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약용버섯 이야기(25): 선녀낙엽버섯

default_news_ad1

선녀낙엽버섯은 맛 좋은 식용버섯이자 피부미용, 항종양, 항균 작용 외에도 한방 관절약의 원료이다.

 

www.jadam.kr 2013-04-27 [ 최종수 ]
선녀낙엽버섯 4송이

 

Marasmius oreades(Bolt.) Fr. 영어속명 Fairy Ring Mushroom

 

Marasmius라는 속명(屬名)은 그리스어로 “말라죽은, 시든”상태를 뜻하는 말로 비 온 뒤 다시 살아나는 이 버섯의 능력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oreades라는 종명(種名)은 “산에서 돋는”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온 이름이지만, 실은 이 버섯이 산에서 돋는다고 하기보다 초지나 잔디, 골프장 등 풀밭 위에 둥그런 균환(菌環 fairy ring)을 이루며 돋기 때문에 정확하게 그 돋는 곳을 지적해 주지 못하는 이름이다. 영어속명 Fairy Ring Mushroom이라는 이름은 이 버섯이 흔히 풀밭 위에 둥그런 균환을 이루며 돋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물론 균환을 이루며 돋는 버섯은 이 선녀낙엽버섯 말고도 여러 다른 버섯들이 있다. 이 영어속명이나 한국어 이름 선녀낙엽버섯이라는 이름 속에는 신화나 전설 같은 내용이 담겨 있는 동화나 민담 때문인데 달밤에 난쟁이 요정들이 나와 둥글게 손잡고 춤을 춘다는 이야기를 상상해 보시면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버섯이 균환을 이루며 돋는 이유는 버섯의 균사가 동심원을 그리며 뻗어나가는 끝자락에서 버섯이 돋기 때문이다. 균사는 해마다 점점 더 크게 동심원을 그리며 뻗어나가는 관계로 그 균환의 크기도 점 점 더 크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캐나다 알버타(Alberta) 주 매니베리스(Manyberries)근처에서 1969년에 발견된 균환은 지름이 1000ft(약 3300m)나 되고 그 나이가 적어도 700년이나 되었다고 하니 놀랍다. 버섯의 균사가 일 년에 약 12에서 13cm씩 자란다고 하니 나이가 700살이라고 하면 그 크기가 얼마나 클지 상상해보시기 바란다. 여러 낙엽버섯류는 솔잎에서 발견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토마토 등에서 발견되는 물질로 항암, 심장질환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짐)인 탁시폴린 배당체(配糖體) (taxifolin glycoside) 의 영향으로 더 빨리 자라도록 자극을 준다고 한다.

 

 

www.jadam.kr 2013-04-27 [ 최종수 ]
역시 선녀낙엽버섯 주룸살 모습도 볼 수 있다.

 

선녀낙엽버섯은 초지를 좋아하여 여름이면 인가 근처 잔디 위에도 많이 돋기 때문에 잔디 관리하는 사람이 제거하려 하여도 쉽지 않다. 이 글을 쓰는 사람의 집 잔디 위에도 해마다 여름 소나기 온 뒤에 여기 저기 돋아 위의 사진들은 주로 집 주변 잔디 위에서 발견되는 것들을 촬영한 것이다. 맛있는 식용버섯이기 때문에 애써 제거하려하기 보다 잔디에 화학비료나 살충제 또는 제초제를 살포하지 않았다면 채취하여 식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과식하거나 생식하면 위장장애도 올 수 있어 주의하여야 한다. 신선한 것은 물론 말린 것도 그 맛이 좋아 버터로 조리하면 향기로운 참나무 냄새를 더해준다고 한다. 그 크기에 비하여 그 맛과 향이 좋아 말려서 가루로 만들어 과자를 굽거나 쑵을 끓일 때 넣어도 좋다고 한다.

 

선녀낙엽버섯에는 시안화 수소산(hydrocyanic acid)이 들어 있어서 아주 향기로운 알몬드 냄새를 낸다. 이 성분은 휘발성이 강한 성분으로 버섯을 조리할 때 발산하는 것을 흡입하여도 인체에 해롭지 않다. 그래서 이 버섯을 저장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냉동하거나 섭씨 70도 열로 건조하는 방법이 좋다. 말릴 때에는 실에 꿰어 말리거나 최근 등장한 건조기를 사용하여 말려도 좋을 것이다.

 

 

www.jadam.kr 2013-04-27 [ 최종수 ]
이 선녀낙엽버섯도 집 옆 잔디 위에 돋은 것이다.

 

민담에 얽힌 선녀낙엽버섯의 균환(菌環)

 

독일에서는 균환(fairy rings)을 hexen rings라고 부르는데 hexen이란 “마녀”를 뜻한다. 5월 제(祭 May Day) 전날 밤 옛 이교 마녀들이 술을 마시고 흥청망청 떠들며 둥글게 손에 손을 잡고 춤을 추었다고 전한다. 다른 전설에 따르면 균환은 벼락이 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하는가 하면 또 다른 전설은 균환은 보물들이 묻혀있는 곳으로 오직 요정이나 마녀의 도움으로만 찾아낼 수 있다고 한다. 프랑스에서는 “마술사의 고리”(ronds de sorcieres)라고 하여 성스러운 고리로서 퉁방울눈을 가진 두꺼비가 나타나는 곳이라고 한다.

 

서부 오스트리아와 북부 이탈리아에 걸쳐 있는 알프스 산맥 가운데 한 지방인 티롤(Tyrol)에서는 균환이 용의 뜨거운 숨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믿었고, 아일랜드에서는 악마가 버터를 만들 때 엎질러진 우유가 만들어 낸 것이라고 믿었다. 또 유럽 어느 지방에서는 균환이 난쟁이 요정의 침이나 오줌 또는 정액이 만들어 낸 것이라고 한다. 북미 인디언의 한 부족은 균환이 버펄로의 춤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믿는다. 이렇게 선녀낙엽버섯에 온갖 전설이 많이 얽혀 있는 갓은 아마도 이 버섯이 천둥치고 큰 소나기 많이 내린 다음 하루 밤사이에 풀밭 위에 둥그렇게 균환을 이루고 돋아 있는 것을 보고 신기하게 여긴 때문인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선녀낙엽버섯의 전통 의학적 사용

 

유럽에서는 젊은 여성이 얼굴 피부의 색깔을 개선하기 위하여 균환 써클 안에 있는 이슬을 받아 사용하였다고 한다. 또 이 이슬은 사랑하는 이를 매혹하는 데에도 유용하다고 믿었으나 만일 마법에 걸렸을 때 이 이슬을 얼굴에 바르면 오히려 미관을 손상하는 것으로 믿기도 하였다.

 

중국 전통의학에서 선녀낙엽버섯은 요퇴동통(腰腿疼痛)과 수족마비, 근락불괄(筋絡不适)을 치료하는 서근산(舒筋散 Tendon Easing Powder)의 원료, 다시 말하면 다리와 힘줄의 통증을 치료하는 관절약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www.jadam.kr 2013-04-27 [ 최종수 ]
선녀낙엽버섯 4송이

 

현대 의학적 사용

 

선녀낙엽버섯에는 에고스테롤(egosterol)의 한 전구체(前驅體 a precursor)인 4, 4-dimethyl-5 alpha-egosta-8, 24(28)-dien-3 beta-ol; 항균 및 식물독소 성분인agrocybin과 drimane sesquiterpene; A형 혈액형에 특이 반응을 보이는 렉틴(lectin); 식물염기 알칼로이드(alkaloid); 향기로운 알몬드 냄새를 내는 성분인 시안화 수소산(hydrocyanic acid)가 들어 있다.

 

선녀낙엽버섯을 액체 배양(液體培養) 하면 sesquiterpenes marasmone, anhydromarasmone, isomarasmone, dihydromarasmone를 추출해 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norsesquiterpenes o-formyloreadone와 3 alpha hydoxy oreadone, 그리고 dehydrooreadone를 추출해 낼 수 있다. 또 렉틴(lectin)은 사람 B형 혈액형에 반응을 보이는 성분으로 신장 혈전증 미세혈관 장애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선녀낙엽버섯은 NFkappa B 활성 경로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데, 이 현상은 암 치료에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한다. 또 항 증식 및 세포자멸 효과도 입증되고 있다.

 

 

www.jadam.kr 2013-04-27 [ 최종수 ]
마늘낙엽버섯. 맛을 보려고 조금 떼어 입에 넣고 씹어보니 진한 마늘냄새가 난다. 마늘 대용으로 쓸 수 있는 버섯이다.

 

낙엽버섯류 가운데 하나인 마늘낙엽버섯(Marasmius scorodinus)은 마늘 냄새가 강하게 나는 버섯인데 scorodinin이라는 항생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또 연잎낙엽버섯(Marasmius androsaceus)에는 marasmic acid라는 항균 항염 작용을 하는 성분이 들어 있다. @

 

참고문헌: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281-285.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204-205쪽.

 

기사입력시간 : 2013-04-27 09:48:09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기사 댓글과 답글 1
전체보기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