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버섯과 민달팽이

default_news_ad1

야생버섯의 신비(88)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빨간 무당버섯을 거의 다 먹은 민달팽이

 

우리나라에서 통용되는 식-독버섯 판별방법을 알려주는 속설 가운데 곤충이나 벌레가 먹은 것은 식용버섯이고, 반대로 곤충이나 벌레가 먹지 않는 것은 독버섯이라는 것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산야에서 많은 버섯들을 관찰해 보면 곤충이나 벌레가 식용버섯은 물론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독버섯도 먹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곤충이나 벌레는 물론 다람쥐와 노루 등 동물들도 똑같이 식용-독버섯을 가리지 않고 먹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오늘은 특히 벌레 가운데 민달팽이와 버섯의 관계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우리가 잘 아는 대로 채소농사를 짓는 분들에게 민달팽이는 아주 귀찮은 존재가 아닌가 한다.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빨간 그물버섯의 대와 갓이 민달팽이가 먹어 손상되어 있다.

 

버섯 사진을 찍는 사람들에게 민달팽이가 먹어 이미 손상된 버섯을 만나면 눈살부터 찌푸리게 되고, 반대로 민달팽이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버섯에 관심이 없다. 이러한 연유로 그동안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소홀하였다. 그런데 최근에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어떤 종류의 민달팽이가 어떤 종류의 버섯들을 즐겨 먹는지, 또는 왜 어떤 종류의 버섯들은 민달팽이가 기피하는지 등 여러모로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다. 1920년대로부터 최근까지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들은 대체로 민달팽이의 먹이가 무엇이냐, 곧 어떤 종류의 버섯을 먹느냐 하는 것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에 대한 관심은 민달팽이의 먹이 선호에 관한 것 그 이상이다.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담갈색무당버섯 위에 있는 민달팽이

 

버섯은 주로 바람에 날려 보냄으로써 그 포자를 분산시킨다. 그러나 동물 역시 그 포자 분산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송로버섯(truffle)이나 땅속에서 돋는 버섯은 작은 포유동물들이 그 포자를 분산시켜준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 밖에도 곤충이나 절지동물(arthropods)이 버섯의 포자를 분산시키기도 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절지동물을 포함한 무척추동물(invertebrates)이 토양에 서식하는 버섯인 Tomentella sublilacina와 같은 버섯을 먹고 그 배설물을 통하여 포자를 분산시키거나 자기 몸의 외피(피부)에 포자를 묻혀 가지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분산시킨다고 한다. 그런데 민달팽이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민달팽이가 버섯을 먹는다는 것은 알고 있어도, 민달팽이가 버섯의 포자를 분산시키는 일에 관여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연구하지 못하였다.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끈적버섯류 위에 있는 민달팽이

 

1998년에 가서야 오직 한 분이 북미 서쪽 태평양 연안 지방에서 서식하는 노란 민달팽이(Ariolimax columbianus, 영어속명 banana slug)의 배설물에서 무당버섯류(Russula), 갈색의 잣뽕나무버섯(Armillaria ostoyae), 사마귀버섯(Thelepora terrestris), 비단그물버섯류(Suillus), 마개버섯류(Gomphidius), 그리고 끈적버섯류(Cortinarius)의 포자를 발견하였다. 또 이에 앞서 1984년에 두 학자가 배설물을 통한 포자 분산인지 아니면 몸에 포자를 묻혀 분산시키는지는 분명히 밝히지 못했지만, 민달팽이(Lehmannia marginata)가 밤나무줄기마름병 곰팡이(Endothia parasitica)를 분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역시 끈적버섯류 주름 위에 있는 민달팽이

 

실제로 많은 버섯류나 아니면 균류가 포자를 분산시켜주는 생물체들을 유인하거나 아니면 반대로 자실체의 손상 위협이 되는 생물체들을 쫓아버리는 방어기작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은 놀랄 일도 아니다. 버섯을 좋아하는 민달팽이가 버섯에 매력을 느끼게 만드는 기작(mechanism)이 어떤 것인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오직 우리가 아는 것은 버섯이 곤충을 유인하는 화학물질을 분비한다는 것과 민달팽이의 후각이 잘 발달되어 있다는 사실 뿐이다. 또 민달팽이가 아무 탈 없이 사람을 포함한 다른 동물들, 이를테면 개, 고양이, 말 같은 동물들에게 치명적인 독버섯을 먹는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 어떻게 다른 동물들에게 치명적인 독버섯을 먹고도 무사하게 만들어주는 민달팽이의 기작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노루가 독버섯 할로윈호박색화경버섯(임시이름)Jack-O-Lantern을 먹은 흔적이 보인다.여기 저기 버섯 부스러기가 널려 있다.

 

무척추동물 가운데 과실이나 채소의 해충인 과실파리(Drosophila, fruit flies)는 버섯을 먹는데 특히 인간에게 치명적인 아마톡신 독성에 놀라울 정도의 내성을 가지고 잇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 척추동물 가운데 사슴도 맹독버섯인 독우산광대버섯(Amanita virosa)이나 흰알광대버섯(Amanita verna)을 먹고도 중독되지 않는 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글을 쓰는 사람도 치명적 독버섯은 아니더라도 독성이 강한 할로윈호박색화경버섯(임시이름 Omphalotus illudens, Jack-O-Lantern)은 물론 생으로 먹으면 중독된다는 뽕나무버섯을 먹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반추동물들도 다른 동물들 보다 독버섯에 내성이 강하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다. 창자 안의 효소가 아니라 동물의 창자 안에서 공생하는 미생물이 반추동물의 소화기관 안에서 독버섯의 독성을 해독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어쩌면 민달팽이가 독버섯에 중독되지 않는 것도 이와 비슷하게 민달팽이의 소화기관 안에서 공생하는 미생물의 해독작용 때문이 아닐까?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흰 버섯 위의 노란민달팽이(Banana Slug?)

 

실험실 환경에서 민달팽이에게 해롭다고 여겨지는 버섯들을 먹여 볼 수 있다. 그 결과 민달팽이가 말뚝버섯(Phallus impudicus)를 탐식하였는데 그 뒤 곧 죽어버렸다. 사람에게 치명적인 독버섯을 먹고도 무사했던 민달팽이가 어떤 버섯에 대해서는 기피현상을 보인 것이다. 노란 민달팽이가 어떤 버섯은 좋아하고 어떤 버섯은 싫어한다는 것이 밝혀진 것은 1980년 Richter라는 사람의 연구 결과였다. 그 뒤 Roberts(1998)라는 학자가 노란 민달팽이가 아예 먹지 않거나 기피하는 버섯들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기피현상을 보인 버섯들은 땀버섯류(Inocybe), Telamonia, 졸각버섯류(Laccaria), 애기버섯류(Collybia), 낙엽버섯류(Marasmius), 볏싸리버섯류(Clavulina), 혓바늘목이류(Pseudohydnum)< 그리고 무자갈버섯(Helbeloma crustuliniforme) 등이다. 최근에는 송이(Tricholoma magnivelare), 그늘버섯(Clitopilus prunulus), 끝말림깔때기버섯(Clitocybe flaccida) 등 세 종류의 버섯에서 노란 민달팽이를 쫓거나 기피하게 만드는 화학물질이 분비되는 것이 밝혀졌다. 다른 종류의 민달팽이들도 비슷하게 버섯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로 말미암아 기피현상을 보일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전부이다. 그리고 현재까지 이러한 관계를 자연 환경 조건에서 연구 설명한 것은 하나도 없다. 이러한 사실과 크게 대조되는 것은 버섯을 해치는 곤충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는 점이다.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느타리버섯을 먹는 민달팽이

 

최근에 캐나다 동해안에 있는 뉴펀들랜드(Newfoudland and Labrador)지역에서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를 좀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 지역에는 대체로 8종류의 민달팽이가 있는데 오직 한 종류만 토종이고 다른 7종은 오랜 세월에 걸쳐 유럽에서 건너 온 것이라고 한다. 한 편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버섯의 종류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 해마다 이 지역에서 버섯을 채집하고 있기 때문이다. 2008년 현재 956종의 버섯을 발견하였고 해마다 늘어 현재는 아마 1000종을 넘어섰을 것이다.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노란 민달팽이(Banana Slug?)

 

연구방법은 그 지역에서 촬영된 버섯 사진들 가운데 민달팽이가 찍힌 사진들을 골라내고, 같은 방법으로 민달팽이의 사진들 가운데 버섯과 함께 촬영된 것을 골라내었다. 그 결과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진은 모두 54장이었고, 그 시진에서 6종류의 민달팽이가 43종의 버섯과 관련되어 있었다. 그런데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촬영된 사진은 몇 장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버섯 사진을 촬영하는 사람은 흔히 민달팽이가 먹어서 손상된 버섯사진을 촬영하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나마도 버섯에 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찍은 것들이어서, 민달팽이의 종류를 알아내는 데는 별 소용이 없었다. 주로 버섯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민달팽이는 초점 밖의 영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여서 민달팽이 사진들은 대부분 민달팽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버섯의 종류를 알아내기가 어려웠다. 사진 상으로 버섯의 종류와 민달팽이의 종류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일이 어렵지만, 그래도 민달팽이와 버섯의 관계를 알아내는 일에 사진이 매우 유용하다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진 조사로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통찰을 얻을 수 있다. 말하자면 어떤 종류의 민달팽이가 어떤 종류의 버섯을 선호하는 지에 대한 정보이다. 또 어떤 종류의 민달팽이가 버섯보다는 주로 농산물에 폐해를 끼치는지도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민달팽이들은 버섯 사진에 전혀 등장하지 않고 주로 인간 생활환경 주변에 서식하면서 농산물을 먹고 살기 때문에 버섯과는 거의 무관한 것이다.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꾀꼬리버섯 위에 있는 민달팽이

 

또 버섯에 대하여 알게 된 중요한 사실은 그 지역에서 버섯 채집행사가 있을 때마다 쉽게 발견되는 졸각버섯(Laccaria laccata)과 밀버섯(이전 이름 애기버섯) Gymnopus dryophilus 두 종류의 버섯이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목록에 빠져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 밖의 다른 흔한 버섯들도 빠져있는 것을 보아서 그러한 버섯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민달팽이를 쫓아버리는 방어기작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 동안 밝혀진 사실은 민달팽이가 선호하는 버섯이 따로 있다는 점이며 민달팽이가 선호한다하여 그 버섯이 많아서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 목록에 빠진 버섯들 가운데 놀라운 것은 꾀꼬리버섯(Cantharellus cibarius), 뿔나팔버섯속의 Craterellus tubaeformis, 턱수염버섯 (Hydnum repandum)과 오목턱수염버섯(임시이름) Hydnum umbilicatum 같은 맛 좋은 식용버섯들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맛좋은 식용버섯을 민달팽이가 건드리지 않는 것은 틀림없이 이 버섯에 민달팽이를 쫓는 어떤 보호기작(protective mechanisms)이 있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 점을 더 밝혀보는 노력이 필요한 것은 지역에 따라 꾀꼬리버섯을 먹는 민달팽이가 있기 때문이다. 또 좀 더 연구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은 외래종 민달팽이와 재래종 민달팽이가 재래종 버섯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이름몰라 버섯을 먹고 있는 달팽이

 

이미 노란 민달팽이가 송이를 기피한다는 것에 관해서는 ‘송이 맛의 화학성분과 그 비밀: 야생버섯의 신비(42)“라는 글과 “송이향에서 충기피제의 가능성이 보인다: 야생버섯의 신비(52)”는 글에서 자세히 밝힌 바 있다. 송이의 균사체와 자실체에서 발견되는 두 가지 휘발성 물질, 즉 계피산메틸(methyl cinnamate)이라고 하는 향기 성분과 전형적인 버섯 냄새를 내는 버섯 알코올(1-octen-3-ol, mushroom alcohol)이라는 두 가지 성분이 민달팽이를 쫓아버린다. 앞으로 버섯과 민달팽이의 관계를 더 깊이 연구한다면 민달팽이가 기피하는 버섯들의 비밀을 알아냄으로써 충기피제의 가능성을 더욱 높여주어 채소농사 짓는 분들에게 기쁜 소식이 될 것이다. @

 

 

www.jadam.kr 2010-09-16 [ 최종수 ]
버섯을 먹고 있는 노래기 떼

 

참고문헌:

 

John E. Maunder and Andrus J. Voitk, "What We Don't Know About Slugs & Mushrooms!" in Fungi, Volume 3:3 Summer 2010, pp. 36-44. 더 깊이 연구하실 분들은 이 글 말미에 있는 참고문헌 목록을 보시면 좋을 것 같다.

 

기사입력시간 : 2010-09-16 09:28:09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종수#버섯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