(2101m, 량강도 운흥군) 정상.


September 13th, 2017: The township of Samji-yon lies on a

2017년 9월 13일: 삼지연읍은 백두산 바로 남쪽, 숲이

forested plateau just south of Paektu-san. To the east, a pair of

우거진 고원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에는 2천 미터가

two-thousand meter-plus peaks watch over the township. Part

넘는 두 개의 봉우리가 읍을 내려다보고 있다. 백두대간

of the Baekdu Daegan, they are Bukpotae and Nampotae-san.

일부로, 북포태와 남포태산이다. 마녀 모자같이 생긴

Their sharp witch hats and dark steep sides have always caught

날카로운 봉우리의 모습과 검고 가파른 측 사면은 항상

my imagination. When asked, local folk would look over their

나의 상상력을 자극해 왔다. 이곳 사람에게 포태산에

shoulder as if the peaks were always watching them, and tell

대해 물으면, 산봉우리가 언제나 자기네를 감시하고

us no one ever went there. They said it was a place of tigers,

있기라도 한 듯 어깨너머로 산을 쳐다보며, 누구도 가지

leopards, bears, and wolves.

않는 곳이라고 답하기 마련이다. 호랑이, 표범, 곰, 늑대가 사는 곳이라고 한다.

A crisp, clear morning. It’s 7am and in our individual packs are chocolate bars, rolls of pork polony, bread, a sleeping bag

상쾌하고 맑은 아침이다. 7시다. 우리 배낭 속에는

each, cigs, apricot soju, and water. I’m also carrying a camera

초콜릿 바, 돼지고기, 소시지, 빵, 침낭, 담배, 살구

body, two lenses, batteries, Polaroid, small Nikon, and tripod.

소주, 물이 각각 들어있다. 나는 카메라 본체와 렌즈

Our guide was last on this mountain some twenty years ago.

2개, 배터리, 폴라로이드 카메라, 소형 니콘 카메라와 삼각대도 가져간다. 우리 안내원은 20여 년 전에 이

The forest is surreal with an ancient feel about it, a mixture of

산에 가본 적이 있다고 한다.

tall larch pine, white birch, and maple. We follow a mossy trail for the next three hours as it shimmies through the trunks.

높다란 낙엽송, 자작나무, 단풍나무 등이 뒤섞인 숲은

Then we start our climb on a thin trail soon eaten by the

먼 옛날로 돌아간 듯 초현실적인 느낌이다. 세 시간

forest, where the trees and undergrowth feast on us.

동안이나 나무 사이로 춤추듯 구불구불 나 있는 이끼 낀 오솔길을 따라간다. 다음에는 희미해진 길로 오르기

187

시작하는데, 숲이 길을 금방 삼켜버리고 만다. 나무와 덤불이 우리를 먹어치울 듯하다.


188


It’s two hours more before we escape.

not. It’s just that we are so tiny on this beast. We

Straightening our backs and legs, we walk east up

shuffle up its rocky face, grabbing tufts of grass,

a spur, still heavy in pine but without the hungry

wedging boots into loose rock. A fresh wind gusts

undergrowth. On our left is a steep drop-off, and

across our brows, and we can feel the icy night

beyond the next valley we can see the dorsal fin

catching up to us as the wind licks between our

shape of Bukpotae-san.

fingers.

One hour later we break out onto open ground.

We’re at the top of Dol-bong. Most of it is flat.

Waist high golden grass sweeps the bottom of

The gold winter grass up here is shorter, and there

our packs. Clusters of green rhododendrons and

are some smaller white birch and more low lying

low lying pine cover stony breaks in the grass. We

pine. The views are 360°. This is a remarkable

turn back to look and admire Paektu-san between

place. We’re at 2050m.

the leafless branches of the white birches. I set up and take photos. To my west is the Paektu To the north is a distinctive knob, that our guide

plateau. Larch pine forests undulate for miles,

calls Dol-bong. That’s exactly what it looks

all the way into China. Cabbage-sized clouds roll

like. A giant round stone. It sits between us and

on the horizon. Dust glitters in the sun’s rays

Bukpotae-san. But to get there we first have to

above Samji-yon. To the northwest, Paektu-san is

descend into a deep gully. Behind us to the south

talking to the clouds.

is Nampotae-san 2433m. The sun is getting lower as we finally see Dolbong ahead of us. It still looks far away, but it’s

두 시간 후 겨우 여기를 벗어난다. 허리와 다리를 펴고

새로 불어와 얼굴을 스친다. 바람이 손가락 사이를

동쪽으로 걸어 돌출부를 오른다. 여전히 소나무가

핥고 지나가는 것이 추운 밤이 우리에게 다가오는

빽빽하지만 성가신 덤불은 없다. 왼쪽은 가파른

느낌이다.

낭떠러지다. 이어진 계곡 건너편으로 등지느러미 돌봉의 꼭대기에 선다. 거의 평평한 곳이다. 여기

모습을 한 북포태산이 보인다.

나 있는 금빛 겨울 풀은 아래쪽보다 길이가 짧다. 한 시간 후 개활지로 빠져나간다. 허리까지 오는

작은 자작나무 몇 그루와 눈잣나무도 많이 널려있다.

황금빛 풀이 배낭 바닥을 쓰다듬는다. 푸른 만병초와

조망은 360도로 뚫려있다. 대단한 곳이다. 우리는

눈잣나무가 풀 사이로 드러난 바위를 덮고 있다. 뒤로

해발 2,050m에 올라와 있는 것이다.

돌아서서 잎이 떨어져 버린 자작나무 사이로 백두산을 본다.

카메라를 설치하고 사진을 찍는다. 나의 서쪽은 백두고원이다. 낙엽송 숲이 수십 리에 걸쳐 멀리

북쪽에는

손잡이처럼

보이는

봉우리가

있다.

중국까지 물결처럼 뻗어있다. 배추 크기의 조각구름이

안내원이 돌봉이라고 한다. 말 그대로, 거대한 원형의

지평선을 굴러간다. 삼지연 위를 비추는 햇살에 먼지가

바윗덩어리다. 우리가 있는 곳과 북포태산 사이에

반짝인다. 북서쪽으로는 백두산이 구름과 이야기를

있다. 돌봉으로 가려면 먼저 깊은 협곡으로 내려가야

나누고 있다.

한다. 우리 뒤 남쪽에 있는 산은 남포태산(2433m) 이다. 해는 낮아지고 있는데 돌봉이 드디어 앞에 보인다. 멀어 보이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이 괴물 앞에 우리가 너무 왜소해 보이는 탓이다. 풀뿌리를 잡고 189

널린 바위를 딛으며 암벽을 조심조심 오른다. 강풍이


Team Bukpotae-san Taken on our last day after a frigid night sleeping out. Paektu-san in the far background 190


Nampotae-san 2433m

남포태산 2433m


북포태산 2288m

Bukpotae-san 2288m


193


194

Paektu-san from Bukpotae-san


It’s 6pm. The men are getting cold, so they move down the southeastern face, out of the wind, to find somewhere to set up a bivouac. I stay on, catching the sunset. It gets dark quick. On my way down I can smell the smoke fire, and shortly see its orange light dancing on the white birch trees like a horror movie. Our campsite.

We eat some more bread and polony. The men heat up the soju next to the fire and we bounce a bottle between us. We crawl into our thin sleeping bags. It’s a case of finding a good piece of flat ground to sleep on that isn’t too far from the fire to freeze, and not so close as to go up in flames. Of course, there’s no such ground. It’s as cold as an ice fridge. Not even a ‘boo,’ during the night. It’s like we all died waiting for the sun to save us.

195


오후 6시다. 추위를 느낀 대원들은 바람이 없는 남동 측면으로 내려가 비박할 장소를 물색한다. 나는 남아서 저녁노을을 찍는다. 순식간에 어두워진다. 내려가는 길에 모닥불 연기 냄새를 맡는다. 이내 주황색의 불빛이 공포영화처럼 자작나무에 어른거리는 것을 찾아낸다. 우리 캠프사이트다.

빵과 소시지를 조금 더 먹는다. 소주를 불에 데워 병을 돌려 나누어 마신다. 모두 얇은 침낭 속으로 기어들어 간다. 불에서 너무 멀지 않아 얼어 죽지 않고, 너무 가깝지 않아 타죽지 않고 잘만한 편편한 곳을 찾아야 한다. 그런 곳은 물론 없다. 너무 추워 얼음 냉장고 같다. 밤에는 찍소리 하나 나지 않는다. 마치 목숨을 살려줄 해를 기다리고 있다가 다들 죽어버린 듯하다.

196


Sep 14th 0500am: I’ve been up an hour already, trying to get warm next to the fire, stoking it up for the men. Several of us have taken turns during the sub-zero night to keep it alive so we don’t die. I move back up to Dol-bong to get my sunrise shots. It’s good to be moving. I can feel warm blood throbbing in me, but my iced boots and frozen feet are taking their time as they scrunch over a skin of thick frost. At the top I watch the sun, bit by bit, claw over the dark peaks. The frost lights up like icing on a cake. Those first rays radiate life back into me. I’m hoping for some good light on Paektu-san. Like a judge, a white wig of cloud sits over its head and the air over the plateau is chalky. The pyramid shaped peak of Nampotae-san casts a shadow on the plateau.

197


9월 14일 오전 5시: 이미 한 시간 째 일어나 앉아 불에 몸을 녹이며 자는 대원들을 위해 불을 돋우고 있다. 우리 중 몇이 교대로 영하의 밤중에 일어나 불씨를 살펴 모두가 얼어 죽지 않도록 한다. 해돋이 사진을 찍을 요량으로 돌봉으로 다시 올라간다. 움직이니 좋다. 따뜻한 피가 몸속에서 요동치는 것을 느낀다. 짙게 내린 서리 위를 서걱거리는 얼어버린 등산화와 발이 녹으려면 시간이 걸린다. 정상에서 해를 본다. 조금씩 조금씩 어두운 봉우리 위로 헤집고 나온다. 서리에 아침 해가 비쳐 케이크 장식처럼 영롱하게 빛난다. 첫 햇살이 내게 생명을 다시 불어 넣어준다. 백두산에 좋은 빛이 들기를 기대하고 있다. 가발 쓴 영국 판사처럼 흰 구름이 산 머리에 얹혀 있고 고원의 공기는 잔뜩 흐려 있다. 피라미드처럼 생긴 남포태산이 고원에 그림자를 드리운다.

At sunrise, looking west from Dol-bong across the Paektu plateau 돌봉에서 서쪽으로 바라본 백두산 일출

198


It takes us another whole day to get out of Potae-san.

포태산에서 내려오는데 또 하루가 온전히 걸린다. 이

Only we know we’ve been there. A tried looking Hwang

산에 다녀온 것은 우리만이 알고 있다. 지쳐 보이는

turns and says to me, “You are the first and hopefully

황이 나를 돌아보며 한마디 한다. “내가 저토록 험한

only foreigner that I ever have to take to that mean

산에 외국인을 다시 안내해야 한다면 당신이 처음이자

mountain ever again.”

정말이지 유일한 사람일 거외다.”

“Not the first time you’ve said that to me,” I say smiling

“자네가 내게 그런 말을 한 게 처음은 아니지.” 내가

back.

웃으며 말을 받는다.

199


At sunrise, looking east from Dol-bong.돌봉에서 동쪽으로 바라본 일출

200


Paektu-san (2017 & 2018) Amrok-river 암록강

201


202


Paektu-san (2017 & 2018) Amrok-river 암록강

203


September 15, 2017: I spent my last four days of the 2017 expeditions in the Paektu-san region. It was at least my fourth visit to this exciting region. I had the opportunity to explore some new parts, including the upper reaches of Korea’s longest river the Amrok where it seeps out from under Paektu-san forming a waterfall before beginning as a stream on its 790km journey as the northwestern frontier with China.

2017년 9월 15일: 2017년 원정의 마지막 며칠은 백두산 지역에서 보냈다. 벌써 네 번째 방문이다. 여기서 한반도에서 가장 긴 압록강의 상류를 비롯해 전에 가보지 못했던 곳을 몇 군데 탐사하게 됐다. 압록강은 백두산 아래 어딘가에서 흘러나와 폭포를 이루고 개울이 되어 중국과 서북 국경을 이루는 790km의 여정을 시작한다.

204


The Paektu-san Plateau I also took my first steps into the untouched and secretive plateau beneath Paektu-san, which then led to the idea to conduct overland trekking tours for the first time in the following year (2018). The plateau covers 6520km² and stretches through two provinces. The area beneath Paektu-san sits in the county of Samji-yon and stretches through four more counties in the province of Ryanggang-do. The locals know it in this province as Paektu-gowon (plateau). Further east in the province of Hamkyongbuk-do, the plateau continues into the counties of Yonsa and Musan, and there it is known by the locals as the Musan-gowon. Collectively, the entire plateau from both provinces is called Paekmu-gowon With an average altitude of 1260m it is not to be confused (as it is sometimes) with Korea’s largest plateau, the Kaema-gowon.

소연지봉(2,114m)에서 본 백두대간 남쪽 풍경. 간백산(2,162m), 소백산(2,179m), 사자봉(2,149m)이 보인다(2017년 9월)

205


사람 발길이 닿지 않아 비밀에 싸인 백두산 아래쪽 고원에도 첫발을 내디뎠다. 바로 여기서 2018 년에 최초로 하게 된 육로 트레킹 행사에 대한 아이디어도 얻게 됐다. 고원은 면적이 6,520km²에 이르며 두 도에 걸쳐 있다. 백두산 바로 아래 지역은 삼지연군. 량강도 내 4개 군으로 더 뻗어 나간 다. 여기 사람들은 이곳을 백두고원이라고 부른다. 고원은 멀리 동쪽 함경북도의 연사군과 무산군으 로 뻗어 나가 무산고원이 된다. 두 도에 걸친 고원 전체를 통틀어 붙인 공식 명칭은 백무고원이다. 평균 고도 1,260m의 백무고원을 한반도 최대 고원 지대 개마고원과 혼동하지 말기 바란다 (실제로 혼동하는 예도 있다).

Views of the Baekdu Daegan south from Soyeonji-bong 2114m as it forms the peaks of Ganbaek-san 2162m, Sobaek-san 2179m, and Saja-bong 2149m.

206


The Paektu-gowon is covered extensively with uninhabited Larch pine forests and Manchurian Fir. They stretch for as far as the eye can see. At least two hundred species of animals including the Asiatic black bear, elk, deer, and wild pig, roam the area, and there are still plausible sightings of Amur Leopard and Siberian tiger. In the case of the tiger, it is said that they follow the elk migration from the Primorsky Krai region in Siberia, which is notably less these days due to heavy industrialization inside the Chinese regions of the border.

207


백두고원은 사람이 살지 않는 낙엽송과 전나무 숲으로 광범위하게 덮여있다. 숲이 끝도 없이 뻗어 있다. 아시아 흑곰, 엘크, 사슴, 멧돼지 등 200여 종의 동물들이 고원에 서식하고 있으며 아무르 표범과 시베리아 호랑이를 봤다는 사람도 있다. 호랑이는 시베리아 연해주 지방에서 이동하는 엘크를 따른다고 하는데, 지금은 중국 접경 지역의 공업화로 인해 엘크 떼의 이동이 훨씬 줄었다고 한다.

208


July 2018: Beds of purple Aquilegia (granny’s bonnet) known colloquially as Paektu-san flowers accompany a stream near the Chinese border as it trickles northeast from Paektu-san to join Korea’s third longest river the Tumen (521km).

2018년 7월: 자주색 매발톱꽃(일명 백두산꽃)이 중국 국경 근처 냇물을 따라 군락을 이루고 있다. 냇물은 백두산 북동쪽으로 흘러 한반도에서 세 번째로 긴 두만강(521km)으로 흘러든다.

The eastern side of Paektu-san

209

백두산의 동쪽


210


211


212


Daeyeonji-bong 2358m

213



백두산이 가까워 지면 숲이 드문드문해지고 키도 작아지다가, 거대한 화산 토양의 초원지대가 열린다. 1200 여 종의 식물이 여기서 자란다. 7월에 봄이 오면 고원에는 자주색, 푸른색, 흰색, 노란색의 여러 야생화가 활 짝 피고, 낮게 자라는 만병초, 야생 블루베리 등으로 뒤덮인다. 원시 그대로의 풍성한 서식지다. 이곳은 또 조 선의 항일 혁명 투쟁 시절 침투 지역으로서의 역사적인 역할 때문에 혁명 성지 보호구역으로 보존되고 있다.

215


As you approach Paektu-san, the forests get sparser and shorter before breaking out into large tracts of volcanic soils and grasses. There are over 1200 species of plants in this region, and when spring arrives in July the plateau blooms with an assortment of purple, blue, white and yellow wildflowers, low lying rhododendrons and wild blueberries. It is a rich pristine habitat and because of its historic connection as an infiltration zone for Korea’s revolutionary struggle against the Japanese, it is fortunately preserved as a protected zone of sacred revolution.

216


Mudu-bong 1980m


Views south over the plateau to the far distant peaks of Nampotae and Bukpotae-san


August 2018: We trek across the plateau with Daeyeonji-bong 2358m on the right, the dorsal of Soyeonji-bong 2114m center left and the Ganbaek-san range in the background.

219

2018년 8월: 백두고원

트래킹 코스 - 대연지봉 (2,358m)이 오른쪽,

소연지봉(2,114m)의

등줄기가 왼쪽 가운데,

간백산 줄기가 뒤쪽으로 보인다.


220


Top: Paektu-san in August 2018 as seen from Beondae-san and seen again from Soyeonji-bong in September 2017. 맨 위: 2018년 8월 번대산에서 바라본 백두산. 2017년 9월 소연지봉에서 바라본 백두산.

221


222


2018년 8월: 간백산(2,162m, 량강도 삼지연군)

223


August 2018: Ganbaek-san 2162m, Samjiyon-gun, Ryanggang-do

224


Inside its forests exist a small network of secret camps,

백두고원의 숲속에는 밀영이라고 불리는 작은 비밀

known as mil-yong (밀영). These secret camps are

캠프망이 구축되어 있다. 밀영은 현재 유적지로 관리

maintained as historic sites. During the mid 1930s

되고 있다. 1930년대 중반부터 1945년 해방까지 조

up to Korea’s liberation in 1945, Korea’s communist

선의 공산주의자들이 주축이 된 독립투사들은 김일성

driven freedom fighters, led by Kim Il Sung, infiltrated

을 지도자로 삼아 만주에서 반도 북부를 비밀리에 넘

in and out of the northern peninsula via Manchuria.

나들었다. 이들은 밀영을 세우고 이를 근거지로 삼아

They set up and used the secret bases, as a means to

식품, 약품, 폭약 등의 조달에 지역의 조선인들로부터

seek assistance from a local Korean populace for the

도움을 받고, 군사 기획도 수행했다. 투박하지만 잘

supply of food, medicine, munitions, and military

조직된 여러 밀영은 비밀리에 운영되고 있었고, 남쪽

planning. These rustic but well organised camps were

멀리 중부 평안남도까지 주로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뻗

functioning secretly as far south as the central regions

어 있었다. 밀영의 사용이 한창일 때에는 모든 일본군

of Phyongannam-do, most of them clustered on or near

수색대가 밀명을 발견하는 데 애를 먹었다고 한다. 한

the Baekdu Daegan. At the height of their usage, they

반도의 험한 계곡과 산속 깊이 들어와 수색할 엄두를

were hard to detect for any patrolling Japanese forces,

내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who were reluctant to search deep into the rutted valleys and peaks of Korea.

July 8th, 2018: Mourners attend a memorial service 2018년 7월 8일: 사람들이 삼지연 대기념 for the late General Kim IL Sung (d. July 8th, 1994) 비에서 열린 고 김일성 주석 추모식에 참배 at the Samji-yon Grand Monument. The site is also a 하고 있다. 이곳은 1937년 량강도 보천보 commemoration to the 1937 battle of Pochonbo, located 전투를 기념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일본인 in Ryanggang province. The destructive overnight raid 들이 점거하고 있던 보천보를 야간에 기습 of the Japanese occupied town of Pochonbo inspired the 하여 파괴함으로써 조선인들을 분기시켜 독 Korean people to advance their fight for independence. 225

립 투쟁을 이어가도록 했다고 한다.


백두산 밀영 안내원. 밀영 간사라고 한다. 226


September 16th, 2017: We got up extra early and drove to the summit

2017년 9월 16일: 아주 일찍 일어나 일출을 맞으러

of Paektu-san to get the sunrise. This was my first crack at it since

정상으로 차를 몰았다. 2012년의 실패 이후 첫 도전

the failed 2012 attempt. September is a perfect season for stable

이었다. 9월은 날씨가 좋아 정상 방문에는 최적이다.

weather. It was humbling to be standing on Paektu-san watching

백두산 위에 서서 컴컴한 산으로 둘러싸인 암청색의

the stars twinkle over the silent dark blue lake surrounded by deep

호수 위로 반짝이는 별들을 보는 것은 놀라운 경험이

black mountain sides. And then watch the dark change slowly to

었다. 해가 지평선 위로 서서히 뚫고 올라오면서 분화

blue, mauve, crimson, then orange, as the sun slowly broke over the

구 안쪽으로 뿔 모양의 그림자를 드리우고, 어두움은

horizon, casting horn shaped shadows over the inner caldera. The

청색에서 연보라색, 진홍색, 그리고는 주황색으로 천

small crowds of North Koreans standing on Janggun-bong gasped as

천히 바뀌는 것을 본다. 장군봉에 서 있던 북한인들이

the sun’s rays flashed on our excited faces.

햇살이 상기된 얼굴에 비쳐들자 숨이 턱 막히는 듯한 소리를 냈다.

Taken at 30.0s at f/4.5, ISO 4000


228


Next page: Top image: Janggun-bong 2750m (L) is the highest feature of all Paektu-san. Image taken Sep 16, 2017. Bottom image: Paektu-san and Chonji lake in the mid - summer of August 2013. 229


다음 면: 위 사진: 장군봉(왼쪽)은 백두산 최고봉이다. 2017년 9월 16일 촬영. 아래 사진: 2013년 8월 여름의 백두산과 천지 230


231


232


We also have a lunch with the female guides that

백두산 남쪽 가장자리의 석조 건물에 거

live in the stone house on the southern lip of Paektu-

주하는 여성 안내원과 점심도 같이 했

san. One of them, the senior member, remembered

다. 선임자 한 사람은 전에 이곳을 방문

me from previous visits. I made another entry into

했던 나를 기억하고 있었다. 방명록에

their log book.

긴 글을 다시 올렸다.

“The end of another great expedition of mountains

“백두대산줄기의 산으로 향했던 또 하나의 훌륭한 여정

of the 백두대산줄기. This time we travelled to the mountains of Kangwon-do in May and then to

도로 갔다. 호랑이와 곰 이야기를 들었다. 마을 사람들

Phyongannam-do in June. We heard tales of tigers and

이 나누어 준 음식을 먹고, 도새라는 초여름 우박을 동

bears. We were fed by the local villagers, and we even

반한 폭풍우의 극심한 날씨도 겪었다. 8월과 9월에 다

experienced extreme weather conditions in the form of

시 와서 같은 동료들과 여행을 계속했다. 평안남도의 가

the 도새 – an early summer hailstorm. Then in August

파르고 험준한 산으로 다시 향해, 깊은 계곡으로 들어가

and September, I returned and travelled with the same

맑은 물이 콸콸 흐르는 개울을 걸어서, 자동차로, 심지

men again. We went back to the steep jagged and

어 벌목 트럭을 얻어타고 건너며 좋은 시간을 보냈다. 여

unforgiving peaks of Phyongannam-do and had many

느 때처럼 텐트에서 자며 모닥불 주위에서 현지 음식을

wonderful moments pushing deep into the valleys full

먹었다. 이후 량강도의 고원지방으로 올라갔다. 여기서

of gushing freshwater streams that we had to ford on

불어난 강물 때문에 길이 막히는 낭패를 처음으로 겪고,

foot, by car, and even by a logging truck. As usual,

아침에 짙은 서리가 내리면서 산의 색조가 변화하기 시

we slept out in our tents and ate local foods around

작하는 것도 보았다. 2000m가 넘는 산을 오르며 며칠

the campfire. Then up to highlands of Ryanggang-

을 힘들게 보낸 적도 있었다. 이 눈부신 9월의 오늘 우

do, where we met our first major obstacles of flooded

리는 백두산에 서 있다. 이 멋진 땅의 사람들에게 항상

rivers and heavy morning frosts as the mountains

감사한다. 겸손하고, 친절하고, 유머를 잃지 않으며, 열

started to change their hues. Big two thousand meter

심히 노력해서 최선의 결과를 내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plus peaks that toiled our days. And now Paektu-san

가진 사람들이다. 우리 팀원들에게 감사하고, 믿음직하

on a glorious September day. I am forever grateful

고 강인한 산림청 직원들을 비롯해 나와 같이 한 지방 관

to the people of this fine land. Their humbleness,

료 여러분께 특별히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 우리를

kindness, humour, and a strong will to work hard and

먹여주고 길을 가르쳐준 마을과 산속에 사는 사람들에게

fruitfully for the best result. A special thanks to the

도 특별한 감사의 말씀을 빼놓을 수 없다. 정말로 훌륭

team and all the provisional officers that worked with

한 분들이다. 내가 하는 이 일이 열매를 맺어 나의 개인

me, including the always reliable and sturdy men of

적인 경험이 북한 밖의 사람들로 하여금 이 나라를 더욱

the Forest Service. Also a special mention to the people

잘 이해하게 되기를 바란다. 다음에 다시 만날 때까지.”

of the villages and the mountains for feeding us and showing us the way. I admire them truly. I hope my work bears its fruits and that the people outside of DPRK can better understand this country through my personal experiences. Until next time.”

233

을 끝낸다. 이번 원정에는 5월에 강원도, 6월에 평안남


234


235


Sep 16, 2017: It was still a beautiful clear day down by the lake edge. The water area of Chonji is autonomous, meaning if you are permitted to be in a boat and either you can explore all the water surface. There is no border on the water. I don’t know what that means when it’s iced up then? The caldera formed from a volcanic explosion around the 10th century, supposedly one of the largest in the last 5000 years. Filled from rain and snowmelt, the lake surface starts at 2190m altitude and submerges for 400m. Its shoreline has a circumference of 14.4km covering almost 10km². It freezes over from mid-October to June, reaching as the locals say, 4 meters in thickness, with another 4 meters of snow stacked on top. It is an unlivable place during that period with temperatures as low as -50°C. Inside I looked up at the uncountable number of sharp peaks and pinnacles that make the crater lip of the caldera. Imagine, I thought, if one day we could all walk around the entire crater edge of the lake. Although its circumference is 20.6km, looking at it, I figured it still might take at least two nights and three days to complete. It’s much bigger and tougher than you realize. 2017년 9월 16일: 호숫가 날씨는 맑고 아름다웠다. 천지 수 면은 자치 구역이다. 천지에서 보트 타기를 허가받으면 천지 전역을 다 돌아볼 수 있다는 뜻이다. 물에는 국경이 없는 것이 다. 천지가 얼어붙었을 때도 같은 규칙이 적용되는지 궁금했 다. 천지는 10세기 무렵에 일어난 화산 폭발로 생겨났다. 과 거 5000년 동안 일어난 폭발 중 최대 규모였을 것으로 여겨진 다. 비와 눈 녹은 물로 차 있는 천지는 표면 고도가 2,190m, 깊이는 400m나 된다. 호수 둘레 길이는 14.4km, 면적은 10km²에 달한다. 10월 중순에서 6월까지 얼어붙으며, 주민 들에 따르면 얼음 두께는 4m에 이르고, 여기에 눈이 4m나 더 쌓인다고 한다. 이 기간 온도가 영하 50도까지 떨어질 수 있 어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이다. 천지에서 분화구 가장자리로 뾰족뾰족 솟아 있는 수많은 봉우 리를 쭉 둘러봤다. 묘안이 또 하나 떠올랐다. 언젠가 천지의 분화구를 둘러싼 능선 전체를 걸을 수 있는 날을 상상해 보라. 둘레 길이는 20.6km밖에 안 되지만, 완주에 최소한 2박 3일 은 소요될 것 같다. 생각보다 훨씬 크고 힘든 곳이다.

236


237


238


Endnotes 후기


During 2018 and throughout the process of making this book, the Korean peninsula entered vital stages of renegotiation. Currently, President Moon Jae-in and Chairman Kim Jong-un are making efforts to re-engage the two nations. This year three official summits took place. The recent September summit was memorable for a visit by both leaders to the summit of Paektusan, an idea I had casually discussed with my North Korean colleagues in August 2018 (I take no credit for the visit whatsoever – mine was just an act of parallel thinking) and I was as pleasantly surprised as everyone else when it happened. I followed up with a televised suggestion on KBS news that Chairman Kim be invited to Halla-san when he visits South Korea. This December, at about the time this book is published, Chairman Kim may well become the first North Korean leader to visit the South Korean capital Seoul. President Moon, when queried by media, said that if asked, he would gladly take Chairman Kim to Halla-san. This goes in line with the foundational message the two leaders have been using that Korea is one nation connected by Paektu-san and Halla-san. They see the Korean people using their treasured mountains as symbols of Unity and Peace, just as I have been doing since beginning this work. This year was also marked by the first-ever summit between an American president in Donald Trump and a North Korean leader in Kim Jong-un. Another is scheduled for 2019. Beneath these inter-Korean summits and the subsequent agreements, numerous promised exchange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have been implemented. Most of it in sport and entertainment. But some more important ones too, such as the reboot of precious family reunions, joint archaeological excavations, the first steps towards the reopening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an agreement in forestry management. Militarily there have been swift steps towards the goal of a denuclearised peninsula. On top of the decommissioning of North Korea’s nuclear test site and a cease to missile launches, we have seen the removal of outposts and firearms at the JSA (Joint Securities Area) in Panmunjom, the completion of demining inside the DMZ (Demilitarized Zone), an agreement to cease all hostilities along the maritime NLL (Northern Limit Line) including an open line of communications there, and an arrangement for the exchange of the remains of Korean War POW/MIA combatants. There are future plans to develop important logistical links, such as train lines that will connect South Korea with Asia and Europe, an Asia Highway for road transport, a gas line from Siberia, and for Korea to host the 2032 Olympics. But it’s still hard to believe that all of this has happened and in such short time, especially when you don't have to look very far backwards to have seen everything heading in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If there was ever a moment in Korea’s division that peace and coexistence could happen, it clearly has to be now. As foreigners, we must stand up and support the 240


people of Korea with this process. Even if some disagree, the world will still be much better off, and so will all Koreans, north and south. While some South Koreans may fear the financial burden of re-engagement, real business people see incredible opportunities that reach well into the northeast Asian continent. There’s only more to gain for all than there is to lose. Having spent time with people in both nations, I believe that we have to avoid the concept of allowing one side to absorb the other. That is not a model for re-engagement, but more a cultural subjugation. Some may not think so, but there are values each nation can learn from the other. It’s possible that over time with the slow dismantlement of the DMZ and a mutual respect between the sovereign governments of north and south, the Korean people, as they wend their ways into each other’s territories, can evolve to become a new Korea that benefits all. It’s likely that this future scenario requires the influence of global politics. But if global influence is coursing in the wrong direction, the Koreans can re-engage by themselves. A new Korea cultivated along this vision could become a model for other nations. A new system of politics merged from division. In a world of bipartisan politics, this is what we need. As I said in the introduction, the Koreans started identifying my work on the Baekdu Daegan as a subtle way of helping them with their cause for reengagement. Despite thoughts to brush that notion off, it was a hard thing to ignore. So I slowly started to believe what they told me, and even though the Baekdu Daegan always remained to me a beautiful natural landscape with nationalistic and spiritual significance, it started to become a study piece for a photo project on One Mountain One People One Korea. Initially, this book was supposed to feature the mountains of North and South Korea, but I didn't have enough pages. And with all due respect to the people of the south, everyone wants an insight into the north. And as I have been told by the northerners that I have travelled to deeper parts of their nation than anyone else, I felt it was time for me to share this experience with a book focused solely on North Korea. My photos would give the reader an opportunity to take a break from peering at the north (rightly or wrongly) and recognise these people as humans. My photos and stories of the rural areas that the Baekdu Daegan takes me to are light and meant to breathe humanity into the people of the north. Although the hamlet lifestyles of the rural folk might be more primitive than what we’re used to seeing in our supposed developed nations these days—and I dearly desire to see improvements there someday soon, I always found the villagers' simple lives possessed a charm. This enduring lifestyle once prevailed in our prewar (WWII) rural generation. Before farms got Incorporated and villages suburbanized, our folk practised the same simplistic pastoral values of hand growing food, pailing water, creating 241


home health remedies, preserving foods, yarning clothes, and fixing stuff before throwing it away. Combined with traditional family values and mealtime gossips, their days were full. In the north I was impressed by how the rural folk managed to live in this organized way with the land, including their knowledge of the bush and the terrain. I enjoyed their easy smiles and quickness for a joke. Their ability to share food and resources. Their willingness to get stuck into an idea and make it work. They all pitch in and get behind a cause, be whatever it may. There’s no shoddiness. May, 2018, Jirisan, South Korea: The old people here live behind stone walls, hunch along on bowed legs, veiny hands cupped behind their backs. A serene smile. The women, towels wrapped on their heads; the men, creasy face, puffing a cig. Tucked away in their village, daily they tend their crops, return home, sip a cool sik-hye on the porch. In the evening a patrol-like stroll of their crops. Every day some progress. north or south? The difference? The age of the homes, the state of the roads, the cable bundles. My home in South Korea is in a rural farming area, and although the techniques and standard of living are much more advanced, the people still practice the age-old Korean tradition of cooperative farming and living in small villages. This system no longer exists in my native country of New Zealand. Farms are as big as a county and run by one family. I’ve traveled a lot all over Korea and I’ve watched the traits in the people of the north and the south, looked for the bits that make them similar. Their language, foods, customs, and characteristics. Seventy-odd years of division cannot take away thousands of years of identity. That’s why, when I'm in the mountains of the north, I don’t really feel I’m in another country. I don’t really pick up on the barriers. In all my explorations of the Baekdu Daegan in North Korea, some sixty peaks, it has always been richly vegetated with natural forests and deep valleys full of gushing streams. In some parts, there is denuding, especially in the agriculture of maize, and around the major city areas, but for the most part the deeper regions of the country remain intact with wild, pristine, unmanaged forests. A Korea of old. I do hope that in the near future others get a chance to see this unexplored area. There’s a lot waiting to be refound. Archeological sites and flora and fauna to name some. If the transition to a peaceful peninsula continues, it can happen. Although the regions of the Baekdu Daegan in North Korea that I have ventured on will probably be amongst the last parts to open up, there is hope that the plateau region beneath Paektu-san could become the first proper trail network that allows visitors to backpack over a series of nights. In August 2018, I led, for the first time, a small group of foreigners across the plateau for five nights and six days. It was a remarkable experience with some 242


outstanding scenery as you would have seen in the latter part of this book. I will conduct four more treks in 2019. My short-term plan is to develop this region properly, that is, build and signpost actual trails. This is to keep future hikers from wandering off and damaging the precious grasslands. Build a series of log style shelters near the secret camps where hikers can sleep and cook. There they can get fresh water and use toilet facilities. The trail network will require permits and the money can go back into maintenance. All hikers must be accompanied by local guides to enrichen the experience and learn about not only the ecological history of the plateau but also the revolutionary aspect of it when the Koreans were harrying the Japanese here. Then by 2021 when the current redevelopment in Samji-yon township is completed, and Korea is still bubbling with inter-exchange, I think Paektusan will open for the South Koreans. They will be able to fly there from Seoul, direct. Let’s look bigger! The Baekdu Daegan is not a recognized hiking trail, just an important continuous ridge that Koreans hike in the south, making it into a pilgrimage. Research has been done to nominate the southern section as a UNESCO biosphere. But a biosphere should contain the whole organism, the northern section too. Why not do that then? The Korean people have recognized the Baekdu Daegan for all its provisions both geographically and spiritually, and now so have both leaders. If the Baekdu Daegan is a symbol, almost a seal, that cements the re-engagement of Korea, then this aspect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a criterion for nomination. So let’s open up the Baekdu Daegan as a national trail for Korea! Let Koreans and foreigners hike its length from Paektu to Jiri, and then to Halla-san. Let a pilgrimage for reengagement complete itself. That is my wish. Roger Shepherd.

243


2018년, 그리고 이 책을 만드는 기간을 통틀어 한반도는 중대

도 좋은 일이 될 것이다. 남한에서는 재교류로 인한 경제적 부

원장은 두 나라의 재교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해 정상회

동북아시아 대륙까지 뻗어 나갈 수 있는 믿을 수 없을 만큼 좋

한 재협상 단계로 돌입했다. 지금,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

담이 세 번 열렸다. 최근 9월 정상회담에서 두 지도자가 백두 산 정상을 방문하게 된 것은 뜻깊은 일이었다. 2018년 8월에 나의 북한 동료들과 우연히 이야기를 나눴던 바로 그 아이디어

담을 걱정하는 사람도 일부 있으나, 노련한 사업가의 눈에는 은 기회로 보인다. 모두에게 잃는 것 보다 얻는 것이 훨씬 많 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였는데 (내 공이나 영향이 있었다는 것은 절대 아니다. 우연히

남북 양쪽 사람들과 오랫동안 어울려본 나로서는 한쪽이 다른

로 올라간 것을 보고 나도 다른 사람들처럼 깜짝 놀라며 기뻐

다. 그건 재교류의 모델이 아니라 문화적 지배에 가깝기 때문

같은 생각을 하게 된 것뿐이었으니까), 두 사람이 정상에 실제 했다. KBS로 방송된 뉴스 인터뷰에서 나는 김 위원장이 남한을

방문하면 그를 한라산으로 초대하는 것이 좋겠다는 제언도 해

두었다. 이번 12월 이 책이 출간될 즈음에는 김 위원장은 남한 의 수도 서울을 방문하는 최초의 북한 지도자가 되어 있을지도

모르겠다. 문 대통령은 기자들의 질문에 김 위원장이 원하면 기 꺼이 한라산으로 안내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두 지도자가 한반

도는 백두산과 한라산으로 이어진 하나의 나라라는 같은 창건 메시지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두 사람은 이 땅의 사 람들이 귀중하게 여기는 산을 통일과 평화의 상징으로 보고 있 는 것이다. 내가 이 일을 시작하면서 해 온 것처럼 말이다. .

올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사 상 처음으로 정상 회담을 한 것으로도 특기할 만하다. 2차 정

한쪽을 흡수하도록 해야 한다는 논리는 피해야 한다고 생각한

이다.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상당히 있지만, 양쪽 모두 서로에

게서 배울 점이 많이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장기적으로 비무 장 지대의 점진적 폐기가 이루어지고 남북 주권 정부 간 상호

존중을 발판으로 자유롭게 남북을 오갈 수 있게 되면, 한반도 는 모든 사람에게 득이 되는 새로운 나라로 발전할 수 있을 것

이다. 이와 같은 미래 시나리오에는 세계 정치의 영향력이 필요

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세계 정치의 영향으로 한반도가 원하 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간다면, 한반도 당사자들 스스로 재접촉

을 시도하면 그만이다. 이와 같은 비전에 따라 성숙한 새로운

코리아는 다른 여러 나라에 모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분단 을 극복하고 부상한 새로운 정치 제도. 양당 정치의 세계에 사 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바로 이런 것이다.

상회담은 2019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책머리에서 언급한 것처럼 많은 한국 사람이 백두대간과 관련

남북정상회담과 이후의 여러 합의에 따른 수많은 남북 교류의

접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 개념을 아

약속이 실행됐다. 대부분 체육과 연예 분야였으나 좀 더 중요

한 분야의 합의도 여럿 있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재개됐

고, 유적 공동 발굴 사업, 개성 공단 재가동을 위한 준비 작업, 산림 협력 등에 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군사 분야에서는 한 반도 비핵화 목표 달성을 위한 여러 초기 조치가 신속히 합의 됐다. 북한의 핵실험 시설 폐기와 미사일 발사 중단과 더불어

전방 감시 초소 철거, 판문점 공동 경비구역 비무장화, 비무장

해 내가 해온 일이 그들이 추진하는 남북 재교류의 명분에 간 주 무시하려는 사람도 있지만, 이것은 무시하기 힘든 논리였

다. 이렇게 해서 나는 사람들이 내게 해주는 말을 서서히 믿기 시작하게 됐다. 백두대간은 내게 항상 민족적으로나 정신적으

로 중요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남아 있기는 하지만, 하나

의 산 하나의 민족 하나의 나라라는 사진 프로젝트의 연구 과 제가 되어버렸다.

지대에 매설된 지뢰 제거, 서해 북방 한계선 주위 지역에서의

처음에는 이 책에 남.북한의 산을 모두 실을 것으로 예상했지

자의 유해 발굴과 교환에 합의했다. 중요한 물류 통로를 연결

을 생각해보면 모두 북의 비경을 깊이 있게 보기를 원한다. 더

적대 행위 종료와 연락 체계의 가동, 한국 전쟁 전사자 및 실종 하기 위한 미래의 계획도 들어있다. 남한을 아시아와 유럽으로 연결할 남북 철도 사업, 아시아 고속도로 도로 사업, 시베리아 가스관, 남북 2032년 올림픽 공동 개최 추진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많은 일이 그것도 이처럼 짧은 기간에 실제로 일어 났다는 것이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 특히 바로 얼마 전까지도 모든 일이 전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었다는 것을 생각하

면 말이다. 한반도가 분단된 상황에서 평화와 공존이 실현 가 능한 순간이 있다면 그건 바로 지금일 것이다. 외국인으로서

만 예정된 쪽 수보다 분량이 너무 많았다. 그리고 남한 독자들 구나 나와 동행했던 북쪽 사람들이 내가 누구보다도 그들의 땅 깊숙한 곳까지 가본 사람이라고 말해온 사실도 있고 해서, 이

번에는 북한에만 초점을 맞춘 책으로 나의 경험을 나누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나의 사진은 독자에게 북한을 넘겨

다보는 것을 멈추고 (그것이 옳든 그르든), 북의 사람들도 인간 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계기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백두대간을

통해 가게 된 시골 지역의 사진과 이곳의 가벼운 이야기로 북 의 사람들에게 인간성을 불어넣고자 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 일어나 한반도 사람들이 열어가고 있는 이 여정을

비록 시골 사람들의 작은 마을 살림살이가 선진국에서 익숙히

씬 많은 이득이 되는 것은 물론 남북을 통틀어 모든 사람에게

이 빨리 나아지기를 바라마지 않지만, 내게는 마을 사람들의

지지해야 한다. 일부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있으나 세계에 훨

보아온 현대식 생활 방식보다 원시적일 수 있고, 또 이들의 삶

244


검소한 삶에는 매력이 있는 것으로 다가왔다. 오랫동안 내려오

가까운 장래에 다른 사람들도 이곳 미 탐험 지역에 가볼 수 있

퍼진 것이었다. 농가가 기업화되고 농촌이 도회로 변모하기 전

발견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 수없이 많다. 한반도에서 평화 체

는 이런 생활 방식은 2차대전 이전 뉴질랜드의 시골에도 널리 에는 내 고향 시골 사람들도 같은 검소한 유목인의 가치를 영

위하며 살았다. 손수 먹거리를 기르고, 물을 길어오고, 민간요 법을 고안하고, 식품을 보존하고, 길쌈을 하고, 물건을 버리지 않고 고쳐 쓸 줄 알았다. 전통적 가족 가치관과 식사 시간의 대 화가 어우러져 이들의 하루하루는 충만했다. 북에서 농촌 사람

들이 주위의 숲과 익숙한 지형에 의존해 정돈된 삶을 영위하는

모습이 내게는 언제나 인상 깊었다. 사람들이 쉽게 웃고, 재빨

리 농담도 할 줄 아는 모습도 즐겼다. 음식과 자원을 서로 나누 어 쓸 줄 알고, 어떤 아이디어를 실용화하기 위해 노력을 집중 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것도 인상적인 덕목이다. 대의명분이 있 으면 그것이 무엇이든 지지하고 힘을 모은다. 어떤 일이든 엉 성하게 처리하는 법이 없다.

2018년 5월, 지리산: 이곳 노인들은 돌담 뒤에서 산다. 등을 구부 리고 활처럼 휜 다리를 움직여 길을 나선다. 핏줄이 돋은 손을 오 므려 뒷짐을 지고서다. 평온한 웃음을 짓는다. 여자들은 머리에 수 건을 동여매고 주름 팬 얼굴을 한 남자들은 담배 연기를 내 뿜는 다. 마을에 묻혀 살며 매일 논밭에 나가 김을 매고, 집으로 돌아와 마루에 앉아 시원한 식혜를 마신다. 저녁에는 순찰하듯 논밭으로 어슬렁거린다. 매일 조금씩 진척된다. 남과 북? 다른 점은 무얼까?

게 되기를 진정으로 희망한다. 수많은 유적지, 동.식물군 등 재 제 이행이 계속된다면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이다. 내가 탐사한 북의 백두대간 여러 곳은 아마 마지막으로 개방될 지역일 터이

지만, 백두산 바로 아래에 펼쳐진 고원 지역은 첫 번째로 등산 로가 개설돼 등산객들이 거기서 며칠 밤을 보낼 수 있게 될 희

망이 있다. 2018년 8월에 나는 최초로 작은 외국인 팀을 이끌 고 5박 6일간 백두고원을 종단했다. 이 책 후반부에 실린 내

용대로 경치가 뛰어난 곳에서 며칠을 보낸 멋진 경험이었다. 2019년에는 등반이 네 번 더 예정돼 있다. 단기 계획은 이 지 역을 정식으로 개발하는 것, 즉 등산로를 개설하고 여기에 표 지판을 세우는 일이다. 앞으로 올 등산객들이 길을 벗어나 귀 중한 초지를 훼손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밀영 근

처에 통나무 대피소를 지어 등산객들이 여기서 취사하고 잘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식수를 길어오고 화장실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입산 허가제를 시행해 수익금은 등산로의 유지보수에 쓰

이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안내원 동반을 의무화해 방문 객의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동시에 고원의 생태 역사를 비롯해

조선인들이 일본인들을 괴롭히던 혁명 투쟁의 측면까지도 학 습하게 할 작정이다. 2021년에 지금 진행되고 있는 삼지연읍 개발 사업이 완료되고 한반도의 상호교류가 여전히 활발하다 면 백두산이 남쪽 일반인에게 공개될 것으로 예상한다. 서울에

집의 나이, 도로 상태, 전봇대에 걸린 전선 뭉치.

서 직항으로 갈 수 있을 것이다.

남한에 내가 사는 집은 농촌 지역에 있다. 영농 기술과 생활 수

시야를 넓혀 크게 보자! 백두대간은 공인된 등산로가 아니다.

통적인 방법으로 협동조합식 농장을 운영하며 작은 마을에서

서로 이어진 능선에 지나지 않는다. 남쪽 구간을 유네스코 생

준은 아주 발전해 있지만, 사람들은 아직도 오래된 한국의 전 살고 있다. 나의 고향 뉴질랜드에서는 이미 없어진 생활 방식

이다. 군의 면적만큼이나 대형화한 농장은 한 가족이 단독으 로 운영한다.

한반도 전역으로 많은 여행을 하면서 남과 북의 사람들이 보이 는 특징을 관찰하며 어떤 부분이 이들을 비슷하게 보이게 할까

하는 점에 주목했다. 사람들이 쓰는 말, 음식, 풍습, 특징. 70 몇 년의 분단이 수천 년 동안 형성된 정체성을 없애버릴 수는 없다. 바로 내가 북의 산에 올랐을 때도 다른 나라에 있다고 전 혀 느끼지 않는 이유다. 나는 장벽에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내가 북에서 지금껏 답사한 60여 개 백두대간 봉우리는 모두 자연 그대로의 숲으로 풍성하게 뒤덮여 있었고 깊은 계곡은 세

차게 흐르는 개울물로 가득했다. 일부 지역, 특히 옥수수 재배 지역과 도시 주위의 산은 헐벗은 곳이 있었으나, 깊은 산악 지 역은 대부분 야생 상태의 원시 숲으로 손대지 않은 채 그대로 남아있다. 한반도 옛 모습 그대로다.

245

한국인들이 남쪽에서 순례 삼아 등반하는 중요하기는 하지만 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생물권 보

전지역은 북쪽 구간과 함께 전체 유기체를 모두 포함해야 한 다. 그렇게 해야 하지 않을까? 한반도인들은 지리적, 영적 측

면으로 백두대간이 제공하는 모든 것을 인정해왔다. 지금은 양 측 지도자도 이에 동참했다. 백두대간이 한반도의 재교류를 결 속하는 문장에 가까울 정도의 상징이라면, 이런 측면도 지정을

위한 한 가지 기준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백두대간을 한반 도 국립 등산로로 개방하자! 한반도인과 외국인 모두 백두에서

지리까지, 그리고 한라산까지 등산할 수 있도록 허용하자. 재 교류를 향한 영적 순례를 완성하자. 그것이 바로 나의 소망이다. 로저 셰퍼드



Major Publications Baekdu Daegan Trail: Hiking Korea’s Mountain Spine (2010) Baekdu Daegan Korea: Mountains of North & South Korea (2013) Baekdu Daegan Korea: Mountains of North & South Korea, Liberation Day Edition (2015) Baekdu Daegan: Hiking Korea’s Mountain Spine (2017) Baekdu Daegan North Korea: Mountains, Villages & People (2018) Major Photo Exhibitions Seoul 서울 2009/09 – Korea Tourism Organisation 대한관광공사 Seoul 서울 2011/12 – Korea Forest Service 산림청 New Zealand 뉴질랜드 2012/03 – Korea Forest Service 산림청 Pyongyang 평양 2013/08 – Paektu–Halla Motorcycle Expedition 백두-한라 모터사이클 원정 Seoul 서울 2013/10 – Woljeon Art & Culture Foundation 월전미술문화재단 Seoul 서울 2014/11 – National Assembly with Korea Forest Service 대한민국 국회(산림청 주최) Pyongyang 평양 2015/08 – 70th Liberation Day Anniv. 조국 해방의 날 70주년 기념 Seoul 서울 2015/10 – 70th Liberation Day Anniv. with Ministry of Unification 광복절 70주년 기념(통일부 주최) Cheonan 천안 2016/08 – Cheonan City Hall 천안 시청 Japan 일본 2016/09 – Otani University, Kyoto 교토 오타니 대학교 Gimpo 김포 2016/11 & 2017/11 – Gimpo City Hall 김포 시청 Pyongyang 평양 2017/08 – Int Festival in Praise of the Great Persons of Paektu–san 백두산 위인 칭송 국제축전 Seoul 서울 2017/12 – Seoul Museum of Art 서울시립미술관

BAEKDU DAEGAN NORTH KOREA Mountains, Villages & People.

북한의 백두대간 산과 마을과 사람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ublished by HIKEKOREA

펴낸곳: HIKEKOREA

Author: Roger Shepherd

지은이: Roger Shepherd

Translator: Kang Euigoo

옮긴이: 강의구

Photography: Roger Shepherd

사진: Roger Shepherd

Map: Roger Shepherd

지도: Roger Shepherd

Cover Artwork: Chloè Lefort

표지 그림: Chloè Lefort

Layout Design: Pavel Cardenas Mendez & Roger Shepherd

편집 디자인: Pavel Cardenas Mendez, Roger Shepherd 교정: Robert Perron, David A. Mason & 전혜정

Proofreaders: Robert Perron, David A. Mason & Stella Jeon ©2018Roger Shepherd

©2018로저셰퍼드

ISBN: 979-11-962069-1-8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