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약용버섯 이야기(159): 항암작용을 가진 버섯 모음(그 첫째)

default_news_ad1
약용버섯 이야기(159): 항암작용을 가진 버섯 모음(그 첫째)


1. 이끼볏짚버섯 Agrocybe paludosa(J. Lange) Kuen. & Romagn.
 
이끼볏짚버섯. 이 사진은 구글검색에서 commons.wikimedia.org로부터 빌려 온 것이다.
갓은 1.5-4cm 크기를 가지고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해 지고 때때로 넓은 동출부를 가진다. 엷은 회색 색조를 가진 윤기없는 황갈색이고 습기 있을 때 습윤성의 매끄러운 갓을 가진다. 건조하면 주름이 진다. 조직(살)은 얇고 단단하며 창백 한 색깔이다. 주름살은 대에 완전 붙어 있고 촘촘하다. 처음에 엷은 갈색이다가 차차 성숙하면서 칙칙한 갈색이 된다.

대는 1.5-4cm 길이에 2-3mm의 굵기를 가지고 허연색이고 매끄러우며아래 위 굵기가 비슷하고 막질의 허연색 턱받이가 치붙어 있다. 대의 조직은 허연색이고 단단하고 속이 비어 있다. 포자색은 갈색이다. 밀가루 냄새가 나고 맛은 특이한 것이 없다. 식용할 수 없다.

늦봄에서 여름에 걸쳐 습지 들판과 홍수가 자주 나는 지역 땅위에 그룹을 이루거나 균환을 이루며 돋는다. 자주 돋지는 않는다.

의약적 성분과 항종양 효과

1973년 일본의 Ohtsuka 등은 이끼볏짚버섯의 균사체 배양에서 추출한 다당류(polysaccharides)를 흰쥐의 복강 안에 300 mg/kg을 주입하였더니 Sarcoma 180 암에 대하여 90%, Ehrlich 복수암에 대하여 100%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Ohtsuka et al., 1973).

자료출처: http://healing-mushrooms.net/archives/agrocybe-paludosa.html
* Ohtsuka S, Ueno S, Yoshikumi C, Hirose F, Ohmura Y, Wada T, Fujii T, Takahashi E. Polysaccharides having an anticarcinogenic effect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m from species of Basidiomycetes. UK Patent 1331513, 26 September 1973.

박완희, 한국 약용버섯도감, 2003 재판, 33쪽.

 
2. 자주국수버섯 Alloclavaria purpurea(Fr.) Dent. & McL.
영어이름 Purple coral

 
자주국수버섯. 이 사진은 구글검색에서 commons.wikimedia.org로부터 재사용가능한 것을 빌려 온 것이다.
자실체는 그 크기가 다양하고 15cm 높이까지 자라고 2-8mm의 굵기를 가진 가늘고 긴 방추상의 버섯으로 흔히 10여개씩 모여서 다발로 돋는다. 가지를 치지는 않고 흔히 한쪽이 납작하거나 홈이 패여 있고 꼬부라지거나 꼬여있기도 하다. 색깔도 다양하여 자주색, 갈색 또는 연기색(거무칙칙한 색)을 가지고 있고 노균이 되면서 퇴색한다. 기부에 흰색 균사체가 있고 조직은 잘 부서지며 흰색 또는 자주색이다. 맛과 냄새는 순하다. 봄에서 이른 가을까지 침엽수림 땅위에 흔히 이끼 위에 무리를 이루어 돋거나 다발로 돋는다. 식용가능하나 채집 량이 적어 식용가치는 없다.

자주국수버섯의 항암 효과

역시 1973년 일본의 Ohtsuka 등은 지주국수버섯의 균사체 배양에서 추출한 다당류(polysaccharides)를 흰쥐의 복강 안에 300 mg/kg을 주입하였더니 Sarcoma 180 암에 대하여 80%, Ehrlich 복수암에 대하여 70%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Ohtsuka et al., 1973).

자료출처: http://healing-mushrooms.net/archives/alloclavaria-purpurea.html
* Ohtsuka S, Ueno S, Yoshikumi C, Hirose F, Ohmura Y, Wada T, Fujii T, Takahashi E. Polysaccharides having an anticarcinogenic effect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m from species of Basidiomycetes. UK Patent 1331513, 26 September 1973.


3. 유황주름구멍버섯 Antrodia xantha(Fr.) Ryv.
 
유황주름구멍버섯. 사진 commons.wikimedia.org에서 빌려 온 것
자실체는 크림색 같은 누런색이고 퍼져가며 외피를 형성하거나 말굽처럼 생긴 배착성 버섯이다. 포자를 형성하는 자실층은 개개의 선반 같은 돌출부 사이에 갈가리 찢긴 수직 열상이다. 자실체의 윗 표면은 엷은 크림색에서 엷은 밀짚 노란색이고 조직은 허연색고 습할 대에는 부드럽지만 건조하면 백악질(chalky)이다. 냄새는 달콤하지만 맛은 쓰다. 관공은 같은 색이고 작으며 반원 또는 각이져 있고 열상이며 수직으로 노츨되어 있다. 일년생이고 죽은 침엽수 그루터기 수직 표면에 층을 이루고 불규칙하게 겹쳐 돋는다.

유황주름구멍버섯의 항종양 및 종양기인성 혈관형성 억제작용

항종양 작용 Antiangiogenic (antitumor) effects

종양이 자랄 때 증대한 활성산소종은 혈관 형성 반응을 유발하기 위하여 종양 침윤성 백혈구를 활성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종양 기인성 혈관 형성 억제제를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혈관 증식을 지연시키는 것은 암 화학 요법의 중요한 국면이다. 한 연구에서 유황주름구멍버섯으로부터 추출한 다당류가 내피세포(ECs=endothelial cells)안의 혈관내피성장인자(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로 유발된 혈관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화학성분 분석에 따르면 이 버섯에서 추출한 다당류는 여러 중성 당분들, 그러니까 마오이노시틀(myo-inositol), 소르비톨(sorbitol, 마가목 따위의 과즙에 함유됨; 설탕 대용품으로 당뇨병 환자용), 푸코스(fucose), 갈락토사민(galactosamine), 글루코사민(glucosamine), 갈락토스(galactose), 글루코스(glucose), 그리고 만노오스(mannose)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유황주름구멍버섯의 단당류인 푸코스, 글루코스, 그리고 만노오스는 신혈관형성에 대한 엄청난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유황주름구멍버섯의 다당류는 이미 상품화한 A. murrill (Brazilian mushroom)과 A. cinnamomea에서 추출한 다당류 보다 훨신 더 강력한 신혈관형성억제제임이 밝혀진 것이다. (Chen et al., 2005).

자료출처: http://healing-mushrooms.net/archives/antrodia-xantha.html
* Chen SC, Lu MK, Cheng JJ, Wang DL.Antiangiogenic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medicinal fungi. FEMS Microbiology Letters. 2005, 249(2):247-54.

 
4. 소똥버섯 Bolbitius titubans(Bull.) Fr. =Bolbitius variicolor Atk. 영어이름 Yellow Bolbitius
 
소똥버섯
갓은 1-3cm 크기의 넓게 퍼진 둥근 산 모양이거나 종(鐘)모양의 갓을 가지고 있다. 흔히 갓 중앙에 둥근 돌출부(knob)가 솟아 있고 그 색이 더 짙다. 유균일 때에는 황연(黃鉛 chrome-yellow)색이다가 차차 퇴색하고 특히 갓 가장자리의 색이 퇴색한다. 갓 표면은 매끄럽고, 넓게 퍼진 원추형이고 어릴 때에는 점성이 있으나 건조하면 광택이 나고 갓 가장자리에 굴곡은 없으나 방사상의 줄무늬가 있다. 조직은 누런색이고 아주 얇다. 주름살은 대에 끝붙은형이거나 떨어져 있고 처음에 담황색이다가 차차 녹슨 갈색으로 된다.

대는 3-9 길이 x 0.2-0.4cm 굵기를 가지고 원통형이고 흰색 또는 엷은 노란색이고 속은 비어 있으며 미세한 밀가루 덮인 듯 하며 기부에 흰색의 아주 미세한 털이 있다. 포자색은 녹슨 갈색이다. 초 여름과 가을에 쇠똥이나 거름을 준 땅위에 또는 퇴비더미나 비옥한 땅 위 풀밭이나 말이 다니는 길 위에 여기저기 산생 또는 그룹으로 또는 다발로 돋는다. 위의 버섯은 공원 나무 지저깨비 멀칭한 곳에서 발견하였다. 흔한 편이다.

특히 도시 공원에 흔하게 돋는 버섯이다. 얼핏 보면 얇아서 먹물버섯으로 오인하기 쉽다. 소똥버섯속의 버섯들은 독성이 없으나 식용불명이거나 또는 작고 얇아서 식용가치가 별로 없다.

소똥버섯의 항암작용

역시 1973년 일본의 Ohtsuka 등은 소똥버섯의 균사체 배양에서 추출한 다당류(polysaccharides)를 흰쥐의 복강 안에 300 mg/kg을 주입하였더니 Sarcoma 180 암에 대하여 60%, Ehrlich 복수암에 대하여 60%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Ohtsuka et al., 1973).

자료출처: http://healing-mushrooms.net/archives/bolbitius-variicolor.html
* Ohtsuka S, Ueno S, Yoshikumi C, Hirose F, Ohmura Y, Wada T, Fujii T, Takahashi E. Polysaccharides having an anticarcinogenic effect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m from species of Basidiomycetes. UK Patent 1331513, 26 September 1973.

 
5. 굴뚝버섯 Boletopsis leucomelaena(Pers.) Fayod
영어이름 Black Falsebolete

 
굴뚝버섯. 사진출처. commons.wikimedia.org
갓은 5-15cm 크기를 가지고 둥근 산 모양이고 넓게 굴곡이 져있다. 갓 색깔은 올리브(황록색) 색조를 가진 회갈색이고 안으로 굽어있는 갓 가장자리는 거의 허연색이다. 표면은 매끄럽거나 약간 비늘모양이다. 건조하고 조직은 단단하며 흰색인데 관공 바로 위쪽은 더 짙은색이다. 관공의 길이는 7-10mm이다. 흰색에서 약간 올리브색이고 내림형이다.

대는 길이가 3-8cm, 너비가 1.5-3cm이다. 중심 또는 측심생이고 갈색 색조를 띈무딘 흰색이다. 반들반들하고 건조하며 조직은 처음에 흰색이다가 공기에 노출되면서 분홍색에서 암회색으로 변한다. 냄새는 특이한 것이 없고 맛은 순하거나 약간 쓴맛이 있다. 포자색은 흰색이다. 여름에서 이른 가을까지 침엽수림 솔가리 땅위에 홀로 돋거나 여러 개체가 모여 돋는다.

대(對)생물 활성 성분으로 다수 테르페닐(Terphenyls) 성분과 다수 렉틴(Lectins)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굴뚝버섯의 항암 효과

역시 1973년 일본의 Ohtsuka 등은 굴뚝버섯의 균사체 배양에서 추출한 다당류(polysaccharides)를 흰쥐의 복강 안에 300 mg/kg을 주입하였더니 Sarcoma 180 암에 대하여 80%, Ehrlich 복수암에 대하여 70%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Ohtsuka et al., 1973).

굴뚝버섯버섯의 렉틴 성분(BLL)은 인간 백혈병 세포 내 G2/M 세포 주기 정지(cell cycle arrest)를 유도한다. 이러한 효과는 p21/Waf1의 발현을 상향조절한 결과이고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진핵[眞核]생물의 세포질 속에 있는 호흡을 관장하는 소기관(小器官))로부터 동식물의 세포 안에서 호흡의 촉매 작용을 하는 물질인 시토크롬 C(cytochrome c)를 방출하여 세포질에 전달함으로써 셍기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굴뚝버섯의 렉틴성분으로 치료한 인간의 백혈병 U937 세포 안에 카스파제-9(caspase-9)의 활성화, 다시 말하면 세포궤멸(apoptosis)을 일으키는 효과를 낳는다. (Koyama et al., 2005).

자료출처: http://healing-mushrooms.net/archives/bolbitius-variicolor.html
* Ohtsuka S, Ueno S, Yoshikumi C, Hirose F, Ohmura Y, Wada T, Fujii T, Takahashi E. Polysaccharides having an anticarcinogenic effect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m from species of Basidiomycetes. UK Patent 1331513, 26 September 1973.

* Koyama Y, Suzuki T, Kajiya A, Isemura M., Involvement of G2/M cell cycle arrest and the mitochondrial pathway in Boletopsis leucomelaena (Pers.) Fayod (Agaricomycetideae) lectin-induced apoptosis of human leukemia U937 cells., Int J Med Mushr. 2005 7:201-212.

기사입력시간 : 2019-06-07 22:33:26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기사 댓글과 답글 1
전체보기
  • 사과마을 2020-03-09 07:25:17

    국수버섯 보았어요.
    항암효과가 좋군요 잘배워요 고맙습니다 사부님 ㅎ~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