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Top
메뉴 닫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
세계 최초로 송이버섯 인공재배 성공한 국립산림과학원 -인공재배 성공한 송이버섯 농가소득 향상 기대- 대전인터넷신문 2017-11-08 13:07:50
세계 최초로 송이버섯 인공재배 성공한 국립산림과학원

-인공재배 성공한 송이버섯 농가소득 향상 기대-

 

정안전부(장관 김부겸)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 3층 국제회의장에서 책임운영기관의 우수사례를 소개하고 공유하`2017 책임운영기관 우수성과 공유대회´를 개최한 가운데 세계 최초로 송이버섯 인공재배에 성공한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17년간 노력한 결과가 마침내 최우수상으로 결실을 맺었다.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은 연구자의 머리가 하얗게 새도록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포기하지 않고 끈질기게 노력한 끝에 세계 최초로 송이버섯의 인공재배에 성공하고, 또 그 결과를 인정받아 `2017년 책임운영기관 우수성과 공유대회´에서 최우수상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송이버섯은 대표적인 농산촌의 고소득원으로 알려져 있지만, 근에는 산불 등으로 인해 생산량이 급감하고 비싼 가격으로 인해 서민들의 밥상에서는 점점 더 멀어져 왔다. 하지만 국립산림과학원의 성공적인 연구 덕분에 송이버섯이 대중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은 송이 인공재배기술 개발을 위해 20012004년 식재한 송이균 감염 소나무묘목(이하 송이 감염묘)에서 송이 발생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송이는 세계적으로 2,0004,000톤이 생산되어 연간 4천억8천억의 시장규모를 갖고 있다. 특히 동양권에서 가을철 최고의 맛과 향을 가진 버섯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생산량은 감소추세에 있기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에서 송이 인공재배 연구를 하고 있지만 아직 성공한 사례가 없다.

 

이번 송이 발생은 같은 시험지에서 201010월 첫 번째 송이 발생에 이은 두 번째 발생으로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송이버섯의 인공재배가 가능함을 세계최초로 입증하는 결과로 평가된다.

 

지금까지 송이버섯 인공재배 성공에 가장 근접했던 것은 일본으로 여러 시도 가운데 1983년 히로시마임업시험장에서 송이 감염묘를 이용해 한 개의 버섯을 발생시킨 것이 전부이고 이후 일본에서는 같은 방법으로 10,000본 정도의 송이 감염묘를 만들었으나 버섯발생에 성공하지 못해 감염묘를 이용한 방법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은 2000년부터 송이 감염묘 연구를 새롭게 추진하면서 과거 연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된 방법을 찾는데 주력한 결과 송이 감염묘를 이용 송이가 나던 곳에 소나무 묘목을 심어 송이 균을 감염시킨 후 송이가 발생하지 않는 큰 소나무가 있는 산으로 다시 옮겨 심는 기술을 적용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송이 시험지에 150본의 송이 감염묘를 옮겨 심어 2006년 조사 당시 31본에서 송이균이 생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송이가 발생한 시험지는 홍천국유림관리소 관내로 낙엽송 조림을 시작한 곳이었으나, 척박하여 소나무 천연림이 형성된 곳이다.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가강현 박사는 감염묘를 이용한 인공재배기술은 간단한 방법으로 한번 송이균이 정착해 버섯이 발생하면 30년 이상 송이 채취를 기대할 수 있다, “앞으로 상업적 재배가 가능한 수준으로 송이 발생율을 높이는 재배기술을 개발하는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책임운영기관은 `99년 도입된 후 정부기관의 경영혁신 모델로 자리를 잡았으며, 자율과 분권을 바탕으로 하는 국민의 시대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그 성과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심보균 행정안전부차관은 교육과 홍보를 통해 책임운영기관의 우수사례들이 더 많이 벤치마킹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많은 국민들이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 대열 기자 

 

관련기사

포토뉴스