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엄먹물버섯 무엇인가?

어린 유균일 때 식용버섯
&
술과 함께 복용하면 생명을 위협하는 두엄먹물버섯

 

 

 

 

 

 

 

 

 

 

[<<두엄먹물버섯이 먹물화가 되기 직전의 생장한 모습, 사진-출처: 약사모 회원 휴대폰 촬영>>]

▶ 항균 작용, 항암 작용, 소화를 돕는데, 가래를 제거하는데, 식용버섯[어린 유균일 때], 화상, 외용 항염제, 피부병, 종기[등창], 아픈 상처, 항암, 가래, 기침, 중독 증상<주의사항>[절대로 알코올음료와 먹으면 중독되어 악취 증상이 나타나 맥박이 빨라지고, 귀울림과 파행성오한이나 저혈압 및 마음의 불안 동요와 더불어 의식을 잃고 쓰러지게됨, 맛좋은 식용버섯인 먹물버섯 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코프린(coprine)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 코프린 성분이 바로 악취 중독증상을 일으키는 성분으로 알코올 대사를 방해하는 물질, 해독제는 없고 이러한 증상이 여러 시간 지속하다가 사라지게 됨, 심하면 입원해야 하기 때문에 야생 버섯 요리를 먹을 때 알코올음료와 함께 먹는 것을 삼가야함], 소화불량, 종기독, 창저, 위장을 이롭게 하는데, 잉크 및 먹물용, 페놀 제거 효과, 산업 폐수 처리에 유용하게 사용, 화담이기, 소종, 해독, 화담이기, 소종, 해독,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100%],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100%], 창저 다스리는 두엄먹물버섯

두엄먹물버섯은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두엄먹물버섯속의 버섯이다.

두엄먹물버섯의 학명은 <Coprinopsis atramentaria (Bull.) Redhead, Vilgalys & Moncalvo 2001>이다. 이명은 <Coprinus atramentarius (Bull.) Fr. 1838>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두엄, 정원, 공원, 밭, 풀밭, 썩은 나무 근처의 땅 위에 다발로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58cm로 달걀 모양이다가 원뿔 모양이나 종 모양으로 변하며 가운데가 작은 비늘껍질로 덮여 있다가 후에 거의 평편하고 미끌미끌해진다. 갓 표면은 흰색에서 회색 또는 엷은 회색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의 홈으로 된 줄과 주름이 있다. 주름은 처음에는 흰색이나 차차 자줏빛을 띤 회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고 액체로 변하여 마침내 버섯대만 남게 된다.

버섯대는 길이 약 15cm이고 아래쪽에 자루테가 남아 있기도 하며 흰색이다. 홀씨는 타원 모양으로 평편하고 미끄러우며 발아공이 있다. 어릴 때는 식용 가능하지만 자라면서 독성분인 '코프린(coprine)'을 함유하고 있어 술과 함께 먹으면 안면 홍조, 구토, 현기증, 두통, 심장 두근거림, 감각장애,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중독을 유발 증상은 버섯을 먹은 후 30분에서 5일 이내에 술이나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를 섭취하면 1시간 이내에 구토, 두통, 안면홍조, 감각장애,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버섯 섭취 후 3~5일 후에 술을 마셔도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한반도 전체와 일본, 중국 등 전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두엄먹물버섯의 여러 가지 이름은 묵즙귀산[墨汁鬼傘=mò zhī guǐ sǎn=꾸이VV, 귀개:鬼蓋, 귀산:鬼傘, 귀옥:鬼屋, 귀균:鬼菌, 조생지개:朝生地蓋, 지개:地盖, 지령:地苓: 백도백과(百度百科)], 히토요타케[ヒトヨタケ=一夜茸: 일문명(日文名)], Coprinopsis atramentaria (Bull.) Redhead, Vilgalys & Moncalvo 2001[학명(学名)], Coprinus atramentarius (Bull.) Fr. 1838[이(異)], 두엄흙물버섯, 두엄먹물버섯 등으로 부른다.

두엄먹물버섯의 자료와 관련하여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두엄먹물버섯

학명: Coprinopsis atramentaria (Bull.) Redhead, Vilgalys & Moncalvo 2001
이명:
Coprinus atramentarius (Bull.) Fr. 1838
분류체계:
Basidiomycota(담자균문)>Agaricomycetes(주름버섯강)>Agaricales(주름버섯목)>Psathyrellaceae(눈물버섯과)>Coprinopsis(두엄먹물버섯속)

개요

여름~가을철에 발생하며, 숲속 등산로나 정원 등에 군생함. 주로 아침에 발견되고 오후면 먹물처럼 녹아내리는 특징이 있음. 갓의 표면에 방사상의 선이 있으며, 주름살이 흰색에서 점차 검은색으로 변함. 대의 속은 비어있으며, 대기부쪽에 내피막의 일부가 불완전한 턱받이를 이루고 있음. 식용인 먹물버섯과 구별이 필요. 코프린(coprine)중독을 유발. 버섯을 먹은 후 30분에서 5일 이내에 술이나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를 섭취하면 1시간 이내에 구토, 두통, 안면홍조, 감각장애,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남. 음주 여부의 확인이 필수적임.]

두엄먹물버섯의 효능에 대해서 박완희, 이호득의 <원색 한국약용버섯도감> 제 80면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두엄먹물버섯

학명:
Coprinus atramentarius (Bull.) Fr.
중국명:
묵즙귀산(
墨汁鬼傘)
일본명:
히토요타케(ヒトヨタケ)

형태:
갓은 지름 3~8cm, 초기에는 난형이나 후에 종형 ~ 원추형이 된다. 갓 표면은 초기에는 회백색이나 후에 회갈색이 되고, 중앙부는 회황갈색이며 인편이 있고, 갓 둘레에는 방사상의 줄과 주름이 있다. 주름살은 끝붙은형이며 빽빽하고, 초기에는 백색이나 후에 자회색을 거쳐 흑색으로 변하여 갓 끝부터 액화 현상이 일어나서 대만 남게 된다. 대는 5~15x0.5~13cm로 속은 비어 있고, 표면은 백색이며, 대의 아래쪽에 내피막 흔적의 불완전한 턱받이가 있다. 포자는 8~12x4.5~6.5㎛로 타원형이고, 표면은 평활하고 발아공이 있으며, 포자문은 흑색이다.

[<<80면-왼쪽 1송이는 생장한 모습, 오른쪽 무리지어 올라온 것은 먹물화가 된 상태>>]

[<<81-1면-생장-1 어린버섯>>]

[<<
81-2면-생장-2 갓 끝부터 먹물화가 시작됨>>]

[<<
81-3면-생장-3>>]

[<<
82면-두엄먹물버섯, 부식질이 많은 풀밭에 속생~군생>>]

생태:
봄부터 가을까지 정원, 공원, 숲 속에 있는 활엽수의 고목 또는 부식된 나무 위나 목장, 화전, 부식질이 많은 밭 등 땅 위에 군생 또는 속생한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유럽, 북아메리가, 아프리카

식용 여부:
중국에서는 어린 버섯은 식용하나 악취(惡醉: 별로 술을 마시지 않았는데도 골치가 많이 아프고 몸이 불편해 견디기 어려워하는 일) 증상이 발생하므로 음주 전후에는 반드시 피하고, 삶아서 말렸다가 물에 우려 낸 다음에 요리한다.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효능:
익위장(益胃腸), 화담이기(化痰理氣), 소종(消腫), 해독(解毒) 61

성분:
유리 아미노산 28종 50, 미량 금속 원소 13종 50, glycerol, mannitol(그림 1), glucose, trehalose(그림 2) 50, coprine(악취, 독성분, 그림 17)

약리 작용:
항종양(Sarcoma 180/마우스, 억제율 100%), Ehrlich 복수암/마우스, 억제율 100%) 55, 59, disulfiram(antabuse)양 중독 증상 발현 57

적응증:
가래기침, 소화불량 59, 종기독, 창저(瘡疽): 외용으로 환부에 적당량을 바른다]

두엄먹물버섯의 효능과 관련하여 야생버섯애호가 최종수의 <약용버섯 이야기(50): 두엄먹물버섯(두엄흙물버섯)>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두엄먹물버섯(두엄흙물버섯)

약용버섯 이야기(50): 두엄먹물버섯(두엄흙물버섯)

두엄먹물버섯은 항암성이 높고 가래기침, 소화불량에 좋고 항염제로 피부병이나 종기 등 환부에 바르기도 하는 버섯이다.


[<<ⓒ www.jadam.kr 2014-06-18 [ 최종수 ],
두엄흙물버섯 Coprinopsis atramentaria(Bull.)Readh., Vilg. & Monc. =두엄먹물버섯 Coprinus atramentarius(Bull.) Fr.>>]

우리가 흔히 두엄먹물버섯이라고 부르던 버섯은 그 속이 다시 분류되어 흙물버섯속이 됨으로써 가장 최신 이름은 두엄흙물버섯이다. 이전 학명 가운데 Coprinus란 그리스어의 똥(dung)을 뜻하는 kopros에서 왔고 atra란 검다는 뜻이고 atramentum 은 잉크(먹물)을 뜻한다. 두엄흙물버섯은 흔히 길가에 많이 돋고 잔디밭에도 돋으며 돋자마자 곧 검게 되어 먹물을 만든다. 유균은 식용할 수 있고 단백질 21%, 지방 5.7%가 들어 있고 일루딘(illudins)을 포함하여 동물의 영양에 필요한 아미노산인 트립토판(tryptophan)과 이 트립토판의 분해로 얻어지는 염기의 일종인 트립타민(tryptamine)을 포함하고 있다. 식용버섯이지만 절대로 알코올음료와 먹으면 중독되어 악취(惡醉) 증상이 나타나 맥박이 빨라지고, 귀울림(耳鳴)과 파행성오한(爬行性惡寒)이나 저혈압 및 마음의 불안 동요와 더불어 의식을 잃고 쓰러지게 된다.

다른 일반 맛좋은 식용버섯인 먹물버섯(Coprinus comatus) 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코프린(coprine)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 코프린 성분이 바로 악취(惡醉) 중독증상을 일으키는 성분으로 알코올 대사를 방해하는 물질이다. 해독제는 없고 이러한 증상이 여러 시간 지속하다가 사라지게 된다. 심하면 입원해야 하기 때문에 야생 버섯 요리를 먹을 때 알코올음료와 함께 먹는 것을 삼가야 한다.


[<<ⓒ www.jadam.kr 2014-06-18 [ 최종수 ], 두엄흙물버섯 3송이>>]

두엄흙물버섯의 전통의학적 사용

스웨덴에서는 화상을 입었을 때 아픈 상처에 두엄흙물버섯을 바른다고 한다. 중국에서도 두엄흙물버섯은 그 맛은 달고 성미는 차다고 하여 역시 외용 항염제로 사용하여 피부병, 종기(등창)와 아픈 상처에 바른다고 한다. 그 뿐만 아니라 소화나 담을 줄이는 데 먹기도 하였다.


[<<ⓒ www.jadam.kr 2014-06-18 [ 최종수 ], 두엄흙물버섯 1송이>>]

현대의학적 사용

두엄흙물버섯은 항암성도 높아 sarcoma 180과 Ehrlich 복수암에 대한 100% 억제율을 보여주고 있다. 또 연구된 것을 보면 높은 함량의 에르고스테롤도 발견되었다. 그밖에도 박완희 교수에 따르면 유리아미노산 28종, 미량 금속원소 13종 외에도 글리세롤, 글루코스, 트레할로스 및 악취 성분인 코프린이 들어 있다. 적응증으로 가래기침, 소화불량, 종기독, 창저(瘡疽)에 좋고 외용으로 환부에 바른다고 한다. 그 효능은 위장을 이롭게 하고 화담이기(化痰理氣), 소종(消腫), 해독한다고 한다.


[<<ⓒ www.jadam.kr 2014-06-18 [ 최종수 ], 두엄흙물버섯이 먹물로 변한 모습>>]

그 밖의 두엄흙물버섯의 이용

약용 이외에도 두엄흙물버섯은 과거에 실제로 글을 쓰는 잉크(먹물)로 사용하였다. 정향(丁香 clove)과 뱀무속 식물인 아벤스(avens)와 함께 두엄흙물버섯을 끓이면 질 좋은 잉크(먹물)을 만 들 수 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먹물버섯류에 물에 녹여 소독제・방부제 등으로 쓰는 유독성 화학 물질인 페놀 처리에 값싸고 좋은 서양고추냉이 과산화효소(horseradish peroxidase) 대용 물질이 들어 있나 조사하였는데 일반 다른 식물 과산화효소 보다 더 광범위한 pH activity와 함께 페놀 제거 효과가 좋았다고 한다. 일본의 이께하다(Ikehata) 등은 2005년 먹물버섯류가 산업 폐수 처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

[참고문헌]

1-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105-109.

2-Christopher Hobbs, Medicinal Mushrooms: An Exploration of Tradition, Healing, & Culture, Loveland, Co.: Interweave Press, 1996(3rd Ed.), p. 191.

3-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80-82쪽.
]

참고사항으로 두엄먹물버섯과 비슷하게 생긴 갈색먹물버섯의 효능과 관련하여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7권 17면 300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정립귀산(晶粒鬼傘)

기원: 귀산과(鬼傘科=주름버섯과: Agaricaceae)식물인 정립귀산(晶粒鬼傘=갈색먹물버섯: Coprinus micaceus (Bull.) Fr.)의 자실체(子實體)이다.

형태: 갓은 어릴때에는 난형(卵形)이었다가 점차 종형(鐘形) 내지 원추형(圓錐形)을 나타내고 너비는 3∼5cm이며 높이는 2.5∼3.5cm이다. 갓표면은 계란껍질색 내지 황갈색(黃褐色)으로 초기에 운모상(雲母狀)의 작은 인편(鱗片)이 있었다가 후기에 점차 떨어져 나가며 가장자리에는 뚜렷한 융기무늬가 있는데 중부 근처에까지 이른다. 자루는 원주형(圓柱形)이며 길이가 4∼10cm이고 가운데가 비어 있다. 균육(菌肉)은 얇으며 담황색(淡黃色)이다. 주름살은 좁고 백색(白色)이며 점차 흑색(黑色)으로 변하며 나중에는 녹는다. 포자(胞子)는 암갈색(暗褐色)이고 타원형(橢圓形)이며 7∼9.5*4.5∼5.5cm이다. 낭상체(囊狀體)는 짧은 원주상(圓柱狀)으로 80∼200*40∼60마이크로m이다.



분포: 백양나무, 버드나무, 느릅나무 등의 기부 및 땅위근처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봄, 여름, 가을철에 거두어서 삶은 후 햇볕에 말린다.

주치: 암치료(癌治療).

부주: 동물실험에 의해서 이 균(菌)은 소백서육류(小白鼠肉瘤) S-180과 애씨암(艾氏癌)에 대해 억제율이 70%와 80%로 분별된다고 증명되었다.

참고문헌: 중국약용진균도감(中國藥用眞菌圖鑑), 313면.]

[<<버섯 염장법 및 분말 복용법>>]


1, <
소믈리에타임즈 2016.10.17>: <<몸신처럼 살아라, 뇌출혈과 기억력 개선에 좋은 '버섯' 활용, '버섯 염장법' 공개!

버섯에서 추출한 복합물, 시중에 시판되는 기억력 개선제보다 높은 효과 보여

16, 채널A ‘몸신처럼 살아라에서는 뇌출혈 후유증을 극복했다는 몸신 조숙자 씨가 출연해 뇌 건강에 좋은 음식 버섯 활용법을 공개했다.

뇌출혈 후유증 극복과 재발 방지를 위해 먹는 것까지 신경 쓴다는 조숙자 씨는 보여 줄 것이 있다며 냉장고에서 무언가를 꺼내 들었다. 바로 버섯 가루였다. 그녀는 표고버섯을 깨끗이 씻어 손질을 한 후 말려서 가루를 만들어도 좋고 어떤 음식을 해도 좋다며 뇌 건강에 좋다고 해서 꼭 챙겨 먹고 있다고 말했다.

윤진아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버섯에는 항빈혈인자인 엽산이 풍부하게 들어있는데 엽산은 비타민B군으로 적혈구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DNARNA의 합성에도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은 물론 세포가 새로 만들어질 때 없어서는 안 되는 성분이기도 하다며 특히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뇌 건강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라고 했다.


뇌 건강에 좋은 버섯 <사진=채널A '몸신처럼 살아라' 방송 캡처>

실제로 농촌진흥청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버섯에서 추출한 복합물이 기억력 개선의 효과를 보였으며 시중에 시판되는 기억력 개선제보다 높은 효과를 보였다고 한다.

방송에서 조숙자 씨는 가을 한 달 동안만 맛볼 수 있는 자연산 버섯을 오래 두고 먹는 방법을 공개했다. 바로 소금에 절여두는 버섯 염장법이다. 이렇게 하면 염장하는 과정에서 버섯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식감도 오래 살릴 수 있다고 한다.

[
버섯 염장법]

1.
끓는 물에 살짝 데친다.

2.
살짝 데친 후 찬물에 식힌 버섯의 물기를 빼고 유리 용기에 담는다.

3.
유리 용기 안에 소금을 먼저 깔고 버섯, 소금 순으로 층을 쌓는다.

4.
맨 위에 소금을 깔고 돌로 눌러준 후 데친 버섯 물을 부어준다.

조숙자 씨는 소금에 절인 버섯은 3일이 지나면 먹어도 되며, 겨우내 놔뒀다가 언제든 먹고 싶을 때 다시 찬물에 담가서 염분을 뺀 다음에 요리해서 먹으면 된다고 말했다.

버섯 가루의 경우 조숙자 씨 뇌 건강 밥상에 빠지지 않는 천연 조미료인데 찌개를 끓이거나 나물을 무칠 때, 심지어 밥을 지을 때도 활용한다고 한다.

소믈리에타임즈 박지은기자 ireporter@sommeliertimes.com.>>

2, <
한국농수산대학 교수 장현유>: <<버섯의 염장법:

소금으로 절이는 염장법은 가장 안전하고 일반적인 보존법으로서 버섯을 삶아 소금을 듬뿍 사용해서 절이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염장은 10% 또는 그 이상의 소금농도로 절이면 자가소화는 거의 억제되고 미생물의 증식도 억제되기 때문에 보존성이 증가한다.

송이나 표고의 경우는 소금 절임한 것을 탈수하여 간장, 된장, 고추장 속에 넣어서 23개월이 지나면 독특한 풍미를 나타내는 장아찌를 맛볼 수 있다.

또한 생버섯을 랩이나 알루미늄 호일로 싸서 냉동고에 보존하면 풍미나 영양분의 손실 없이도 상당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두엄먹물버섯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참 조: 안전을 위한 독버섯 중독 무엇인가?: http://jdm0777.com/jilbyeong/dogbeoseot.htm

참 조: 버섯의 용어 해설 사전: http://jdm0777.com/beoseot/1-jeonsegye-11.htm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아래에 비슷한 버섯종류들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갈색꽃구름버섯 무엇인가?
  2. 갈색먹물버섯 무엇인가?
  3. 경피수설불로초(경피수설영지) 무엇인가?
  4. 광대버섯 무엇인가?
  5. 구름송편버섯(운지) 무엇인가?
  6. 꽃송이버섯 무엇인가?
  7. 꽃흰목이(차색은이) 무엇인가?
  8. 낙엽송층버섯(송목층공균, 송상황) 무엇인가?
  9. 노란달걀버섯 무엇인가?
  10. 노랑망태버섯(황군죽손) 무엇인가?
  11. 노루궁뎅이버섯 무엇인가?
  12. 녹선초(소화사고+통초사고) 무엇인가?
  13. 뇌환(雷丸) 무엇인가?
  14. 느타리(수진고) 무엇인가?
  15. 능이(향버섯) 무엇인가?
  16. 다발방패버섯 무엇인가?
  17. 다예사고 무엇인가?
  18. 달걀버섯 무엇인가?
  19. 댕구알버섯 무엇인가?
  20. 동충하초(冬蟲夏草) 무엇인가?
  21. 두엄먹물버섯 무엇인가?
  22. 마귀곰보버섯 무엇인가?
  23. 마귀광대버섯 무엇인가?
  24. 마른진흙버섯(담황목층공균, 황금상황) 무엇인가?
  25. 말굽버섯 무엇인가?
  26. 말굽잔나비버섯 무엇인가?
  27. 말뚝버섯(백귀필) 무엇인가?
  28. 말불버섯 무엇인가?
  29. 말징버섯 무엇인가?
  30. 망태말뚝버섯(죽손) 무엇인가?
  31. 먹물버섯 무엇인가?
  32. 먼지버섯 무엇인가?
  33. 목도리방귀버섯 무엇인가?
  34. 목이 무엇인가?
  35. 목질진흙버섯(열제침공균, 상황) 무엇인가?
  36. 받침애주름버섯(야광버섯) 무엇인가?
  37. 벚나무진흙버섯 무엇인가?
  38. 볏짚버섯 무엇인가?
  39. 복령(복신) 무엇인가?
  40. 불로초(영지) 무엇인가?
  41. 붉은사슴뿔버섯 무엇인가?
  42. 뽕나무버섯부치(양균) 무엇인가?
  43. 사고(갈심) 무엇인가?
  44. 산느타리(폐형측이) 무엇인가?
  45. 상황버섯(목질열대구멍버섯) 무엇인가?
  46. 새잣버섯(표피향고) 무엇인가?
  47. 서양송로(여름덩이버섯/대리석덩이버섯/검은덩이버섯) 무엇인가?
  48. 석이버섯(석목이) 무엇인가?
  49. 소나무잔나비버섯(천년영지) 무엇인가?
  50. 소혀버섯(우설균) 무엇인가?
  51. 송이 무엇인가?
  52. 시루송편버섯 무엇인가?
  53. 아가리쿠스버섯 무엇인가?
  54. 아까시흰구멍버섯(장수버섯) 무엇인가?
  55. 알광대버섯 무엇인가?
  56. 옥수수깜부기병균 무엇인가?
  57. 유혈꽃구름버섯 무엇인가?
  58. 잎새버섯 무엇인가?
  59. 자흑색불로초(자흑색영지) 무엇인가?
  60. 잔나비불로초(잔나비걸상) 무엇인가?
  61. 접시껄껄이그물버섯 무엇인가?
  62. 좀나무싸리버섯 무엇인가?
  63. 좀말불버섯 무엇인가?
  64. 죽복령 무엇인가?
  65. 진흙버섯(화목층공균, 상황버섯) 무엇인가?
  66. 찔레나무진흙버섯(다표자목층공균, 녹색말범부채버섯) 무엇인가?
  67. 차가버섯(자작나무시루뻔버섯) 무엇인가?
  68. 찰진흙버섯(희경목층공균, 점토상황) 무엇인가?
  69. 천마 무엇인가?
  70. 천장사고 무엇인가?
  71. 치마버섯 무엇인가?
  72. 침엽수불로초(침엽수영지) 무엇인가?
  73. 코끼리말징버섯 무엇인가?
  74. 큰갓버섯 무엇인가?
  75. 큰장수버섯(편목영지) 무엇인가?
  76. 털목이 무엇인가?
  77. 테두리방귀버섯 무엇인가?
  78. 파리버섯 무엇인가?
  79. 표고(향고) 무엇인가?
  80. 한입버섯 무엇인가?
  81. 해면버섯 무엇인가?
  82. 홍석이 무엇인가?
  83. 화경솔밭버섯(달화경버섯) 무엇인가?
  84. 황토볏짚버섯 무엇인가?
  85. 흰구름송편버섯(백화운지) 무엇인가?
  86. 흰찐빵버섯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